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체 적합한 나노입자와 계면화학
Surface Chemistry in Biocompatible Nanocolloidal Particl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0 no.3 = no.47, 2004년, pp.295 - 305  

김종득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  정재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콜로이드와 계면화학은 표면적과 표면에너지의 학문이다. 계면상의 위치에 따라서 분자밀도, 분자간의 상호작용력, 분자 배향성 그리고 반응성이 달라진다는 것은 흥미있는 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계면에너지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시스템으로서 회합체, 에멀젼, 입자분산, 거품, 2차원적 표면이나 필름을 들 수 있다. 특히 나노 입자에 관련된 생체 적합성 재료를 사용하여 약물 전달체와 화장품 나노 소재로 이용하는데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나노 입자는 수 nm에서 수백 nm 크기를 갖는, 넓은 표면적을 가진 콜로이드 상의 불균일 분산 입자의 일종이다. 지금까지 나노 입자의 제조, 특성 규명,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 봉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되었다. 또한 난용성분 가용화 나노소재, 피부 흡수 증진용 나노소재, 자외선 차단용 나노소재, 안정화용 나노소재, 서방형 나노소재 등의 화장품 연구에 생체적합 나노전달체를 이용한 예가 보고되었다. 나노/마이크로 입자 시스템은 제조방법과 형태에 따라 나노/마이크로 스피어, 나노/마이크로 캡슐, 나노/마이크로 에멀젼, 폴리머 마이셀, 리포좀 등으로 구분된다. 수용액상에서 자기 회합체를 구성하는 나노수준의 폴리머 마이셀입자, 고농도, 고활성 물질에 대하여 농도 및 활성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나노/마이크로 캡슐, 단일 이중층 또는 다층(100~800 nm)을 형성하여 여러 생리 환성 물질의 전달체로 이용되는 리포솜(liposome)에 대하여 제조방법과 산업의 응용에 대해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have been focused on surface area and surface energy. Local surface properties such as surface density, interaction, molecular orientation and reactivity have been one of interesting subjects. Systems of such surface energy being important would be listed as associ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을 갖고 있는 신소재나 천연물의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재료보다는 나노입자의 구성 재료에 한정하여 생체 적합하고 생분해성인 재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생체 적합성 (biocompatible)이란 생체 이식과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물질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에 따른 결과로 체내에서 조직적합성 및 혈액적 합성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 분자밀도, 분자간의 상호작용력, 분자 배향성 그리고 반응성으로 분자회합체 에멀젼, 입자분산, 거품, 2차원적 표면이나 필름을 이용하여 약물 전달체와 화장품 나노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나노/마이크로 입자 시스템은 제조방법과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본고에서는 용액상에서 자기 회합체를 구성하는 나노수준의 폴리머 마이셀 입자, 고농도, 고활성 물질에 대하여 농도 및 활성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나노/마이크로 캡슐, 단일 이중층 또는 다층(100〜800 nm)을 형성하여 여러 생리 활성 물질의 전달체로 이용되는 리포솜(liposome)에 대하여 제조방법과 산업의 응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개성을 존중하고 질적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한 웰빙(well-being)시대의 시장전략은 이러한 미세한 나노입자를 조절제어하는 기술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향상에서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
  • 표적지향화란 이와 같이 약물을 약리효과 발현부위에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도를 총칭한다[28]. 나노/마이크로캡슐 표면의 특정 분자의 표면수식을 통해 체내의 특정부위에 선택적으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나노/마이크로 캡슐제제를 송달하고, 불필요한 부위로의 이행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표적에 도달할 때까지의 통과장벽을 극복하고, 송달 패턴을 제어하며, 나아가 이로부터 종합적인 재현성과 도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최근에는 의약 및 바이오산업의 진보에 따라 세포막 흡착 및 투과력이 우수한 펩타이드나 특정 anti-body를 캡슐의 표면에 수식하는 등 의 표적지향화도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 일반적인 나노/마이크로 캡슐의 피복물질로 사용되는 종류는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본고에서는 각각의 나노입자 시스템에 적합한 합성 폴리아미노산 (Self-assemblies), PLGA (나노/마이크로 캡슐), 지질(리포솜) 등의 생체 적합성 재료를 선정하고 그 예를 다음 장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이러한 콜로이드와 계면화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히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생체 적합한 회합체 콜로이드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기술을 계면 화학적 관점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 Faraday, Philos. Trans. R. Soc., 147, 145 (1857) 

  2. 김종득, 계면현상론, 28, 도서출판 아르케, 서울 (2000) 

  3. P. Alexandridis, U. Olsson, and B. Lindman, A reverse micellar cubic phase, Langmuir, 12, 1419 (1996) 

  4. J. Th. G. Overbeek, Faraday Soc. Disc., 65, 7 (1978) 

  5. J. K. Kim, S. H. Choi, C. O. Kim, J. S. Park, W. S. Ahn, and C. K. Kim, Enhancement of polyethylene glycol (PEG)-modified cationic liposome-mediated gene deliveries: effects on serum stability and transfection efficiency, J. Pharmacy and Pharmacology, 55(4), 453 (2003) 

  6. J. C. Kim and J.-D. Kim, Temperature-sensitivity of liposomal lipid bilayers mixed with poly(N-isopro-pylacrylamide-co-acrylic acid), J. Biochemistry 121, 15 (1997) 

  7. H. S. Kang, S. R. Yang, J.-D. Kim, S. H. Han, and I. S. Chang, Effects of grafted alkyl groups on aggregation behavior of amphiphilic poly(aspartic acid), Langmuir, 17, 7501 (2001) 

  8. D. T. Eddington and D. J. Beebe, Flow control with hydrogel,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6, 199 (2004) 

  9. C. T. Kresge, M. E. Leowicz, W. J. Roth, J. C. Vartuli, and J. S. Beck, Materials chemistry: macroporous crystalline vanadium oxide foam, Nature, 359, 710 (1992) 

  10. 권경옥, 권영두, 김상진, 김주덕, 박성순, 이화순, 新化粧品學, 166, 도서출판 동화기술, 서울 (1993) 

  11. 김강회, 이준우, 고병열, 생체고분자(polymeric biomaterials), 심층정보분석보고서 KISTI, 8, (2003) 

  12. S. Dumitriu, Dermocosmetic applications of polymeric biomaterials, Polymeric Biomaterials, 459, 2nd Edition 

  13. T. Miyamoto, S. Takahashi, H. Ito, H. Inagaki, Y. Noishiki, Tissue biocompatibility of cellulose and its derivatives, J. Biomed. Mater. Res., 23, 125 (1998) 

  14. N. E. Larsen and E. A. Balazs, Drug delivery systems using hyaluronan and its derivatives, Adv. Drug Delivery Rev., 7, 279 (1991) 

  15. S. Nilsson, A thermodynamic analysis of calciumalginate gel formation in the presence of inert electrolyte, Biopolymers, 32, 1311 (1992) 

  16. W. Malette, H. Quigley, and E. Adickes, Chitosan effect in vascular surgery, tissue culture and tissue regeneration. In: Chitin in Nature and Technology, R. Muzzarelli, C. Jeuniaux, G. Gooday (Eds.). Plenum Press, New York, 435 (1986) 

  17. W. H. Daly and D. Poche, The preparation of N-carboxyanhydrides of $\alpha$ -amino acids using bis (trichloromethyl)carbonate, Tetrahedron Letters, 29(46), 5859 (1988) 

  18. A. Harada and K. Kataoka, Formation of polyion complex micelles in an aqueous milieu from a pair of oppsitely-charged block copolymers with poly(ethylene glycol) segments, Macromolecules, 28, 5294 (1995) 

  19. S. R. Yang, J. H. Jeong, K. Park, and J.-D. Kim, Self-aggregates of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2-hydroxyethyl aspartamide) in aqueous solution, Coll. & Polym Sci., 28, 1852 (2003) 

  20. J. H. Jeong, H. S. Kang, S. R. Yang, and J.-D. Kim, Polymer micelle-like aggregates of novel amphiphilic biodegradable poly(asparagine) grafted with poly(capro-lactone), Polymer, 44, 583 (2003) 

  21. M. Vert, J. Mauduit, and L. Suming, Biodegradation of PLA/GA polymers: increasing complexity, Biomaterials, 15, 1209 (1994) 

  22. F. S. Shahi and X. Han,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 Cri. Rev. in food Sci. Nutrition, 33(6), 501 (1993) 

  23. H. Y. Lee, S. J. Lee, I. W. Cheong, and J. H. Kim, Microencapsulation of fragrant oil via in situ polymerization: effects of pH and melamine-formaldehyde molar ratio, Journal of Microencapsulation, 19(5), 559 (2002) 

  24. B. Y. Kim, H. S. Kang, and J. -D. Kim, Thermosensitive microparticles of PNIPAM grafted ethylcellulose by spray drying method, Journal of Microencapsulation, 19(5), 661 (2002) 

  25. R. Arshady, Biodegradable Microcapsules - Basic Criteria and Properties, Microspheres Microcapsules and Liposomes, Citus Books, 2, 227 (1999) 

  26. B. Y. Kim, Interaction of lectin-conjugated bioadhesive microparticles with mucin and their application to oral insulin delivery system, KAIST, Ph.D. thesis (2003) 

  27. S. J. Lee, J. R. Jeong, S. C. Shin, Y. H. Chang, and J. D. Kim, Nanoparticles of magnetic ferric oxides encapsulated with PLGA and their application as MRI contrast agent, Journal of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272-276, 2432 (2004) 

  28. 심창구, 정연복, 강연숙, 약물송달학, 한림원, 207 (1998) 

  29. L. Josephson, C. H. Tung, A. Moore, and R. Weissleder, High-efficiency intracellular magnetic labeling with novel superparamagnetic-tat peptide conjugates, Bioconjugate Chem, 10, 186 (1999) 

  30. M. Lewin, N. Carlesso, C. H. Tung, X. W. Tang, D. Cory, D. T. Scadden, and R. Weissleder, Tat peptide-derivatized magnetic nanoparticles allow in vivo tracking and recovery of progenitor cells, Nature Biotechnology, 18, 410 (2000) 

  31. T. T. Shen, A. Bogdanov, A. Bogdanova, K. Poss, T. J. Brady, and R. Weissleder, Magnetically labeled secretin retains receptor affinity to pancreas Acinar Cells, Bioconjugate Chem, 7, 311 (1996) 

  32. S. J. Lee, Y. H. Chang, Y. M. Huh, H. T. Song, J. S. Suh, and J. D. Kim, Intracellular translocation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encapsulated (IONE) with peptide-conjugated poly(D,L lactide-co-glycolide), 2004 CRS proceeding (2004) 

  33. P. C. Hiemenz and R. Rajagopalan, Colloidal structure in surfactant solutions, in principles of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Marcel Dekker, 3rd Ed., New York 

  34. R. Nagarajan and C. Ganesh, Block copolymer self-assembly in selective solvents: theory of solubilization in spherical micelles Macromolecules, 22, 4312 (1989) 

  35. J. D. Kim, S. R. Yang, Y. W. Cho, and K. Park, Fast responsive nanoparticels of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mino acid)s and proteinoids, Reflexive Polymers and Hydrogels, CRS press, 373, (2004) 

  36. A. Sharma and U. S. Sharma, Liposome in drug delivery: progress and limitation, Int. J. Pharm, 154, 123 (1998) 

  37. A. S. L. Derycke and P. A. M. Witte, Liposomes for photodynamic therapy, Adv. Drug. Deliv. Rev., 56, 17 (2004) 

  38. J. C. Kim, B. S. Kyoung, and J.-D. Kim, Temperature-sensitivity of liposomal lipid bilayers mixed with poly(N-isopropylacrylamide-co-acrylic acid), J. Biochemistry 121, 15 (1997) 

  39. 김진웅, 한상훈, 장이섭, 강학희, 고기능성 화장품 산업에서의 나노기술 최근 연구 동향, Food Science and Industry, 35, 4 (2002) 

  40. R. Arshady, Microspheres microcapsules & liposomes, Citus Books, London, (1999) 

  41. P. Blecher, Liposome dermatics to come according to the patent literature, liposome dermatics, springer-verlag, Berlin, (1992) 

  42. J. Y. Park, H. J. Choi, J. W. Shim, S. M. Ahn, J. Kim, and I. S. Chang, pH 감응형 나노입자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저해 연구, 대한화장품학화지, 30(1), 2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