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의 방문간호 서비스 요구 특성

Working with Vulnerable Families: A Nurse Home Visiting Perspective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6, 2004년, pp.1025 - 1034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fines a vulnerable group in a community that has become the main target of a national health project also, it is descriptive research to suggest an evidence-based direction to meet their deficit health-related needs, Method: This research examined 833 families and 1,835 fami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대도시 지역 인구에 비추어 일개동당 360가구 정도를 간호사가 접근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가구 였다. 그러므로 동 단위로 1인의 방문 보건 간호사를 두면 양적인 측면에서 취약계층 인구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것이 가능함을 본 연구과정을 총해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에서제시한 개념 틀의 세 영역을 평가함으로써 취약계층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 또한 이러한 요구의 규명은 취약계층의 간호중재 유형을 정형화하고, 간호사업의 경험적 증거를 만들어가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간호 실무 및 연구에서도 의미있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본연구는 공공보건사업에서 관리해야 하는 취약계층의 요구 특성을 규명하고, 요구특성을 유형화함으로써 현장 간호사업에 유용한 기초정보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국가 보건사업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그들의 건강관련 요구특성을 파악하여 취약성을 규명함으로써 정책결정의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이다. 취약계층을 정의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표인 소득수준과 생산적 기능수준을 나타내는연령을 기준으로 삼는다.
  • 취약계층을 정의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표인 소득수준과 생산적 기능수준을 나타내는연령을 기준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도 이 기준으로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취약성의 속성인 삶의 과정에서 위험요인과 건강수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의 동원능력 등을 평가하여 취약계층의 요구특성을 규명하였다. 요구특성의 분포로보아 사회적 지표를 기준하여 정의한 취약계층은 취약성의속성을 충실히 내포하고 있었으며, 요구의 속성은 5개의 요인으로 집락화 되는 성향을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취약계층의 건강관리 요구의특성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derson, K. H. (2000). The family health system approach to family system nursing, Journal of family Nursing, 6(2), 103-119 

  2. Appleton, J. V. (1995). Health visitor assessment of vulnerability. Health Visitor, 68(6), 228-231 

  3. Appleton, J. V. (1996). Working with vulnerable families: a health visiting perspective, J. of Advanced Nursing, 23(5), 912-918 

  4. Burt, S., & Heineken, J. (2003). Connecting with older clients, Home health care nurse, 21(2), 108-114 

  5. DOH (Department of Health, 2000). Making a differencies in primary care: the challenge for nurses, midwives and health visitors, case studies from NHS Regional Conferences, London 

  6. DOH (Department of Health, 2001). The health visitors and school nurse deveopment program, London 

  7. Feetham, S. L., & Deatrick, J. A. (2002). Expanding science policy regarding research with vulnerable famililies, JEN, 8(4), 371-382 

  8. Flaskerud, J. L., & Winslow, N. L. (1998). Conceptualiz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 related research, Nursing Research, 38(4), 210-215 

  9. Hanks, C. A., & Smith, J. (1999). Imprementing nurse home visitation programs, Public Health Nursing, 16(4), 235-245 

  10. Lee, I., Song, M., Kim, E., Lee, S., Jin, Y., Lee Y., & Lim, K. (2003). Integration of community health sevices based on the clients' needs, KIHASA, Seoul 

  11. MOHW (2002). Guideline of Home visiting services for nurse 2002, MOHW, Seoul 

  12. MOHW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2003-2004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for visiting health program in urban health center(proceeding) 

  13. MOHW (2004). Guideline of Home visiting services for nurse 2004, MOHW, Seoul 

  14. Pusan-Saha Health Center (2003). Annual evaluation report of home visiting services 2003, Pusan, Korea 

  15. Shaaver (Eds.), Handbook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71-73. Thousand Oaks, CA, Sage 

  16. Sungbuk Health Center (2003). Annual evaluation report of home visiting services 2003, Seoul, Korea 

  17. Tripp-Reimer, T. (1999). Critical health needs of communities and vulnerable populations. Clinical nursing research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A. S. Hinshaw, S. L. Feetham, & J. 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