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의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thing Coor and Exposure on Stereotype Formation of Women′s Appearanc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11, 2004년, pp.137 - 150  

이미숙 (Dept. of Consumer and Textiles Science, Ohio state University) ,  박성은 (Dept. of Consumer and Textiles Science, Ohio state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color and exposure on stereotype formation of female appearance.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survey were 418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aejon, Ko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사람들은 타인과의 첫 대면과정에서 개인이 착용한 의복 단서에 근거하여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형성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과정에서 의복의 색과 노출 정도는 두드러진 의복단서로 작용하여 착용자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 착용자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피험자는 주어진 하나의 Script를 읽은 후, Ssript에 제시된 의복 착용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요청되었다. 한편.
  •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판단형성시 중요한 가시적 단서로 제시되는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기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의복변인뿐 아니라 의복 착용자와 지각자의 성별이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의복에 대한 남녀 지각자의 고정관념을 연구하였으므로, 남성의 의복에 대한 남녀 지각자의 고정관념을 연구하는 것도 매우 흥미있으리라 판단된다. 셋째, 본 연구는 자유응답식 질문을 통한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 관념 을 연구하였으므로, 후속연구에서 는 자유 응답식 질문과 의 미미분척도의 상호보완적 인사용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간접적으로 밝혀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독립변인인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의복 고정관념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피험자의 자유로운 사고를 통해 심층적인 내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Script에 제시된 여성의 의복에 대한 설명을 읽고 피험자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형용사 형태로 자유응답식 (open-end question)으로 기술하도록 하는 측정방법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피험자는 주어진 하나의 Script를 읽은 후, Ssript에 제시된 의복 착용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요청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에 따른 여성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사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각 피험자가 Ssript에 제시된 의복 착용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 응답식으로 3가지로 한정하여 기술하도록 한 질적인 자료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 Ferraro, 200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류학을 전공하는 10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준거집단과의 토론을 통해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2명의 연구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모든 응답을 기록하고 이 중 서로 유사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응답에 대해서는 하나의 대표되는 응답을 선정한 후, 응답내용을 의미상의 유사성과 차이성에따라 범주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착용자의 얼굴, 표정, 체형 등의 다른 가외변인의 영향을 줄이고 의복단서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관념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극 인물에 대한 변인의 통제가 자유로운 Script를 자극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Script는 220 자 내외로 이루어진 짧은 글로서 주어진 사회적 맥락 내에서 어떤 여성의 의복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단서인 자극 인물의 성별(여성)과 의복단서(의복의 색과 노출 정도), 그리고 사회적 맥락정보(시내의한 거리에서 친구를 기다리는 상황)를 제외한 다른 정보는 모두 배제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의복과 외모에 관심이 많은 세대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그 결과 설문조사를 통해 제시된 총 137개의 응답내용은 61개의 대표적인 응답으로 정리되었으며 이는 다시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렇게 1차적으로 형성된 범주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2차적으로 10명의 전문가 각각에게 독립적으로 이를 평가하도록 하는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혜원(1995). 의상사회심리학. 교문사 

  2. 고애란(1990). Suit의 색과 신체노출이 정숙성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윤경, 강경자(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 톤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395-406 

  4. 김인숙, 신소진(1994). 신체노출을 달리한 남성 캐주얼 복장에 대한 남.녀 대학생의 인상형성. 한국의류학회지, 18(4), 501-514 

  5. 이수지(1996). 성인 여성의 신체만족도 및 스트레스에 따른 미니 스타일 선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인자, 송선옥(1982). 외복과 인물이 첫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6(1),27-39 

  7. 이재호, 조긍호, 오경기, 김미라(2000). 사회적 범주의 암묵적 표상구조: 성별 고정관념의 비대칭적 점화효과, 한국인지과학회논문지, 12(1/2), 43-54 

  8. 이재호, 방희정(2003).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성별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의 점화효과. 인지과학, 14(2), 37-48. 

  9. 이주현(1990). 의복단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향미, 김재숙(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립, 색 및 맥락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312-320. 

  11. 이혜숙, 김재숙(1998 ),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제1보) -여자 저고리.치마를 중심으로한 준실험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5), 597-606 

  12. 조은영, 홍병숙(1995). 여성의 신체노출의상에 대한인지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9(5), 23-737 

  13. 차미승(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홍대식(1990). 사회심리학. 박영사 

  15. Abbey, A., Gozzarelli, C., Mclaughlin, K., and Harnish, R. (1987). The effects of clothing and dyad sex composition on perceptions of sexual intent: Do women and men evaluate these cues differentl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7, 108-126. 

  16. Avery, R. J. & Ferraro, R. (2000). Verisimilitude or Advertising?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4(2), 217-244. 

  17. Banaji, M. R. & Greenwald, A. G.(1995). Implicit gender stereotyping in judgements of fam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따I Psychology, 68, 181-198. 

  18. Berghe, P. L.(1966). Checklists versus open-ended questions: A comment on 'A brief report on the methodolgy of stereotype research'. Social Forces, 44(3), 418-419. 

  19. Cahoon, D. D. & Edmonds, M.(1987). Estimates of opposite sex first impressions related to female ’s clothing styl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5, 406. 

  20. Deaux, K. & lewis L. L. (1984). Structure of gender stereotypes : Inter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and gender lab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991-1004 

  21. Devin, P. G.(1989). Steretypes and prejudice: Their automatic and controlled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5-18 

  22. Ehrlich, H. J. & Rinehart, J. W. (1966) On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s: A reply. Social Farces, 44(3), 420-421 

  23. Fazio, R. H., Sanbonmatsu, D. M., Powell, M. C., Kardes F. R. (1986). On the automatic activation of attitud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229-238 

  24. Fiske, S. (1998). Stereotyp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D. Gilbert, S. Fiske, & G. Lindzey(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4th Ed.), NY: NcGrawrlill 

  25. Greenwald, A. G., & Banaji, M. R. (1995). Implicit social cognition: Attitude, self-esteem, and stereotypes. Psychological Review, 102, 4-27 

  26.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slothing(2nd Ed.).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7. Kunda, Z. (2000). Social cognition: Making sense of people. Cambridge, Mass: Mit Press. 

  28. MeGarty, C. (1999). Categorization in Social Psychology. London: SAGE Publications 

  29. Miller, F. G. (1982). Clothing and physical impairment: Joint effect on perception perception. 

  30. Peak, S. L. (1985).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perception of personal trai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1), 1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