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치 결정요인: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중심으로
Personal Value Determinants of Fashion Orientation: Materialism and Consumer Conform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8 no.9/10, 2004년, pp.1243 - 1252  

박혜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양학과) ,  전경숙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ersonal values on fashion orientation. As personal values, this study adopted materialism and consumer conformity.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325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의복 태도나 의복행동에 대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많으며 사회심리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측정하여 집단을 세분화하거나 세분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소비자 행동은 결국 상품의 선택과 구매로 결정되므로 좀 더 직접적인 변수를 사용하여 패션성향을 분석하고자 개인의 패션성향 결정변수 중에서 소비성향을 나타내는 변수로 한정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들 외에도 동조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으나 모두 의복에 대한 동조성으로 국한하여 의복의 종류나 상황, 준거집단의 영향력 위주로 연구되었으며 소비자 동조성의 개념으로 국한한 선행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동조성을 Lascu and Zinkhan(1999)과 같이 소비자 동조성의 개념으로 한정하고 하위요인으로 규범적 동조와 정보적 동조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소비자 동조성이 패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치 변인들 중에서도 소비와 관계된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패션성향의 결정요인으로 가정한 경로모델을 제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패션성향에 대한 이론적 제시와 함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개인의 물질주의적 성향은 패션에 대한 개인의 소비 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물질주의와 아울러 소비와 관련된 가치 변수로서 소비행위에서의 대인간의 영향력(interpersonal influence)을 측정하는 소비자 동조성 (consumer conformity), 즉 구매나 구매 의사결정과 관련된 소비자의 동조적 성향을 선정하여 패션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패션은 그 자체가 사회적 동조현상이므로 소비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 모형의 적합성 판단을 위하여 Chi-square statistics,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of-fit index(GFI), Adjusted goodness-of-fit index(AGFI), and Tucker-Lewis index(TLI)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Comparative fit index(CPI)가 다른 지표보다 비교적 자료의 크기에 민감하지 않다는 Bentler(1990)에 따라 CFI도 산출, 제시하였다.
  • 없다. 본 연구는 가치 변인들 중에서도 소비와 관계된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패션성향의 결정요인으로 가정한 경로모델을 제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패션성향에 대한 이론적 제시와 함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산업의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는 소비와 관련된 가치 변수로서 물질주의를 선정하여 패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개인의 물질주의적 성향은 패션에 대한 개인의 소비 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질주의 성향과 소비자 동조성을 하위요인들로 세분화하지 않은 기존 연구 결과보다는 더 세부적인 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경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요인들을 세분화하여 경로를 밝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또한 Dariey and Johimson(1993)은 패션성향이 미국 여자 청소년의 쇼핑 행동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의 연구들은 소비자의 패션성향이 패션산업, 특히 소매상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임을 나타내므로 본 연구는 패션성향을 좀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패션성향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 패션 소비자 행동을 결정하는 변수인 패션성향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 변인들 중에서 소비와 관계된 변인인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패션성향의 결정요인으로 하여 경로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해 학문적 제언과 함께 패션산업의 마케팅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물질주의가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물질주의가 소비자 동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소비자 동조성이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본 연구는 소비자 동조성이 높을수록 의류 구매 시 사회적 영향을 인지하기 위해 준거인의 의복에 대한 관찰 또는 의복 정보 탐색 등을 하게 되어 결국은 소비자 동조성이 개인의 패션 성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게 되었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희구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집단에 동조하고자 하고자 하는 경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며 이를 가장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희구집단의 의복과 동일한 의복을 입는 것이므로 (Solomon, 2002) 본 연구 대상인 대학생들의 규범적, 정보적 동조성이 패션성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 연령이 높을수록 규범적 동조가 높아져서 동료들이 그들이 구매한 의복을 좋아하는 지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동조성도 높아져서 패션 트렌드와 친구들의 의복에 대한 의견을 더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본 연구는 소비자 동조성이 높을수록 의류 구매 시 사회적 영향을 인지하기 위해 준거인의 의복에 대한 관찰 또는 의복 정보 탐색 등을 하게 되어 결국은 소비자 동조성이 개인의 패션 성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게 되었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희구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집단에 동조하고자 하고자 하는 경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며 이를 가장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희구집단의 의복과 동일한 의복을 입는 것이므로 (Solomon, 2002) 본 연구 대상인 대학생들의 규범적, 정보적 동조성이 패션성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숙자, 이미현(2001)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의복을 또래집단과 비슷하게 입으려는 동조성이 더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물질주의는 사회적 지위의 상징성과 가시성이 높은 제품을 추구하는 것이 명백할 뿐 아니라 지위 상징성과 가시성이 높은 제품일수록 소비자 동조성이 강하다는 Lascu and Zinkhan( 1999)의 연구에 의해 본 연구는 물질주의가 소비자 동조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또한 Richins(1994)에 의하면 물질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그들의 외모를 위한 소유품에 더 가치를 두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즉, 물질주의란 끊임없이 계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추구하며 외모와 관련된 소비를 유발한다고 볼 수 있는데, 패션도 역시 지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추구함과 동시에 외모와 관련되어서 공적인 모습과 연관되는 것이므로 물질주의 성향이 패션성향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는 물질주의가 의복 구매 행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밝힌 선행연구(김선영, 2000; 이승희, 신초영, 2002;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이옥희, 2000; 임숙자, 이미현, 2001; 주성래, 정찬진, 정명선, 2001; 황선진, 이윤경, 2000)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고애란, 이수경. (1998).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자기효능감 및 감각추구 성향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7), 931-341 

  2. 김선영. (2002). 신세대 여성 소비자의 과시적 의복소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경희, 정성지. (2000). 중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3), 1276-1287 

  4. 김한나, 이은영. (2001).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341-1352 

  5. 이옥희, (2000). 물질주의와 의복의 과시적 소비성향이 정보원사용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8(2), 293-304 

  6. 이승희, 신초영. (2002). 여대생의 패션복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물질 주의와 쇼핑가치 주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37-1546 

  7. 이승희, 이랑, 정소영.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8. 임숙자, 이미현. (2001).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10), 1719-1727 

  9. 정미실, 강혜원. (1996). 규범적 영향에 의한 의복동조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10), 66-75 

  10. 정미자, 김구자. (2000). 중학생의 반사회성과 남성(여성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4 (8), 1276-1287 

  11. 주성래, 정찬진, 정명선. (2001). 청소년의 의복과시소비 모델. 한국의류학회지, 25(7), 1215-1226 

  12. 황선진, 이윤경. (2000). 소비자의 물질주의 특성과 제품의 가격, 구매시점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6), 884-494 

  13. Bearden, W, Netemeyer, R. & Teel, J. (1989). Measurement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March), 473-481 

  14. Belk, R. E. (1984). Three scales t measure constructs related to materialism: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s to measures of happi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291-297 

  15. Belk, R. E. (1985). Materialism;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December), 265-280 

  16.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17. Bentler, P. (1992). On the fit of models to covariances and methodology to the Bulletin. Psychological Bulletin, 112, 400-404 

  18. Byrne, B.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Darley, W. & Johnson, D. (1993). Effects of female adolescent locus of control on shopping behavior, fashion orientation and information search.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 Consumer Research, 3(2), 149-165 

  20. Frings, G. (1999). Fashion: From concept to consumer (6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1. Gutman, J. & Mills, M. (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64-86 

  22. Hofested, G. (1983). National cultures in four dimensions. International Studies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Spring-Summer, 46-74 

  23. Huddleston, P. Ford, I. & Bickle, Me. (1993). Demographic and life style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fashion opinion leadership among matur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4), 26-31 

  24. King, C., Tigert, D., & Ring, L. (1975). Contemporary fash-ion theory and retail shopping behavior: A segmentation analysi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AMA 

  25. Lascu, D. & Zinkhan, G. (1999). Consumer Conformity: Review and applications for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7(3), 1-11 

  26. Lumpkin, J. R. (1985). Shopping orientation segmentation of the elderly consum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3(2), 271-290 

  27. Mayer, D. & Anderson, H. (2000). Preadolescents and apparel purchasing confonnity to parents and peers in the consumer socialization proces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2), 243-257 

  28. Murphy & Witt. (1975). Group confonnity influence: A pro-posed measur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7, 115-121 

  29. Richins, M. (1994). Special possessions and the expression of material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3), 312-325 

  30. Richins. M. L. & Dowson S. (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December) 303-316 

  31. Roberts, J. & Jones, E. (2001). Money attitudes, credit card use, & compulsive buying among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5(21), 213-240 

  32. Shiffman, L. & Kanuk, L. (2000). Consumer Behavior (7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33. Solomon, M. (2002). Consumer Behavior (5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34. Tigert, D. & Bouregeous, T. (1975). Retail fashion segmenta-tion: A lifestyle application. The annual meetings of the Marketing Division of the Canadian Association of Administrative Sciences. the University of Alberta, Alberta, June 2-3 

  35. Yang, C. (1979). Lifestyle: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