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단호박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ried Sweet Pumpki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433 - 438  

나경민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홍주헌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차원섭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준희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상룡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영제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원영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단호박의 제조시 건조공정에 의한 품질열화를 줄이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서 삼투공정을 행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여 최적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삼투건조시 침지온도와 농도 및 시간을 독립 변수로 하고 수분함량, 무게감소량, 수분감소량, 고형분증가랑, 당농도, 비타민 C 함량 및 경도를 반응변수로 하였다.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은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많이 일어났으며, 농도와 온도의 상호작용에 의해 삼투효과가 증가되었다. 당농도의 변화는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C 함량은 낮은 온도와 고농도의 처리에서 당의 보호작용으로 손실이 적게 나타났고 경도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측정값이 낮아졌으며, 침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에 대한 적합성은 경도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1%이내의 유의성을 보여 수린됩 반응표면 모형이 통계 적으로 유의 하다고 할 수 있었다. 독립 변수의 영향은 침지온도와 시간보다농도에서 1%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농도의 영향을 가장많이 받음을 확인하였다 독립 변수중 가장 영향이 적은 침지 시간을 80분으로 고정하고 수분함량을 60∼70%로 하고 비타민 C 함량과 경도를 각각 3 mg/100 g, 10 kg/$\textrm{cm}^2$ 이상으로 하는 온도와 농도는 20∼$25^{\circ}C$, 48∼56$^{\circ}$Brix로 나타나, 건조 단호박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처리의 최적조건은 중심값인 23$^{\circ}C$, 52$^{\circ}$Brix, 80분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weet pumpkin to intermediate materials for various processed foods and dried food having high quality. Factorial experiment design with three variables having three levels was adapted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determine optimum condition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호박에 관련된 연구로는 호박의 이화학적 특성, 호박 꿀차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및 호박죽의 개발 등이 대부분으로 기호성 이 높은 가공 식품으로의 개발이 시도되지 않고 있다(12, 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의 소비 확대를 위하여 건조 형태의 식품개발의 일환으로서 본건조에 앞서 건조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점을 줄 수 있는 삼투공정을 전처리로서 이용하였으며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를 통하여 얻고자 하였다.
  • 온도와 시간을 요인변수로 두었을 때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의 온도와 시간은 각각 20~27℃, 65~120분이었다. 반응변수에 대하여 각 조건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세 가지의 실험변수 중 가장 영향이 적은 것 (Table 4)으로 나타난 침지시간을 고정한 다음, 온도와 농도에 대한 최적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침 지 시간을 중심 값인 80분으로 고정 하고 온도와 농도만을 변수로 하여 얻은 contour map을 Fig.
  • 필요로 하게된다. 주어진 실험조건 내에서 예비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 영역을 설정하고, 각 조건이 일 치 하는 지역 을 중첩 되는 contour map으로 구하고자 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비 타민 C의 함량을 최소 3 mg/100 g 이상으로 하고, 수분함량은 삼투건조효율과 건조시 효율에 영 향을 미치므로 70% 이하로 설정하였으나, 실제 삼투건 조시 대략 60% 이 하의 수분함량을 보이지 않아 제한조건을 60~ 70%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삼투건조 중 수분 손실량과 용질의 이동량은 시료 내부 의용 질이 삼투압용액에 대하여 확산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며 삼투 용액의 농도는 균일하다는 가정 하에서 구하였고, 삼투 건조 시 물질이동은 고형분증가량(solid gain), 무게감소량 (weight reduction), 수분감소량(moisture loss)로서 각각 아래의 식에 따라 나타내었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ils RBH, Lim JSK, Greenfield H. 1987. Composition of Australian, 39 vegetable fruits. Food Technol Australia 39: 488-498. 

  2. Heo SJ, Kim JH, Kim JK, Moon KD. 1998. Processing of purees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172-176. 

  3. Pedrosa JF, Casali VWD, Cheng SS, Chitarra MIF, Carvalho VD. 1983. Changes in composition of squashes and pumpkins during storage. Pesquisa Agropecuaria Brasileira 18: 29-35. 

  4. Akhmedov O. 1982. Pumpkin storage. Kartofel'i Ovoshchi 9: 34-39. 

  5. Korhec G, Veljkovic S, Vucetic J. 1982. Nutritive and dietetic value of pumpkin (Cucrbita pepo L.) and the possibilities of its use by the food industry. Hrana Ishrana 23: 19-26. 

  6. Ponting JD, Watters GG, Forrey RR, Jackson R, Stanley WR. 1966. Osmotic dehydration of fruits. Food Technol 20: 1365-1368. 

  7. Flink JM. 1980. Dehydrated carrot slices: Influence of osmotic concentration on drying behavior and product quality. In Food Process Engineering. Applied Sci Publishers Ltd, London. p 412-418. 

  8. Lerici CR, Dinnavaria G, Rosa MD, Bartducci L. 1985. Osmotic dehydration of fruit: Influence of osmotic agents on drying behavior and product quality. J Food Sci 50: 1217-1219. 

  9. Kim MH. 1990. Mass transfer and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for osmotic concentration of potatoes prior to air dehydration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97-502. 

  10. Dixon GM, Jen JJ. 1977. Changes of sugars and acids of osmovac-dried apple slices. J Food Sci 42: 1126-1127. 

  11. Lee BW, Shin GJ, Kim MH, Choi CU. 1989. Effects of pretreatment before air drying on the quality of carrot flake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30-434. 

  12. Kiziriya KP, Kaisauri GN. 1983.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mpkin varieties. Carotofel'i Ovoshchi 1: 37-41. 

  13. Sazanova NM. 1984. New pumpkin varieties. Carotofel'i Ovoshchi 2: 35-42. 

  14. Bolin HR, Huxsoll CC, Jackson R. 1983. Effect of osmotic agents and concentration on fruit quality. J Food Sci 48: 202-205. 

  15. Saurel R, Rios G, Guilbert S. 1994. Mass transfer phenomena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apple I. fresh plant tissue. Inter J Food Sci Technol 29: 531-542. 

  16. Conway J, Castaigne F, Picard G, Vovan X. 1983. Mass transfer concentrations in the osmotic dehydration of apples. Can Inst Food Sci Technol 16: 25-29. 

  17. Hong JH, Youn KS, Choi YH. 1998. Optimization for the process of osmotic dehydration for the manufacturing of dried kiwi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48-355. 

  18. Yoon KY, Youn KS, Lee KH, Shin SR, Kim KS. 1997. Changes of quality in the osmotic dehydration of cherrytomatoes and optimization for the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66-871. 

  19. Mudahar GS, Toledo RT, Floros JD, Jen JJ. 1989. Optimization of carrots dehydration proces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54: 714-719. 

  20. Saurel R, Anne-Lucie RW, Rios G, Guilbert S. 1994. Mass transfer phenomena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apple II. frozen plant tissue. Inter J Food Sci Technol 29: 543-5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