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공성 뇌경색 환자-대조군에서 신경행동검사의 수행 평가
A Neurobehavioral Performance Assessment in Lacunar Infarction Case-control Study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6 no.3, 2003년, pp.255 - 262  

김함겸 (안산제1대학 방사선과) ,  박수경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건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형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화선 (한양대학교병원 방사선과) ,  장성훈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체 뇌졸중의 $15{\sim}20%$를 차지하고 있는 열공성 뇌경색(lacunar infarction)은 최근 뇌경색형 뇌졸중의 증가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1년 이내 뇌경색이 재발되거나 노인, 고혈압 및 초기 신경학적 이상과 같은 감수성 인자가 있는 경우 뇌경색 재발과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이 있어 삼차예방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한 질병이다. 그렇지만 열공성 뇌경색은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가 상당히 많아 환자 자신이 치료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할 뿐 아니라 의사들도 환자의 경미한 신경학적 이상을 인지하지 못하여 처치의 당위성에 대해 설득력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없어 적절한 처치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신경학적 자각 증상은 없지만 MRI상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된 환자군이 MRI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신경행동 검사상 차이가 관찰될 것이라는 가설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뇌졸중의 증상 및 증후 없이 두개골 외상 혹은 두통, 경부강직 등과 같은 신경학적 이상으로 MRI를 촬영한 대상자 중에서 다른 이상 없이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될 환자군과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는 것으로 진단된 대조군에서 WHO의 NCTB(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검사의 일부와 Perdue pegboard score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의 신경행동 이상이 평균 및 가장 빠른 단순반응시간 검사를 제외한 5개 검사에서 관찰되었다. 본 검사의 결과는 자각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을 호소하는 열공성 뇌경색 환자들의 차후 필요한 검사의 선별과 삼차 예방적 측면에서 처치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각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이 있지만 진찰상 신경학적 이상 증후를 거의 찾을 수 없는 대상자에서 MRI검사 필요성의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carried out tests for neurobehavior by using WHO-NCTB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and Perdue pegboard score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lacunar infarction cases and controls. Methods : Among the subjects who underwent MRI between February 2001 and March 2002 in a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신경 행동검사를 일반인들에게 응용하여 신경학적 변화를 민감하게 관찰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조군이 실제로는 경미한 신경학적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고 환자군과 과거 1년간 뇌졸중 증상/증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차이가 관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결과는 귀무가설의 방향으로 가게 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의 증상 및 증후 없이 두개골 외상 혹은 두통, 경부강직 등과 같은 신경학적 이상으로 MRI를 시행한 대상자 중에서 다른 이상 없이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된 환자군과 특별한 이상소견이 없는 것으로 진단된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WHO의 NCTB(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검사[이의 일부와 Perdue pegboard score 검사 [1 이를 시행하므로써 신경 행동 학적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에서 신경독성 물질 폭로로 인한 신경독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신경행동검사가 신경독성으로 인한 중추신경계 장애를 조기에 찾아내는 민감한 방법이라는 결과에 근거하여 [8], 뇌의 기저 이상이 있긴 하지만 자각증상이 거의 없는 대상자에 게 신경 행동검사를 사용하였을 경우 정상인과 달리 신경 행동학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열공성 뇌경색에 대한 신경 행동검사 수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써 여러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검사의 수행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능과 검사시간(오전 .
  • 본 연구자들은 신경학적 자각 증상은 없지만, MRI상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된 환자군이 MRI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신경 행동검사를 시행할 경우 차이가 보일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의 신경 행동학적 이상 차이가 몇몇 검사에서 관찰되었는데, 본 검사의 결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조군이 실제로는 경미한 신경학적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고 환자군과 과거 1년간 뇌졸중 증상/증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차이가 관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결과는 귀무가설의 방향으로 가게 된다. 귀무가설의 방향으로 감에도 불구하고 환자-대조군 간 차이가 유의하다는 것은 그만큼 열공성 뇌경색이 기저 이상이 없는 다른 환자에 비해 자각 증상은 없지만 신경학적 변화가 확실히 있음을 관찰할 수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승민. 국가 심혈관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심혈관질환 발생 감시모델 시범운영. 보건복지부; 2000: (15쪽) 

  2. Arboix A, Marti-vilalta JL, Garcia JH, Clinical study of 227 patients with lacunar infarcts. Stroke 1990; 21(6): 842-847 

  3. Baumgartner RW, Sidler C, Mosso M, Georgiadis D. Ischemic lacunar stroke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potential mechanism other than small-artery disease. Stroke 2003; 34(3): 653-659 

  4. Kim M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adiologically diagnosed small deep brain infarct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egree of master of medicine 1995. p. 2(Korean) 

  5. Adams, Raymond D. Principles of neurology, 6th ed. Columbus: McGraw-Hill; 1998 

  6. Fisher CM. Lacunar infarcts-a review. Cerebrovascular Dis 1991; I: 311-320 

  7. Aharon-PeretzJ. Daskovski E. Mashiach T. TomerR. Natural historyof dementia associatedwithlacunarinfarctions. J NeurolSci 2002;203-204: 53-55 

  8. AngerWK, Letz R, Chrislip DW, Frumkin H, Hudnell K, Russo JM, Chappell W, Hutchinson L. Neurobehavioral test methods for environmental health studies of adults. Neurotoxicol Teratol 1994; 16(5): 489-497 

  9. MohrJP, Lacunes. Stroke 1982;13:3-11 

  10. Brian S, Schwartz BS, Lee BK, Ahn GD, Lee SS. Associations of blood lead, Dimercaptosuccinic Acid-chelatable lead, and tibia lead with neurobehavioral test scoresin South Koreanlead workers. Am J Epidem 2001;153(5): 455-459 

  11. Grigoroiu-Serbanescu M. Clinical validity of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Junior). Neurol Psychiatr (Bucur) 1983; 21(1): 43-52 

  12. Singer R. Neurotoxicity guidebook. New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0,p. 4076. 

  13. Baker EL. Organic solvent neurotoxicity. Ann Rev Public Health 1988;9: 223-232 

  14. Cassitto M, Camerino D, Hanninen H, Anger WK.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o evaluate the WHO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In: Johnson B. advances in neurobehavioral toxicology: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Chelsea, Mich: Lewis Publishers Inc. 1990. p.203-224 

  15. Kong Joon Sa, Jong-Hak Chung. Effect on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perfromance of the car painters exposedto organicsolvents. Korean J PrevMed 1994; 27(3): 487-504(Korean) 

  16. Lee DH, Park IK,Kim JH, Lee YR, Kang SK, Kim DH. Neuro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cumulative exposure of complex organic solvents. Korean J Pre Med 1995;28(2): 387-388 (Korean) 

  17. Gamberale F, IregrenA, Khellberg A. The computerized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ackground, critical issues, empirical data and a users manual. Solna: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1989.p. 1-77 

  18. Fidler A, Baker EL, Letz RE. Neurobehavioral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mong construction painters. Br J Ind Med 1987;44: 292-308 

  19. Kim JH, Lee TK, Lee IK. Performance of the WHO NCTB(neurobehavioral coretest battery) among 96 males occupationally non-exposed to neurotoxic chemicals. Korean J. Aerospace & Environ Med 1999; 9(3):313-314(Korean) 

  20. Baker EL, Letz RE, Eisen EA, PothierU, Plantamura DL, Larson M, Wolford R. Neurobehavioral effects of solvents in construction painters. J OccupMed 1988; 30(2): 116-123 

  21. Lets R, Mathoney FC, Hershman DL, Woskie S, Smith TJ. Neurobehavioral effects of acute styrene exposure in fiberglass boat-builders. Neurotoxicol& Teratol 1990; 12:665-668 

  22. Bleecker ML, Bolla KI, Agnew J, Schwartz BS, Ford DP. Dose-related subclinical neurobehavioral effects of chronicexposure to low levels of organic solvents. Am J Ind Med 1991;19:715-728 

  23. Jin YW, Kim YR, Kim KS, Kim E, Cho YS, Shin YC, Choi CH, Lee SH, Moon YH. Performance neurobehavioral tests among welders exposed to manganese. Korean J Occup Enviro Med 1999; 11(1): 5-6 (Korean) 

  24. Park KW, Kim YK, Byun JH, Kim JH, Lee YH, Kim KR. Neurobehavioral tests in workers exposed to ethylene oxide. Korean J Occup Med1998; 10(3): 304-305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