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한국문서형표준(KS X 6100)은 지난 2001년 7월 제정된 한국전자책문서표준(EBKS1.0)이 2002년 7월 한국산업기술표준원의 산업표준심의를 거쳐 제정되었다. 그러므로 한국문서형표준에 기반하여 작성된 전자책 문서들은 표준의 목적과 명세를 준수하여야 하며 표준의 준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적합성 검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검사의 기준이 되는 적합성 조항(Conformance Clause)의 정의와 이에 따른 적합성 검사 도구(Conformance Testing Tool)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의된 조항들을 통하여 전자책 제작자들은 전자책표준의 목적과 명세에 보다 적합한 전자책문서들을 제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들은 적합성 검사 도구를 통한 자동화된 적합성 검사 절차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적합성 검사가 가능하다.
EBKS(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 1.0 which was established in July 2001 passed the industry standard deliberation of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of Korea industry in July 2002. EBKS is now established as KS X6100 representing the Korea standard of electronic book of Korea. Therefore, Conformance test and certification procedure is required whether electronic books and documents which follow KS X 6100 are conform to specification of the standard. In the paper, we define conformance clause which is a basis for conformance test and standard electronic book schema. As a result, electronic book writers can produce more conformable documents to the specification and goal of electronic book standard by using the conformance clause, and service provider can effectively perform the conformance test by using standard electronic book schem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0[l][2]은 국내 전자책산업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제정된 산업표준이다. EBKS 1.0 버전은 전자책 컨텐츠의 명확환 교환을 지원함으로써 업계 간의 컨텐츠 공유를 가능케 하고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에 대한 중복투자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E-CALS에서는 두가지 측면에서 적합성 검사가 이루어지는데 문서 구조 검사와 문서 내용 검사가 그것이다. 먼저 문서 구조는 다양한 저작자에 의해 작성된 SGML 형태의 문서구조가 표준 문서 구조를 가지는 지의 여부를 확인 하는 것이다. 이것은 범용 SGML 파서로 수행되며 문서가 문법적으로 유효(Valid)한 것인가 만을 검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자책 표준인 KS X 6100의 명세를 준수하는 문서의 적합성 검사를 위한 적합성 조항과 기법을 제안하였다. 적합성 조항은 표준 문서가 기본적으로 준수해야할 구문론적인 문법과 문헌정보학적인 분류에 따라 준수해야할 문서의 의미적인 구조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조항에 따라 적합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보다 표준의 목적에 보다 적합한 문서를 자동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OEBPS에 대한 적합성 검사는 <그림 5>과 같이 Brown 대학의 STG(Scholarly Technology Group) [9]에서 제공되는 도구로서 수행할 수 있다. 이 도구의 목적은 전자책 문서가 표준 문법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신뢰성있는 문서의 출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절차 및 활용은 전자책 업체나 사용자, 그리고 신뢰성 있는 레지스트리 구축을 위해서 적합성 인증 평가 항목의 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준의 명세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는 인증 평가 항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