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2 = no.174, 2004년, pp.311 - 316  

사재훈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이완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신인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경진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심태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오흥석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영진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의호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광기 (정선군농업기술센터) ,  최대성 (정선군농업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mu}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_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mu}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effects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copper-mediated LDL oxidative modification were investigated. Oxidation products of LDL were determined based on TBA value, formation of conjugate diene, and apolipoprotein carbonyl value. As revealed through TBA values, ethyl acetate and butan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과가 매우 탁월함을 밝힌바 있다(19). 연구에서는 생열귀나무(열매,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 및 생열귀 뿌리 분획물을 사용하여 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 앞선 연구에서 생열귀나무의 카테킨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탁월함을 밝힌바 있다(19). 연구에서는 인간 LDL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slake MJ, Packard CJ, Shepherd J. Plasma triglyceride and LDL metabolism. Eur. J. Clin. Invest. 22: 96-104 (1992) 

  2. Henriksen T, Mahoney EM, Steinberg D. Enhanced macrophage degradation of biologically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 Arteriosclerosis 3: 149-159 (1983) 

  3. Morel DW, Docorleto PE, Chisolm GM.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alter low density lipoprotein in vitro by free radical oxidation. Atherosclerosis 4: 357-364 (1984) 

  4. Bruckdorfer KR. Free radicals, lipid peroxidation and atherosclerosis. Curr. Opin. Lipidol. 1: 529-535 (1990) 

  5. Steinbrecher U, Parthasarathy S, Leake DS, Witztum JL, Steinberg D.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by endothelial cells involves lipid peroxidation and degra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phospholipids. Proc. Natl. Acad. Sci. USA 83: 3883-3887 (1984) 

  6. Esterbauer H, Streigel G, Puhl H, Oberreither S, Rotherneder M, El-Saadani M, Urgens G. The role of vitamin E and carotenoids in preventing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s. Ann. N. Y. Acad. Sci. 570: 254-267 (1989) 

  7. Manigiapane H, Thomson J, Salter A, Brown S, Bell GD, White DA. The inhibition of the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by (+)-catechin, a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Biochem. Pharmacol. 43: 445-450 (1992) 

  8. De Whalley CV, Rankin SM, Hoult JRS, Jessup W, Leake DS. Flavonoids inhibit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s by macrophages. Biochem. Pharmacol. 39: 1743-1750 (1990) 

  9. Machlin LJ, Bendich A. Free radical tissue damag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 nutrients. FASEB J. 1: 441-445 (1987) 

  10. Retsky KL, Frei B. Vitamin C prevents metal ion-dependent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human low-dinsity lipoprotein. Biochim. Biophys. Acta 1257: 279-287 (1995) 

  11. Noguchi N, Gotoh N, Niki E. Dynamics of the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induced by free radicals. Biochim. Biophys. Acta 1168: 348-357 (1993) 

  12. Yan LJ, Dray-Lefaix MT, Packer L. Ginko biloba extract(EGb 761) protects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Biophy. Res. Com. 213: 360-366 (1995) 

  13. Jeong J, Kim E, Hwangbo H, Ham S.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ol. 30: 1214-1221. (1998) 

  14. Park CO, Kim KS, Ji YA,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daidzin and puerarin towar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5-31 (1997) 

  15. Park CO, Jin SH,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Technol. 28: 850-858 (1996) 

  16. Yag KS, Jeon CM. Effect of Taraxacum coreanum Nakai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7: 267-273 (1996) 

  17. Shin KH, Chung HS, Cho SH. Vitamin contents in the fruits of Rosa davurica Pall. J. Med. Crop Sci. 3: 21-24 (1995) 

  18. Shin KH, Lim SS, Lee SH, Seo JS, Yu SY, Park CH. Vitamin content in Rosa davurica Pall. J. Medicinal Crop Sci. 6: 6-10 (1998) 

  19.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 Park SK, Cheung E, Kim SN, Kim GG, Choi DS, Kwon YS, Kim CM.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from Rosa davurica Pall. Korean J. Pharmacogn. 33: 177-181 (2002) 

  20. Kim JY, Maeng YS, Lee KY.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35-639 (1995) 

  21. Seo YH, Kim IJ, Yie AS, Min HK.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1999) 

  2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