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 천문대(Bohyunsan Optical Astronomical Observatory, BOAO)의 BOES(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를 이용하여 2003년 2월 26-27일 이틀간에 걸쳐 BX And의 고분산 관측을 수행하였다. 이 관측을 통하여 얻은 스펙트럼은 총 38개로 위상 $0.1{\sim}0.3$에 이르는 구간을 제외하고는 전위상에 걸쳐 골고루 관측이 이루어졌다. 시선속도를 구하기 위하여 BF(Broadening Function)와 CCF(Cross-Correlation Function)를 이용한 방법 이 모두 사용되었다. CCF를 이용하였을 때는 주성의 시선속도만을 얻은 반면, BF인 경우, 주성과 반성의 시선속도 모두를 잘 결정할 수 있었다. 새로운 시선속도곡선으로부터 주성과 반성의 최대 시선속도를 각각 $K_1=96.1km/s$$K_2=196.6km/s$으로 얻었으며, 이를 Bell et al.(1990)의 측광해와 결합하여 BX And의 절대 물리량을 새롭게 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resolution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BX And using the BOBS (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ical Observatory (BOAO) were performod during 26-27, Feb. 2003. From the observations, we obtained 38 line spectra of BX And which cover all phases except the 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BOES를 이용한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실질적인 천문관측 연구 분야의 도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BOES로 획득한 BX And의 1차원 스펙트럼으로부터 기존의 CCF와 Rucinski의 BF를 계산하였고, 그것들을 분석하여, 위에서 기술한 두 방법을 상호 비교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얻은 새로운 시선속도을 이용하여 BX And의 기본 절대 물리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첨자 1은 주성을, 2는 반성을 의미한다. BRHH 는 BX And의 광도곡선 분석을 통하여 BX And의 궤도를 원으로 가정하였다. 가장 최근의 Jassur, Khalaj, & Kermani(2000)의 광도곡선에서도 BX And는 원궤도를 지닌 근접쌍성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우리도 BX And의 이심율을 0으로 가정하였다.
  • BRHH 는 BX And의 광도곡선 분석을 통하여 BX And의 궤도를 원으로 가정하였다. 가장 최근의 Jassur, Khalaj, & Kermani(2000)의 광도곡선에서도 BX And는 원궤도를 지닌 근접쌍성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우리도 BX And의 이심율을 0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식(5)와 (6)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shbrook, J. 1951, AJ, 56, 54 

  2. Bell, S. A., Rainger, P. P., Hill, G., & Hilditch, R. W. 1990, MNRAS, 244, 328 

  3. Castelaz, M. 1979, IBVS, 1554 

  4. Chou, K. C. 1959, AJ, 64, 468 

  5. Demircan, O., Akalin, A., & Derman, E. 1993, A&AS, 98, 583 

  6. Derman, E., Akalin, A., & Demircan, O. 1989, IBVS, 3325 

  7. Derman, E., Demircan, O., & Akalin, A. 1993, Ap&SS, 205, 327 

  8. Gulmen, O., Gudur, N, Sezer, C., Eker, Z., Keskin, V., & Kilinc, B. 1988, IBVS, 3266 

  9. Hilditch, R. W. 2001, An Introduction to Close Binary Star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Jassur, D. M. Z., Khalaj, A., & Kermani, M. H. 2000, IBVS, 5006 

  11. Kim, K.-M., Jang, B.-H., Han, I., Jang, J. G., Sung, H. C., Chun, M.-Y., Hyung, S., Yoon, T.-S., & Vogt, S. S. 2002, JKAS, 35, 221 

  12. Kreiner, J. M., Kim, C.-H., & Nha, I.-S. 2001, An Atlas of O-C Diagrams of Eclipsing Binary Stars (Wydawnictwo Naukowe Akademii Pedagogicznej: Krakow) 

  13. Lu, W., & Rucinski, S. M. 1999, AJ, 118, 515 

  14. Lu, W., Rucinski, S. M., & Ogloza, W. 2001, AJ, 122, 402 

  15. McLean, B. J. 1981, MNRAS, 195, 931 

  16. Pych, W., Rucinski, S. M., DeBond, H., Thomson, J. R., Capobianco, C. C., Blake, R. M., Ogloza, W., Stachowski, G., Rogoziecki, P., Ligeza, P., & Gazeas, K. 2004, AJ, 127, 1712 

  17. Rovithis, P., & Rovithis-Livaniou, H. 1984, Ap&SS, 105, 171 

  18. Rucinski, S. N. 1999, ASP Conf., 185, 82 

  19. Rucinski, S. M. 2002, AJ, 124, 1746 

  20. Rucinski, S. M:., & Lu, W. 1999, AJ, 118, 2451 

  21. Rucinski, S. M., Capobianco, C. C., Lu, W., DeBond, H., Thomson, J. R., Mochnacki, S. W., Blake, R. M., Ogloza, W., Stachowski, G., & Rogoziecki, P. 2003, AJ, 125, 3258 

  22. Rucinski, S. M., Lu, W., Capobianco, C. C., Mochnacki, S. W., Blake, R. M., Thomson, J. R., Ogloza, W., & Stachowski, G. 2002, AJ, 124, 1738 

  23. Rucinski, S. M., Lu, W., & Mochnacki, S. W. 2000, AJ, 120, 1133 

  24. Rucinski, S. M., Lu, W., Mochnacki, S. W., Ogloza, W., & Stachowski, G. 2001, AJ, 122, 1974 

  25. Samec, R. G., Fuller, R. E., & Kaitchuk, R. H. 1989, AJ, 97, 1159 

  26. Soloviev, A. 1945, Astronomical Circular of the USSR Academy of Science, 44, 3 

  27. Svolopoulos, S. N. 1957, AJ, 62, 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