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cetyl-D-glucosamine (NAG)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N-Acetyl-D-glucosamine (NAG)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0 no.4 = no.48, 2004년, pp.457 - 462  

김광수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최근호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최장우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최준학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한송희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남상윤 (전주대학교 자연과학부) ,  이승화 (나드리화장품(주)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cetyl-D-glucosamine (NAG)는 보습제로 사용되어지는 히아루론산의 구성물질인 뮤코 다당류의 일종이며, 특히 화장품으로서 응용은 보습제로서의 사용이 최초이다. 본 실험에서는 게나 새우의 껍데기에서 추출된 키틴탈아세틸화 하여 얻은 NAG를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현재 기능성 주름 원료로 알려진 레티놀(retinol)과 NAG를 비교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의 활성능력 및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으며,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을 위하여 HPLC로 역가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게의 껍질로부터 유도된 NAG는 피부에 자극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 및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헤어리스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피부층의 변화를 통하여 주름의 감소 효능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wrinkle effect of N-Acetyl-D-glucosamine (NAG) was evaluated by collagen synthesis and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fibroblast. NAG was obtained by purifying deacetylated chitin which can be derived from chitin-rich crab shell. We studied in in-vitro cultures of human normal fibroblast, whe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포 증식능에 따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포의 증식에 따른 콜라겐의 합성능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판 되어지고 있는 Takara사의 MK-101 procollagen type- 1 EIA kit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한 상등액을 통하여 기 서술되어진 실험방법에 의거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T. Sayo, S. Sakai, and S. Inoue, Regulation of hyaluronan synthesis in keratinocytes and its modulator, IFSCC (2002) 

  2. V. James, E. G. Suzanne, J. Gary, and J. V. John, Inhibition of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in photodamage: correlation between presence of high molecular weight collagen fragments and reduced procollagen synthesis, J. Inv. Der., 119(1), 122 (2002) 

  3. A. A. Van de Loosdrecht, E. Nennie, G. J. Ossenkoppele, and R. H. Beelen, Langenhuijsen MM. cell 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U937 cells by human monocytes and macrophages in a modified colorimetric MTT assay, A methodological study, J. Immunol. Methocls, 141(1), 15 (1991) 

  4. F. De Marchis, D. Ribatti, C. Giampietri, A. Lentini, D. Faraone, M. Scoccianti, M. C. Capogrossi, and A. Facchiano,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inhibit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giogenic properties in vitro and in vivo through its alpha receptor, Blood, 99(6), 2045 (2002) 

  5. Y. Tsukada, K. Miyazawa, and N. Kitamura, High intensity ERK signal mediates hepatocyte growth factor-induced proliferation inhibition of th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J. Biol. Chem, 276, 40968 (2001) 

  6. M. B. Taubman, B. Goldberg, and C. Sherr, Radioimmunoassay for human procollagen, Science, 186 (4169), 11150 (1974) 

  7. A. M. Parfitt, L. S. Simon, A. R. Villanueva, and S, M. Krane, Procollagen type I carboxy-terminal extension peptide in serum as a marker of collagen biosynthesis in bone, Correlation with iliac bone formation rates and comparison with total alkaline phosphatase, J. Bone Miner Res., 2(5), 427 (2000) 

  8. E. R. Savolainen, B. Goldberg, M. A. Leo, M. Velez, and C. S. Lieber, Diagnostic value of serum procollagen peptide measurements in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 Clin Exp. Res., 8(4), 384 (1984) 

  9. Y. Niitsu, N. Ito, K. Kohda, M. Owada, K. Morita, S. Sato, N. Watanabe, Y. Kohgo, and I. Urushizaki,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type I procollagen in tumor cells of scirrhous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Br. J. Cancer, 57(1), 79 (1988) 

  10. U. Hiroshi, Y. Haruo, T. Ichiro, K. Naoki, M. Mitsunobu, O. Masahiro, K. Tsuyoshi, and F. Toru, Accelerating effects of chitosan for healing at early phase of experimental open wound in dogs, Biomaterials, 20, 140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