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한방 재료인 옥용산에 대해 UV 흡수능, 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미백활성을 검정하고 비교 시험군으로서 비타민C와 함께 Eudragit 이 코팅된 coconut oil을 이용한 SLN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옥용산은 UV 영역에서 흡수능을 가지며 tyrosinase 저해 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E-SLN을 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크기 50∼300 nm인 구형의 양호한 입자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크기분포와 캡슐화 효율 분석을 통해 EUD의 농도가 2.0% (w/v), w/o 비율은 1 : 9, emulsion과 pour solution의 비율은 1 : 10, 그리고 실온에서 제조한 E-SLN의 캡슐화 효율이 가장 높고 크기의 분포가 가장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E-SLN을 이용하여 in vitro 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계에 대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폐쇄 첩포시험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색소침착과 시료도포에 의한 미백효능 판정에 의한 임상시험 결과 옥용산과 비타민C,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LN은 대조군의 경우와 비교하여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능성화장품에의 응용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kin-whitening effect of okyong-san and to develop new drug delivery carrier The extracts of okyong-san were found to have the whitening effect and Eudragit$^<$TEX>ⓡ/ L 100-55 (EUD) coated solid lipid nanoparticle (E-SLN) was prepared by solvent ev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0명의 자원자에 대해 피부자극도 판정을 위한 첩포시험을실시하였고 피험자 모두 5개의 시험군과 1개의 대조군을 정중선을 제외한 상등부에 폐쇄첩포하였다. 시험 중 부작용을 나타내거나 거부의사를 밝힌 자원자는 없었으며 48시간 후 첩 포를 제거하고 2시간이 지난 후 제거에 의한 일과성의 홍반의 소실을 기다려 관찰, 판정하였다.
  • 온도에 따른 방출경향. Coconut oil의 녹는점이 23-28℃ 인 것을 고려하여 온도 의존적인 약물의 방출경향을 살펴보았다. 시험은 10, 20, 25, 37℃에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Fig.
  • E-SLN의 캡슐화 효율을 구하기 위하여 제조된 현탁액과 0.05 ㎛ filter (0.05 ㎛ VMTP, Millipore, USA)로 한외여과 한 현탁액을 각각 0.5 mL씩 취하여 동량의 에탄올에 녹인 후 건조하고 1 mL의 증류수로 수용성인 약물을 추출하였다. 그다음 15,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고 표면의 지질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상등액을 UV-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옥용산은 236 nm (UV-vis scanning 에 의하여 흡광도의 최고 값을 나타내는 파장)에서, 비타민C는 260 nm에서 각각 측정하고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20).
  • EUD가 pH 의존적으로 pH 5.5에서 물에 용해되는 점을 고려하여 제조된 E-SLN이 피부의 pH와 비슷한 pH 5.5에서 붕괴되고 약물이 방출되는 지를 시험하였다. 요약하면 Szentmihalyi 등의 방법(23)에 따라 pH 5.
  • 1 mL tyrosinase 용액 (1250 units/mL)을 기질혼합물에 가하고 37 ℃ 에서 10분간 항온 배양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으며 475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공시험군으로 하고, 시료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다음 식과 같이 효소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5). 생약추출물에 따라 특유한 색을 띠고 이는 최종 흡광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반응혼합물의 흡광도에서 기질혼합물의 흡광도를 뺀 값을 계산에 사용하였다.
  • pH에 따른 방출경향. pH에 의존적인 EUD의 용해와 이에따른 약물의 방출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pH의 버퍼를 사용하여 37℃에서 용출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버퍼는 pH 1.
  • 흡수 패턴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0.1% (w/v) 농도로 녹인 옥용산 추출물과 구성성분을 200 ~ 600 nm 의 파장에서 spectrophotometer (Spectra View 2000, Ocean Optic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6).
  • 5 mL씩 취하여 동량의 에탄올에 녹인 후 건조하고 1 mL의 증류수로 수용성인 약물을 추출하였다. 그다음 15,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고 표면의 지질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상등액을 UV-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옥용산은 236 nm (UV-vis scanning 에 의하여 흡광도의 최고 값을 나타내는 파장)에서, 비타민C는 260 nm에서 각각 측정하고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20).
  • 8 이 되게 하여 준비하여 E-SLN 현탁액과 1:1로 혼합한 후 1시간동안 정치하여 음으로 염색하였다. 그리고 formvar/carbon이코팅된 grid (200 mesh)에 침지 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TEM을 통해 관찰하였다.
  • 일정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조건의다른 용기에 옮겨 담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누적 용출량을 산출하고 용출 %를 계산하였다. 또한 coconut oil 에의한 온도 의존적인 약물 방출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10, 20, 25, 37 ℃ 에서 같은 방법으로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 얻어진 추출액은 동결건조한 후 적량을 증류수에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옥용산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약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고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 멜라닌 지수의 측정: 멜라닌 지수의 측정은 자외선 조사종료 일주일 후인 최초 측정일을 포함하여 1주일 간격으로실시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Mexameter (MX 18, C+K, Germany)이며 이 기기를 통하여 대조군 및 시료 도포부위에서 멜라닌 지수 (Melanin Index, MI)를 각각의 시험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002%가 되도록 농축한 E-SLN과 같은 농도의 옥용산 (C)과 vitamin C (D)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크림베이스에 4% (v/v)만큼 첨가한 후 homogenizer (IKA ULTRA- TURRAX T25 basic, Germany)로 유화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크림베이스 (E)를 사용한 군과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군 (F)을 두었다.
  • 복합한방 재료인 옥용산에 대해 UV 흡수능, 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미백활성을 검정하고 비교 시험군으로서 비타민C와 함께 Eudragit 이 코팅된 coconut oil을 이용한 SLN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옥용산은 UV 영역에서 흡수능을 가지며 tyrosinase 저해 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진 것으로확인되었다.
  • 본 실험에서는 기질로서 L- tyrosine을 사용하여 11가지 옥용산 구성성분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색소형성 억제 정도를측정함으로서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옥용산과 옥용산 구성성분 중 조협과 저실자가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백급, 사인 찹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Fig.
  • 본 연구에서는 E-SLN을 제조하기 위하여 Rita 등(1), Hualiliang 등(18), Alf 등(19)의 방법을 응용하였으며 그 과정을 Fig. 1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15% (w/v)로 녹인옥용산과 비타민C 수용액을 coconut oil에 1 : 9 (v/v)의 비율로 혼합한 후 30초 동안 sonication (VCX 400, Sonics & Materials Inc.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옥용산의 미백효과를 tyrosinase 저해활성, free radical 소거활성, 자외선 흡수능을 통해 조사하였고 둘째, 추출물과 비교 시험 군으로서 비타민C를 포함하는 EUD가 코팅된 SLN (E-SLN)을 제조하고 형태, 크기분포, 캡슐화 효율 등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셋째로는 제조된 E-SLN 의 온도와 pH 의존적인 약물의 방출을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체 첩포시험과 인공 색소침착 후 시료도포에 의한 멜라닌 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 사람의 팔 안쪽 피부위에 2주에 걸쳐 인공자외선을 조사한후 1주일이 지난 그 익일부터 시료의 도포를 시작하였고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크림베이스와 크림베이스 +시료를 도포한 시험군에서의 % whiteness 변화 양상을 측정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시료 도포 후 1주부터 4주까지 대조군, A, D, E, C, B시료의 순으로 % whiteness가 증가하였으며, paired t-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차 (P < 0.
  • 사용된 기기는 Mexameter (MX 18, C+K, Germany)이며 이 기기를 통하여 대조군 및 시료 도포부위에서 멜라닌 지수 (Melanin Index, MI)를 각각의 시험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Tyros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공시험군으로 하고, 시료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다음 식과 같이 효소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5). 생약추출물에 따라 특유한 색을 띠고 이는 최종 흡광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반응혼합물의 흡광도에서 기질혼합물의 흡광도를 뺀 값을 계산에 사용하였다.
  • 효율 등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셋째로는 제조된 E-SLN 의 온도와 pH 의존적인 약물의 방출을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체 첩포시험과 인공 색소침착 후 시료도포에 의한 멜라닌 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 시료의 도포: 인공색소침착 부위에 도포할 시료는 위에서설명한 5개의 실험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자외선 조사 종료익일부터 6개의 인공 자외선 조사부위 (A-F)에 오전, 오후두 차례에 걸쳐 4주에 걸쳐 도포하도록 하였다.
  • 제외한 상등부에 폐쇄첩포하였다. 시험 중 부작용을 나타내거나 거부의사를 밝힌 자원자는 없었으며 48시간 후 첩 포를 제거하고 2시간이 지난 후 제거에 의한 일과성의 홍반의 소실을 기다려 관찰, 판정하였다. 판정결과, 30명 모두 A, B, C, D, E, F의 시 험군과 대조군에서 음성 (무반응I )의 판정을 받았다.
  • pH에 의존적인 EUD의 용해와 이에따른 약물의 방출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pH의 버퍼를 사용하여 37℃에서 용출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버퍼는 pH 1.4, 5.5, 7.4로서 각각 위장, 피부, 혈장의 pH를대별하며 방출 %는 약물의 방출이 완전히 끝났을 것으로 생각되는 60 시간에서의 약물의 방출량을 100%로 하여 계산하였다. 옥용산을 포함한 E-SLN의 경우, 피부의 pH인 pH 5.
  • 옥용산을 포함한 E-SLN: E-SLN 형성에 EUD의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EUD의 농도를 1.0~3.0%로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옥용산과 비타민C의 농도는 15% (w/v)를 사용하였으며 w/o 비율은 1 : 9, ethanol의 양은 20 mL, pour solution의 양은 200 mL로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온도는 실온 (25℃~27℃)에서 수행하였다.
  • 옥용산의 추출물과 그 구성성분의 추출물을 0.1% (w/v)가 되게 녹여 200 ~600 nm에서 UV scanning을 수행하였고, 그대 조 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UV spectrum을 분석한 결과 옥용산 및 그 구성성분은 대부분 UV 영역에서의 흡수 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Fig.
  • 5에서 붕괴되고 약물이 방출되는 지를 시험하였다. 요약하면 Szentmihalyi 등의 방법(23)에 따라 pH 5.5, 1.4 그리고 7.4인버퍼를 제조하고 USPXXD basket method를 응용하여 30 mL 의 버퍼가 담긴 50 mL 플라스틱 용기에 1 mL의 시료를 투석막을 통해 용출시켰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조건의다른 용기에 옮겨 담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누적 용출량을 산출하고 용출 %를 계산하였다.
  • , USA)를 이용하여 6개의 인공 자외선 조사부위 (A-F)를 만들었다. 이때의 자외선 조사에는 UV-A와 UV-B lamp가 이용되었으며 1.0 MED (minimum erythma dose) 범위의 자외선을 일주일 간격으로 총 2회 조사하여 총 자외선 조사량이 2 MED가 되도록 하였다.
  • 인공색소침착: 색소침착은 각 피험자의 팔 상박 내측 부분에 Solar simulator (Model 601, Solar Light Co., USA)를 이용하여 6개의 인공 자외선 조사부위 (A-F)를 만들었다. 이때의 자외선 조사에는 UV-A와 UV-B lamp가 이용되었으며 1.
  • 4인버퍼를 제조하고 USPXXD basket method를 응용하여 30 mL 의 버퍼가 담긴 50 mL 플라스틱 용기에 1 mL의 시료를 투석막을 통해 용출시켰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조건의다른 용기에 옮겨 담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누적 용출량을 산출하고 용출 %를 계산하였다. 또한 coconut oil 에의한 온도 의존적인 약물 방출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10, 20, 25, 37 ℃ 에서 같은 방법으로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 제조된 E-SLN의 형상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JEM-2000 FXⅡ, Japan)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Phosphotungstic acid (2 wt %)를 KOH (1 N)로 pH 6.
  • 제조된 입자의 입경 및 크기의 분포는 Dynamic Light Scattering (DLS-7000, Otsuka Electronics Co. Ltd., Japan)을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였으며 다른 여과과정은 거치지 않았다.
  • 그 다음 현탁얙을 교반중인 200 mL의 증류수에 가하고 3시간 정도 교반하여 용매인 에탄올을 증발시킴으로서 E-SLN을 제조하였다. 제조변수에 따른 크기분포와 캡슐화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EUD의 농도, 나노에멀젼 제조 시 w/o의 비율, 그리고 pour solution의 온도를 달리하여 E-SLN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E-SLNe filter paper (Advantec.
  •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서 주름 생성 및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UV-A, B, C 및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수 패턴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0.

대상 데이터

  • DPPH (l, l-diphenyl-2- picrylhydrazyl), tyrosinase, L-tyrosine, coconut oil, 비타민 C 등은 Sigma Chemical Co.(US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Eudragit" L100-55는 Degussa (Degussa-Hiils Gruppe, Germany) 로부터기증받아 사용하였으며 기타 실험에 필요한 시약은 특급이상을 더 이상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LN 을 제조하기 위하여 핵심물질로서 coconut oil과 코팅물질로서 Eudragit"' L100-55 (EUD)를 사용하였다. 먼저 coconut oile 녹는점이 23~28 ℃ 로서 주로 Go, Ci2, Cm의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제한 것은 식용, 마아가린 등에 사용된다.
  • , UK)과 함께 사용하였다. 시료는 옥용산 (A)과 비타민C (B)의 농도가 각각 0.34%와 0.002%가 되도록 농축한 E-SLN과 같은 농도의 옥용산 (C)과 vitamin C (D)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크림베이스에 4% (v/v)만큼 첨가한 후 homogenizer (IKA ULTRA- TURRAX T25 basic, Germany)로 유화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크림베이스 (E)를 사용한 군과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군 (F)을 두었다.
  • 실험 재료: 임상 피험자 15명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조된 5개의 시료를 기본처방 (크림베이스, white lotion, Shirley Price Aromatherapy Ltd., UK)과 함께 사용하였다. 시료는 옥용산 (A)과 비타민C (B)의 농도가 각각 0.
  • 옥용산의 미백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에 사용한 n종의 생약은 시중에서 구입, 정선하여 사용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처방은 동의보감 외형편에 의거하였으며 그 구성약물과 양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DPPH (l, l-diphenyl-2- picrylhydrazyl), tyrosinase, L-tyrosine, coconut oil, 비타민 C 등은 Sigma Chemical Co.
  • 인체 시험을 위한 피험자는 아래와 같은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에 의거하여 12~30명을 선발하였다. 1) 선정기준 : 20 ~26세 사이의 여성, 전신상태가 건강할 것, 동의서 작성 및 설문 조사에 응할 것, 2) 제외기준: 현재 전신적인 질환 (당뇨, 고혈압, 결핵, 암, AIDS 등)을 갖고 있는 경우, 현재 임신 중인 경우, 과민성 피부염을 경험한 경우, 기존의 화장품이나 약제에 대한 과민성 피부염을 경험한 경우, 현재 피부암, 건선, 화상,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 제조변수에 따른 크기분포와 캡슐화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EUD의 농도, 나노에멀젼 제조 시 w/o의 비율, 그리고 pour solution의 온도를 달리하여 E-SLN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E-SLNe filter paper (Advantec. Toyo Roshi Kai아1a, Ltd., Japan)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 피부자극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A: 옥용산을 포함한 E-SLN, B: 옥용산 수용액, C: 비타민C를 포함한 E-SLN, D: 비타민C 수용액으로 하였으며 각각 0.5 mL의 시료를 사용하고 대조군으로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첩포 (E)를 두었다. 방법은 30명의 피험자에 대해 Finn chamber?]- 부착된 테이프 (Hill Top chamber, Hill Top Co.

데이터처리

  • 시료 도포 기간 중의 1주 간격으로 측정된 MI 평균값들에 대한 최초 측정일의 MI 평균값의 상대적 비율은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 Whiteness로서 구하였다. 1주 간격으로 얻어진 각 피험자의 % Whiteness를 기초로 하여 총 15명의 피험자 전체 집단의 % Whiteness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구한 다음, 대조군과 시료 도포 부위에서의 % Whiteness를 Paired t-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P < 0.
  •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료 도포 기간 중의 1주 간격으로 측정된 MI 평균값들에 대한 최초 측정일의 MI 평균값의 상대적 비율은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 Whiteness로서 구하였다. 1주 간격으로 얻어진 각 피험자의 % Whiteness를 기초로 하여 총 15명의 피험자 전체 집단의 % Whiteness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구한 다음, 대조군과 시료 도포 부위에서의 % Whiteness를 Paired t-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 통계 분석 및 효능 판정: 색소 침착이 제대로 되지 않은 피험자와 중도 포기의사를 밝힌 한명의 피험자를 제외한 총 13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대조군 부위 1곳과 베이스 대조군 부위1 그리고 시료와 베이스를 혼합한 시험군 4곳의 MI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료 도포 기간 중의 1주 간격으로 측정된 MI 평균값들에 대한 최초 측정일의 MI 평균값의 상대적 비율은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 Whiteness로서 구하였다.

이론/모형

  • Lee 등(21)과 Kim 등(2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두 가지수용성 약물이 포함된 E-SLN과 옥용산에 대하여 첩포시험을통한 피부자극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A: 옥용산을 포함한 E-SLN, B: 옥용산 수용액, C: 비타민C를 포함한 E-SLN, D: 비타민C 수용액으로 하였으며 각각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