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아에 의한 거대배아미와 유색미의 기능성 변화를 항산화 활성에 중심을 두고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환원력은 일반현미보다 거대배아미와 유색미가 높았고, 발아처리는 환원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in vitro의 linoleic acid peroxidation system 및 ex vivo의 토끼 적혈구 막지질 과산화 system 모두에서 억제효과도 유색미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거대배아미, 일반현미의 순서로 나타났다.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유색미>거대배아미>일반현미의 순서로 낮아졌으며, 무발아 조건과 비교할 때 발아처리는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증진시켰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도 유색미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거대배아미, 일반현미의 순서였다. 발아에 의하여 일반현미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급격히 증가되었지만, 발아미간에 소거활성의 순위는 변하지 않았다. In vitro에서 조사된 ROS 소거활성과 같은 경향이 HL-60 세포에서 TPA로 자극으로 발생된 ROS에 대한 소거활성에서도 나타났다. 실험 결과, 유색미와 거대배아미에서는 발아와 연관되어 세포독성의 증가가 발견되지 않는 차별적인 ROS 소거활성의 증가 현상이 발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ity changes by germination of giant embryonic rice and pigmented rice were evaluated with focusing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70% ethanolic extracts. Overall, reducing power of giant embryonic rice and pigmented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brown rice, and the germination of 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 기술한 각 쌀 추출물이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서 가장 중요한 지질과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가 여부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in vitro에서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억제능을 측정하였고,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토끼 적혈구(ghost cell) 막지질분획을 사용하여 ex vivo의 조건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항산화제인 BHT와 vitamin E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in vitro의 실험계서 조사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이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도 작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서 이들 쌀 추출물이 세포 내에서 발생된 ROS를 소거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premyelo­ blastoma cell line인 HL-60 세포를 지시세포로 한 배양세포계서의 활성 산소종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 쌀의 경우에도 발아와 더불어 특수성분인 아라비녹실산, 감마아미노낙산 등의 성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적으로 취반용으로만 소비되기에는 부적합한 특수미 품종인 유색미와 거대배아미를 대상으로 발아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 및 생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현재 시판 중인 유색 미와 거대배아미를 3일 간 발아시켰을 때 나타나는 총체적인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환원력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고 in 의 실험계와 배양세포계에서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소거활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superoxide radical은 in vitro에서 xanthine oxidase의 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관찰된 라디칼 소거활성이 시료가 직접적으로 라디칼을 소거한 것이 아니라,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blocking 함으로써 radical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시료가 xanthine oxid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Table 3).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가 직접적으로 효소활성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 따라서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식품소재의 개발 및 일상적 섭취법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본 실험에서는 이미 육성된 쌀 품종 가운데 취반 목적으로 소비하기에는 부적합한 특수미를 건강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서 발아 처리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아 처리에 의하여 일반현미와 특수미인 거대배아미와 유색미 모두에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활성이 in vitro 및 배양세포계서 크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유색미에는 cyanidine 3-O-β-D-glucoside 및 peonidine 3-O-β-D-glu-coside와 같은 일반미에는 없는 항산화 활성이 증명된 색소체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색소체가 없는 거대배아미보다도 환원력이 높게 관찰된 것으로 보인다(31, 32). 특히 발아처리에 의하여 거대배아미의 Fe 이온에 대한 환원 능력이 크게 증대되었다는 것은 발아 거대배아미의 항산화능이 무발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는 의미하므로, 발아 거대배아미를 건강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Kawakishi S. Chemical studies on novel antioxidants I. Isolation, fraction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J. Agric. Food Chem. 36: 727-732 (1988) 

  2.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Kawakishi S. Chemical studies on novel antioxidants II. Identification of isovitexin C-glycosyl flavonoid. J. Agric. Food Chem. 37: 316-319 (1989) 

  3. Kang MY, Choi YH, Nam SH. Inhibitory mechanism of colored rice bran extract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chemical mutagen Mitomycin C. Agri. Chem. Biotechnol. 39: 424-429 (1996) 

  4. Nam SH, Kang MY.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Agri. Chem. Biotechnol. 40: 307-312 (1997) 

  5. Choi SW, Nam SH, Choi HC.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rice brans. Food Sci. Biotechnol. 5: 305-309 (1996) 

  6. Juliano BO. Rice-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Press, London, UK. pp. 295-311 (1985) 

  7. Cho BM, Yoon SK, Kim WJ.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71-376 (1985) 

  8. Hsu D, Leung HK, Finney PL, Morad MM.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a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J. Food Sci. 45: 87-91 (1980) 

  9. Choi KS, Kim ZU.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71-275 (1985) 

  10. Colmenarse DRAS, Bressani R.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ative valus of amaranth grain. Cereal Chem. 67: 519-523 (1990) 

  11.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Nutr. 7: 267-273 (1994) 

  12. Kim IS, Kwon TB, Oh SK.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71-376 (1985) 

  13. Ikeda K, Arioka K, Fujii S, Kusano T, Oku M.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m. 61: 236-240 (1984) 

  14. Kim WJ, Kim NM, Sung HS. Effect of germinationon phytic acid an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58-362 (1984) 

  15. Ahn B, Yang CB. Effects of soaking, germination, incubation and autoclaving on phytic acid in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16-521 (1985) 

  16. Lee MH, Shin JC. New techniques for the cultivation of quality rice. pp. 239-263. In: Conference on Rediscovering Korea Rice and Development Direction. Korean Society of Rice Research, Seoul, Korea (1999) 

  17. Nakagawa K, Onota A. Accumul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Food Proc. 31: 43-46 (1996) 

  18.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1-315 (1986) 

  19. Osawa T, Namiki M. A novel type antioxidant isolated from leaf wax of Eukalyptus leaves. Agric. Biol. Chem. 45: 735-740 (1981) 

  20. Ames BN, Cathcart R, Schwiers E, Hochstein P. Uric acid provide an antioxidant defense in human aganist oxidant-and radicalcaused aging and cancer: A hypothesis. Proc. Natl. Acad. Sci. USA 78: 6858-6862 (1981) 

  21. Tsuda T, Horio F, Osawa T. Dietary cyanidin 3-O- $\beta$ -D-glucoside increases ex 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Lipids 33: 583-588 (1998) 

  22.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Chem. 72: 248-254 (1976) 

  23. Mitsuta K, Mizuta Y, Kohno M, Hiramatsu M. The application of ESR spin trapping technique to the evaluation of SOD-like activity of biological substances. Bull. Chem. Soc. Jpn. 63: 187-190 (1990) 

  24. Noro T, Noro K, Miyase T, Koyanagi M, Umehara K, Ueno A, Fukushima S.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anthraquinones. Chem. Pharm. Bull. 35: 4314-4316 (1987) 

  25. Fenton HJH. Oxidation of tartaric acid in presence of iron. J. Chem. Soc. 65: 899-910 (1894) 

  26. Rosen GM, Rauckman EJ. Spin trapping of free radicals during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Proc. Natl. Acad. Sci. USA 78: 7346-7349 (1981) 

  27. Carter P.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ion at the submicrogram level with a new reagent (Ferrozine). Anal. Chem. 40: 450-458 (1971) 

  28. Lin JK, Chen PC, Ho CT, Lin-Shiau SY.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nd suppress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 HL-60 cells by theaflavin-3,3'-digallate, (-)-epigallocatechin-3- galate, and propyl gallate. J. Agric. Food Chem. 48: 2736-2743 (2000) 

  29. Bass DA, Parce JW, Dechatelet LR, Szejda P, Seeds MC, Thomas M. Flow cytometric studies of oxidative product formation by neutrophils: A graded response to membrane stimualtion. J. Immunol. 130: 1910-1917 (1983) 

  30.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 65: 55-63 (1983) 

  31. Choi SW, Kang WW, Osawa 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rice. Foods Biotechnol. 3: 131-135 (1994) 

  32.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Kawakishi S, Choi SW, Osawa T.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 $\beta$ -D-glucoside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1 (1994) 

  33. Yamauchi R, Miyate N, Kato K, Ueno Y. Reaction of $\alpha$ -tocopherol with alkyl and alkylperoxyl radicals of methyl linoleate. Lipids 28: 201-206 (1993) 

  34. Ames BN.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1264 (1983) 

  35. Ishihara K, Hirano T. IL-6 in autoimmune disease and chronic inflammatory proliferative disease. Cytokine Growth Factor Rev. 13: 357-36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