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megaterium N4에 의한 들깨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erilla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acillus megaterium N4.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4 no.5 = no.66, 2004년, pp.761 - 769  

문병주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김현주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송주희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이광열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백정우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정순재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지역의 들깨 하우스내에서 들깨의 잎에 갈색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습도가 높을 시에는 잎에 무름증상과 줄기에 잘록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주전체가 고사하여 흰색의 균사로 뒤덮히고 균핵이 형성되는 병해가 발생하여 1998년 5월에 자연발생된 균핵병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약 8.1~28.3%로서 평균 13.9%였다. 이러한 증상을 띄는 병반으로부터 분리된 16균주를 균사절편 접종법으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접종 1일 후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자연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16균주 모두 80.0% 이상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52균주를 공시선발하고,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들깨 균핵 병균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길항세균인 Nl 등 6균주를 공시하고 병원균 52균주와 균사생육 억제효과 및 생육상내 포트검정을 통해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N4 균주에 의한 균사생육 억제효과와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시 길항균을 병원균처리 1~3일 전에 처리할 경우 80.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치료 효과보다는 발병예방효과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 N4 균주를 Bergey's manual과 API system을 이 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으로 동정 되었으며, 이를 수화제형인 미생물농약 N4제제로 제조하여 유기합성 농약인 베노밀수화제와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원균처리 3일 전에 처리할 경우 N4 수화형 제제의 방제가가 98.0%로 베노밀수화제에 의한 78.0%보다 방제가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t the major perilla cultivating area, Gangdong-dong, Gangseo-gu, Busan in 1998.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ranged from 8.1 to 28.3% at Gangdong-dong area during the growing seasons. Symptoms of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강동동 지역에 발생한 들깨 균핵병의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이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우수길항균으로 확인된 B. megaterium N4 균주를 미생물제 제로 제형화하여 이들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ams, P. B. 1975.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n soil. Plant Dis. Reptr. 59, 599-603 

  2. Adams, P. B. and W. A. Ayers. 1982.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a lettuce drop in the field by Sporidesmium sclerotivorum. Phytopathology 72, 485-488 

  3. Agriose. G. N. 1997. Plant pathology. pp. 635, 4th ed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4. Bok, S. H. 1993. Non-Toxic Biopesticide, Process optimization for production, delivery and formulation of microbial fungicide GEF-1. pp. 62,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Transaction, Seoul, Korea 

  5. Burr, T. J., M. N. Schroth and T. Suslow. 1978. Increased potato yields by treatment of seed pieces with specific strains of Pseudomonas fluorescens and Pseudomonas putida. Phytopathology 68: 1377-1383 

  6. Cha, W. J., C. S. Kim, J. H. Song, H. J. Kim, Y. B. Lee and B. J. Moon. 2002. Leaf blight of perill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Korean J. of Life Science. 12(6), 708-714 

  7. Cho, C. T. and B. J. Moon. 1994. Sclerotinia rot of perill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and its new host. Res. Bull. Inst. Agr. Reso. Dong-A Univ. 3, 11-24 

  8. Choi, Y. H. 2002. Development of labor saving - and environment friendly-cultivati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erilla leaf in Miryang area. pp. 480,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Transaction, Seoul, Korea 

  9. Hong, W. F., S. T. Hsu and K C. Tzeng, 1993. Bacterial wilt of perilla crispa : new host and new transmission method. ACIAR proceeding Australian Center for International Agriculture Research 45, 373-375 

  10. Hsu, S. T., W. F. Hong and K. C. Tzeng, 1993. Bacterial wilt of perilla caused by Pseudomonas solanacearum and its transmission. Plant disease 77, 674 

  11. Huang, H. C. and G. C. Kozub. 1993. Survival of mycelia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n infected stems of dry bean, sunflower and canola. Phytopathology 83, 937-940 

  12. Jung, H. K. and S. D. Kim. 2003. Purification and ch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antibiotic from Bacillus megaterium KL39, a biocontrol agent of red-pappe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3), 235-241 

  13. Jung, Y. R., W. K. Sin and S. W. Kang. 1993. Development of the microbial pesticide for controlling gray mold rot of greenhouse crops. pp. 24, Gyeongna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 Transaction, Gyeongsangnam-do, Korea 

  14. Kohn, L. M. 1979. Delimitation of the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pathogenic Sclerotinia species. Phytopathology 69(8), 881-886 

  15. Kim, C. S., J. P. Lee, J. H. Song, E. K. Lim, S. J. Chung, S. Y. Ha and B. J. Moon. 2001. Development of biofungicide for control of gray mold rot of eggplant caused by Botrytis cinerea and bioassay in the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of Life Science 11(3), 235-241 

  16. Koike, S. T., R. F. Smith, L. E. Jackson, L. J. Wyland, J. I. Inman and W. E. Chaney. 1996. Phacelia, Lana woollypod vetch, and Austrian winter pea: Three new cover crop hosts of Sclerotinia minor in California. Plant Dis. 80, 1409-1412 

  17.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01. A statute book to be connected with chemicals. pp. 69,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Industrial Association, Seoul, Korea 

  18. Lee, G. S., G. A. Kim and T. S. Kang. 1998. Industrial development of microbial fungicide for biological control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pp. 113,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Transaction, Seoul, Korea 

  19. Moon, B. J., S. H. Roh, Y. J. Son, H. S. Kang, J. P. Lee, B. S. Kim and D. S. Chung. 1998. Occurrence of gray mold rot of peril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Korean J. Plant Pathol. 14(5), 467-472 

  20. Moon, B. J. 1999. Development for quality, high yield production and labor saving culture of leaf perilla around Nakdong River. Occurrenc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everal diseases of perilla and biological control by antagonistic bacteria. pp. 277,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Transaction, Seoul, Korea 

  21. Moon, B. J., C. S. Kim, J. H. Song, H. J. Kim, J. P. Lee, H. C. Park and D. B. Shin. 2002. Biological control of gray mold rot of peril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Ⅱ. Formul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and its control effect. Res. Plant Dis.. 8(3), 184-188 

  22. Olaya, G., G. S. Abawi and J. Barnard. 1996. Influence of water potential on survival of sclerotia in soil and on colonization of bean stem segments by Macrophomina phaseolina. Plant Dis. 80, 1351-1354 

  23. Purdy, L. H. 1979. Sclerotinia sclerotiorum : History, disease and symptomatology, host rang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impact. Phytopathology 69, 875-880 

  24. Son, Y. J., J. P. Lee, C. S. Kim, J. H. Song, H. J. Kim, J. W. Kim, D. H. Kim, H. C. Park and B. J. Moon. 2002. Biological control of gray mold rot of peril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Ⅰ. Resistance of perilla cultivars and selec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Plant Pathol. J. 18(1), 36-42 

  25. Wong, A. L. and H. J. Willetts. 1975. A taxonomic stud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related species. J. Gen. Microbiology. 88, 339-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