$\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s. Method : Subjects were 40f adult smoking patients who saw their doctors in the outpatient setting at a university hospital, regardless of their willingness of otherwise in smoking cess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흡연환자들에서 금연 성공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보들을 평가한다면 개인들에게 더욱 적절한 금연 개입을 제공하고, 금연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금연사실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금연 개입연구에서 스스로 현재 금연 중이라고 하더라도 객관적인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을경우 신뢰하기 어 렵다는 연구결과 [24] 에비추어 볼 때, 금연 개입 연구시 연구 대상자들의 금연여부를 철저히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이 연구는 1975년에서 1994년 사이에 출판된 300여 금연 치료 방법에 대한 무작위임 상시험 을 검 토하고, 메 타분석(meta-analysis)을 하여 1993년 말부터 2년간에 걸쳐 개발된 미국 의료연구질관리국(AHRQ)의 1996년 진료실 금연치료지침인 5 A (ask, advise, assess, assist, arrange), 4R(relevance, risks, rewards, repetition) 접근법(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6) [기을 응용한 금연 치료방법이 우리나라의 외래 흡연 환자들에서도 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한 무작위임상시험 연구 [19]에 부수적으로 시행된 코호트 연구이다. 금연개입 효과는 통계적으로 경계선 유의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19] 다른 결정요인에 대하여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금연 개입이라는 변수는 다른 결정요인에 대해서는 혼란 변수의 하나로 취급되었다.
  • 이 연구는 외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금연권고를 시행한 후, 5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실제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흡연환자들에서 금연 성공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보들을 평가한다면 개인들에게 더욱 적절한 금연 개입을 제공하고, 금연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적은 표본수, 짧은 관찰 기간, 주관적인 금연 확인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외래 환자들에서 의사의 금연권고 및 개입을 포함하여, 금연 성공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외래환자들에게 적절한 금연 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한 달 내 금연의지가 있었던 사람들에게서 금연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개입을 포함하여 어떤 요인들이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외래 환자들에서 의사의 금연권고 및 개입을 포함하여, 금연 성공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외래환자들에게 적절한 금연 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한 달 내 금연의지가 있었던 사람들에게서 금연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개입을 포함하여 어떤 요인들이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Reduc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25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DHHS Pub, No. (CDC)89-8411.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9 

  2. McGinnis JM, Foege WH.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lAMA 1993; 270: 2207-2212 

  3. Meng KH. Smoking attributable mortality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Epidemiol 1988; 10: 138-145 (Korean) 

  4. Samet JM. The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Med ClinN Am 1992; 76: 399414 

  5. Won YI, Jeon TH, LEE DS, et al.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J Korean Acad Fam Med 1992;13(11):862-868 (Korean) 

  6. National Cance Institute. tobacco and the clinician: intervention for medical and dental practice, NIH publication No. 943693. Monogr Natl CancerInst 1994; 5: 122 

  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o. 18), Smoking cessation.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HCPR Publication No.960692, p.7, pp.19-65, 1996 

  8. 최정수, 남정자, 김태정, 계훈방. 한국인의 건강과 의료이용실태 - 1995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186쪽 

  9. Cromwell J, Bartosch WJ, Fiore MC, Hasselblad V, Baker T. Cost-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in th AHCPR guideline for smoking cessation lAMA 1997; 278: 1759-1766 

  10. West DW, Graham S, Swanson M, Wilkinson G. Five year follow-up of a smoking withdrawal clinic population. Am J Public Health 1977; 67: 536-544 

  11. DiClemente CC, Prochaska 10, Fairhurst SK, Velicer WF, Velasquez MM, Rossi JS.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 Consulting ClinPsycho 1991; 59: 295-304 

  12. Hymowitz N, Sexton M, Ockene J, Grandits G.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Med 1991; 20: 590-601 

  13. de Vries H, Backbier E.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quitting among pregnant women who smoke: the phipattern. PrevMed 1994; 23: 167-174 

  14. Rohren CL, Croghan IT, Hurt RD, Offord KP, Marusic Z, McClain FL.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outcome in a medical center from stage of readiness: contemplation versus action. Prev Med 1994; 23: 335-344 

  15. Kim MM, Jin CK, Kim YJ, CHO BM. The disease related factors affecting cessation of smoking. J korean Acad Fam Med 1995;16: 880-890 (korean) 

  16. Cho HJ, Yeo JK, Sunwoo S, Predicting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patients visited smoking 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FamMed 1996; 17(S): 1211 (Korean) 

  17. Sim JY, Han NY, Yoo SM, Jeong YS, Park IH.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2000; 21: S985(Korean) 

  18. Kim CH, Seo H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Med 2001;11: 1603-1611 (Korean) 

  19. Kim JR, Lee OJ, Jeon US, Cho JH, Hong D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outpatien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1; 27: 59-68(Korean) 

  20.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Rev 1977; 84: 191-215 

  21. Coon GM, Pena D, lllich PA. Self-efficacy and substance abuse; assessment using a brief phone interview. J Substance Abuse Treahnent1998;15:385~391 

  22. Heatherton TF,Kozlowski LT,FreckerRC, Fagerstrom KO,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 J Addie 1991; 86: 1119-1127 

  23. Kawane H, Soejima R. Smoking habits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expired air. Proceedings of the 12th Asia Pacific congress on diseases of the chest, Seoul, 1992, p.225 

  24. Windsor RA, Orleans CT. Guideline and methodological standards for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research among pregnant women: improving the science and art.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6;13: 131-161 

  25.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예방의학과공중보건 개정2판. 계축문화사; 2001 :550쪽 

  26. Normn H, Mary S, Judith 0, Gregory G.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 Med 1991;20: 590-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