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나노 실리카 및 카본 소재의 합성과 응용
Synthesis of Nano Structured Silica and Carbon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0 no.3 = no.47, 2004년, pp.321 - 328  

박승규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종윤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조완구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형합성법을 이용하여 메조기공(mesoporous pore)을 지닌 나노실리카 물질들과 나노카본볼의 대량생산법이 개발되었다.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그리고 메틸메르캅탄과 같은 악취 물질들이 마크로기공 코어-메조기공 쉘(macro-porous core/mesoporous shell) 구조체인 나노카본볼에 흡착되는 현상이 상업용 탈취제인 활성탄과 비교 조사되었다. 나노카본볼에서의 악취의 흡착 및 분해는 활성탄에 비해 우수하게 관측되었고 촉매가 나노카본볼 내부에 첨착되면 더욱 악취 분해 특성이 증가되었다. 나노카본볼의 우수한 흡착 및 분해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물리화학적 특성인 균일한 기공, 넓은 표면적, 큰 기공 부피에 관한 기공 특성과 악취의 분해 현상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나노카본볼은 탈취제 분야에서 많은 응용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no silica ball and nano carbon ball are developed commercially by template synthesis method. Adsorption of unpleasant smelling substances such as ammonia, trimethylamine, acetaldehyde and methyl mercaptane onto nano carbon ball with hollow macroporous core/mesoporous shell structures, nano carb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탄소 나노구조체들은 그 자체 특성만으로도 전극 재료, 흡착 및 탈취제 등과 같은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나, 대개의 경우 기능 강화를 위하여 제2 또는 제3의 물질을 함께 첨착 또는 담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개발하고자 하는 탄소 구조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나노 크기의 탄소 구조체로서 기존 활성탄에 비하여 흡착, 촉매능이 수십 혹은 수백 배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개발해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냄새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하지만, 그 외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구형의 입자 위에 균일하게 2 nm 이상의 메조다공성 실리카 껍질을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CTABr 및 CTACI 을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입자형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와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좁은 조성범위에서만 제한적으로 core-shell 구조의 실리카가 합성되었다.
  • 최근 복잡하고 까다로운 기존 공정 조건을 개선하고 고가의 원료물질을 대체하여 나노실리카볼(nano silica ball, NSB) 및 나노카본볼(nano carbon ball, NCB)의 대량 생산 공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나노실리카볼 및 나노카본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악취 냄새 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암모니아, trimethylamine, 아세트알데히드와 김치냄새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메틸메르캅탄의 흡착/분해되는 현상을 상업용 탈취제인 활성탄과 비교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합성법 (template synthesis)으로 제조된 신소재 나노 카본볼의 탈취제로서 성능극대화를 위해 나노 카본볼 shell의 두께 및 기공의 크기 즉, 흡착면이 잘 발달한 소재 중심으로 활성탄 대비 물성 평가와 악취가스의 흡착거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나노실리카볼 및 나노카본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악취 냄새 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암모니아, trimethylamine, 아세트알데히드와 김치냄새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메틸메르캅탄의 흡착/분해되는 현상을 상업용 탈취제인 활성탄과 비교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합성법 (template synthesis)으로 제조된 신소재 나노 카본볼의 탈취제로서 성능극대화를 위해 나노 카본볼 shell의 두께 및 기공의 크기 즉, 흡착면이 잘 발달한 소재 중심으로 활성탄 대비 물성 평가와 악취가스의 흡착거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 Yoshizawa, Y. Yamada, T. Furuta, M. Shiraishi, S. Kojima, H. Tamai, and H. Yasuda, Coal-based activated carbons prepared with organometallics and their mesoporous structure, Energy & Fuels, 11, 327 (1997) 

  2. H. Tamai, T. Yoshida, M. Sasaki, and H. Yasuda, Dye adsorption on mesoporous activated carbon fiber obtained from pitch containing yttrium complex, Carbon, 37, 983 (1999) 

  3. C. T. Kresge, M. E. Leonowicz, W. J. Roth, J. C. Vartuli, and J. S. Beck, Ordered mesoporous molecular sieves synthesized by aliquid-crystal template mechanism, Nature, 359, 710 (1992) 

  4. J. S. Beck, J. C. Vartuli, W. J. Roth, M. E. Leonowicz, C. T. Kresge, K. D. Schmitt, C. T.-W. Chu, D. H. Olson, E. W. Sheppard, S. B. McCullen, J. B. Higgins, and J. L. Schlenker, A new family of mesoporous molecular sieves prepared with liquid crystal templates, J. Am. Chem. Soc., 114, 10834 (1992) 

  5. R. Ryoo, S. H. Joo, and S. Jun, Synthesis of highly ordered carbon molecular sieves via template-mediated structural transformation, J. Phy. Chem., 103 (37), 7743 (1999) 

  6. J. S. Yu and S. B. Yoon, Nanostructured carbon capsules with hollowcore/mesoporous shell structure, mater. Res. Soc. Symposium Proceedings, 728, 241 (2002) 

  7. T. G. Lamond and H. Marsh, The surface properties of carbon-III, the process of activation of carbon, Carbon, 1, 293 (1963) 

  8. H. Marsh and B. Rand, 'The process of activation of carbons by gasification with $CO_2$ ', Carbon, 9, 63 (1971) 

  9. Z. Hu, M. P. Srinivasan, and Y. Ni, Preparation of mesoporous high-surface-area activated carbon, Adv. Mater., 12, 62 (2000) 

  10. R. W. Pekala, Aerogels derived from multifunctional organic monomers, J. Non-cryst. Solids, 145, 90 (1992) 

  11. H. Tamon, H. Ishizaka, T. Yamamoto, and T. Suzuki, Influence of freeze-drying conditions on the mesoporosity of organic gels as carbon pecursors, Carbon, 38, 1099 (2000) 

  12. T. Kyotani, Control of pore structure in carbon takashi kyotani, Carbon, 38, 269 (2000) 

  13. J. Ozaki, N. Endo, W. Ohizumi, K. Igurashi, M. Nakaharta, A. Oya, S. Yoshida, and T. Izulca, Novel prepa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esoporous carbon fiber from a polymer blend, Carbon, 36, 1031 (1997) 

  14. S. Iijima, Helical microtubules of graphitic carbon, Nature, 354, 56 (1991) 

  15. H. Gaucher, Y. Grillet, F. Beginin, S. Bonnamy and R-J. M. Pelleng, Low temperature physical adsorption in well-defined multiwall carbon nanotudes, in fundamentals of adsorption 6 (Ed, F. Memier), Elsevier, 243 (1998) 

  16. T. J. Bandosz, J. Jagiello, K. Putyera, and J. A. Schwarz, Pore structure of carbon-mineral nanocomposites and derived carbons obtained by template carbonization, Chem. Mater., 8, 2023 (1996) 

  17. F. Caruso, M. Spasova, A. Susha, M. Giersig, and R. A. Caruso, Magnetic nanocomposite particles and hollow spheres constructed by sequential layering Approach, Chem. Mater., 13, 109 (2001) 

  18. S. Jun, S. H. Joo, R. Ryoo, M. Kruk, M. Jaroniec, Z. Liu, T. Ohsuna, and O. Terasaki, Synthesis of new, nanoporous carbon with hexagonally ordered mesostructure, J. Am. Chem. Soc., 122, 10712 (2000) 

  19. J. Lee, K. Sohn, and T. Hyeon, Fabrication of novel mesocellular carbon foams with uniform ultralarge mesopores, J. Am. Chem. Soc., 123, 5146 (2001) 

  20. M. Kang, S. H. Yi, H. I. Lee, J. E. Yie, and J. M. Kim, Reversible replication between ordered mesoporous silica and mesoporous carbon, Chem. Commun., 1944 (2002) 

  21. W. Stober, A. Fink, and E. Bohn, Controlled growth of monodisperse silica spheres in the micron size range, J. Col, Interface Sci., 26, 62 (1968) 

  22. G. Buchel, K. K. Unger, A. Matsumoto, and K. Tsutsumi, Novel pathway for synthesis of submicrometer-size solid core/mesoporous shell silica spheres, Adv. Mater., 10, 103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