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지는 신체 표현과 패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ody Expression and Fashion Appeared in Music Video in Korea and America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8 no.9/10, 2004년, pp.1231 - 1241  

권기영 (미시건 주립대학교 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icians' body image and fashion styles portrayed in Korea and American music' video in aspects of body dimension such as sex, race, nature, and techn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spects of sex, male musicians showed the blurring of gend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시되는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것은 문화 연구의 중요한 측면이다(Holtzman, 2000).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지는 뮤지션들의 신체 이미지를 성, 인종, 자연 그리고 기술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동서양의 차이에 따른 신체 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에서 대중음악 스타들의 신체 이미지와 패션을 외모에 따른 신체 이미지의 분석 차원으로 성과 인종, 그리고 신체를 둘러싼 외적 환경으로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자연과 기술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차이점과 유사점, 그리고 내재된 의미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강석, (1997). 한국 뮤직비디오의 장르적 범주화와 영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식, 권중문, 지현호. (2000). 국내 뮤직비디오의 영상적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AURA, 7, 74-82 

  3. 김훈순. (2001).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성 정치학. 한국방송학보 통권. 15(3), 87-129 

  4. 박영욱. (1997). 뮤직비디오 형식의 사회적 의미. 시대와 철학. 8(2), 36-51 

  5. 백지숙. (2000, 9). 뮤직비디오와 MTV의 문화적 의미 몇 가지. 월간미술. 자료검색일 2004, 3. 15, 자료출처 http://www.wolganmisool.com 

  6. 양숙희, 김주영. (2002). 마돈나 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뮤직비디오 텍스트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0(1), 60-75 

  7. 유송옥, 한자영. (2001). 1990년대 이후 국내 대중음악 스타의 패션연출 특성에 관한 고찰. 복식, 51(5), 61-75 

  8. 최문규, 김희봉, 조경식, 서규환. (2000). 새로운 매체현실과 문화변화. 독일어문학, 11, 257-322 

  9. 최민성, (2002). 뮤직비디오 이미지 연구의 출발. 한국언어문화, 22, 365-382 

  10. Bennett.A. (2000). Popular music and youth culture. Hound-mills, Basingstoke, Hampshire: Macmillan. p.196 

  11. Berland, J. (1993). Sound, image and social space: music video and media reconstruction.(pp. 25-44) (ed in) Simon Frith, Andrew Goodwin, and Lawrence Grossberg. Sound and Vision: The Music Video Reader. London; New York:Routledge 

  12. Christenson, P. G. (1998). It's not only rock & roll: : popular music in the lives of adolescents. Cresskill, N.J. : Hamp-ton Press 

  13. Diamond, B. & Moisala, P. (2000). Music and Gender.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4. Englis, B. G, Solomon, M. R. & Olofsson, A. (1993). Con-sumption imagery in music television: A bi-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Advertising, 22(4),21-33 

  15. Gans, H. J. (1974).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16. Gow, J.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and sexual images and the popularity of music videos. Music and society, 14(1), 35-46 

  17. Hayt, E. (2000, Jan. 2). Style directives for 2000: Make it extravagant. New York Times, p. 91 

  18. Holtzman, L. (2000). Media messages: what film, television, and popular music teach us about race, clas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Annonk, N.Y.: M.E. Sharpe 

  19. How MTV has Rocked Television Commercials. (1989, Oct. 9). New York Times, p. D6 

  20. Kaplan, E. A. (1986). History, the historical spectator and gender address in music television.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10(1), 23-34 

  21. Lyrics World, 1998-2000. retrived from http://lyrics.natant.com.br 

  22. Miller, K. (1991). People and ideas. Apperture, 122(win), 118-120 

  23. Moisala, P. Diamond, B. & Koskoff, E. (2000). Music and Gender.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Rice, F. P. (1981).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Boston: Allyn and Bacon 

  25. Roediger, D. (1995). Guineas, wiggers, and the dramas of racialized culture. American Literary History, 7(4), 654-668 

  26. St. Lawrence, J. S. & Joyner, D. J. (1991). The effects of sexually violent rock music on males' acceptance of vio-lence against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5, 49-63 

  27. Tiggemann, M. (2002). Media influences on body image development. In T. F. Cash, and T. Pruzinsky (Eds.), Body image (pp. 91-98). New York: Guilford Press 

  28. Verden, P., Kathleen, D. & Powers, C. H.(l989), Heavy metal and adolescent delinquency. Popular Music and The Society, 13(1), 73-82 

  29. Watson, L. (2002, Dec 27). Sex appeal of 'video girls' sends wrong message to young people. Recorder. 107(52), p. A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