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대나물의 식물화학적 성분
Phytochemical Compon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Arabis glabra (L.) Bernh.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5 no.4 = no.139, 2004년, pp.320 - 323  

박희욱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백남인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김성훈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권병목 (한국생명공학원) ,  정인식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박미현 ((주)이롬라이프) ,  김상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  김대근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Arabis glabra (Cruciferae)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 were elucidated as salicylic acid, 2,5-dihydroxybenzoic acid, astragalin, rutin, and $quercetin-3,7-O-{\beta}-D-digluc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식물의 기초적인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를 실시하여 장대나물 전초의 MeOH 추출물에서 2종의 benzoic acid 유도체와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단리 하였으며,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spectral data로부터 그 구조를 확인 . 동정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이창복 (1986) 대한식물도감, 396, 향문사, 서울 

  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35, 아카데미서적, 서울 

  3. Han, B. H., Park, M. H., and Han, Y. N. (1981)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III)-Iden-tification of phenolic acids. Arch. Pharm. Res. 4(1): 53-58 

  4. Scott, K. N. (1972) Carbon-13 nuclear magnetic resonance of biologically important aromatic acids. I.-Chemical shifts of benzoic acid and derivatives. J. Am. Chem. Soc. 94(24): 8564-8568 

  5. Markham, K. R. (1982) Techniques of flavonoid identification. 36-51, Academic Press, London 

  6. Mabry, T. J., Markham, K. R., and Thomas, M. B. (1970)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33-40, Springer-Verlag, New York 

  7. Do, J. C., Yu, Y. J., Jung, K. Y., and Son, K. H. (1992)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Polygala japonica. Kor. J. Pharmacogn. 23: 9-13 

  8. Do, J. C., Jung, K. Y., and Son, K. H. (1992)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fronds of Pyrrosia lingua. Kor. J. Pharmacogn. 23: 276-279 

  9. Kim, S. H., Hwang, K. T., and Park, J. C. (1992) Isolation fo flavonoids and determination of rutin from the leaves of Ulmus parviflora. Kor. J. Pharmacogn. 23: 229 

  10. Markham, K. R. and Chari, V. M. (1992) The Flavonoids. Chapman and Hall, London, New York, 19 

  11. Hasan, A., Anme, K., Jay, M., and Voirin, V. (1995) Flavonoid glycosides and anthraquinone from Rumex chalepensis. Phytochemistry. 39: 1211 

  12. Averett, J. E. and Mabry, T. J. (1971) Flavonoids of the American species of Leucophysalis (Solanaceae). Phytochemistry 10: 2199-2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