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성간 탐사를 위한 심우주 추적망 관측모델 개발
DEEP SPACE NETWORK MEASUREMENT MODEL DEVELOPMENT FOR INTERPLANETARY MISSION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1 no.4, 2004년, pp.361 - 370  

김해연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박은서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송영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유성문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노경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박상영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최규홍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윤재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임조령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최준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병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행성간 탐사선의 정밀궤도결정에 필수적인 심우주 추적망(Deep Space Network, DSN) 관측모델을 개발하였다. DSN 관측모델은 DSN 관측시 발생하는 오차를 모델링하여 실제 DSN 관측값과 동일한 관측값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행성간 탐사선 정밀궤도결정 과정의 일환인 DSN 관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DSN 관측모델에는 대류층, 이온층과 안테나 옵셋 오차 모델을 포함시켰으며 임무에 따라 변하는 파라미터 값도 적용하였다. 또한 DSN 관측모델을 3개의 DSN 지상국에서 방위각-고도 마운트를 사용하는 모든 안테나에 대해 구현하였다. 고려한 오차모델의 결과값과 JPL 결과값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오차모델 값이 JPL에서 제시한 허용오차 범위인 $10\%$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차모델과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실제 관측과 동일한 DSN 관측값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관측모델이 향후 우리 나라 행성간 탐사 임무시 정밀궤도 결정을 위한 관측모델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SN(Deep Space Network) measurement model for interplanetary navigations which is essential for precise orbit determination has been developed. The DSN measurement model produces fictitious DSN observables such as range, doppler and angular data, containing the potential observational error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측모델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은 선진국에서 실시되고 있으나 기술이전에 소요되는 경비가 막대하고 그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우리나라의 행성간 탐사 임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관련기술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의 선행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선진 우주기술을 국산화 하는데 있으며, 특히 DSN 관측모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다.
  • 이 중 관측모델은 관측시 발생하는 오차항을 모델링하여 실제 관측과 동일한 관측값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관측 데이터를 처리하여 탐사선의 정밀궤도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우주 추적망(Deep Space Network, DSN)을 이용한 관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실제 기술 선진국에서는 오차모델과 관측모델에 관한 연구가 일찍부터 진행되어 왔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나라의 행성간 탐사 임무에 대비하여 DSN을 이용한 관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관측시 발생 가능한 오차항 계산을 위해 오차 모델과 파라미터 입력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ESA에서 제공하는 Mars Express 초기궤도요소(Hechler & Yanez 1999)를 이용하 여 2003년 6월 1일 17시 36분 19.5초에 지구를 출발하여 2003년 12월 26일 17시 36분 19.5초에 화성에 도착하는 탐사선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탐사선의 지구출발 쌍곡선궤도 요소는 표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ao, C. C. 1974, The Troposphere calibration model for mariner Mars 1971 (California: JPL), pp.61-76 

  2. Clynch, J. R., & Coco, D. S. 1986, Error characteristics of high quality geodetic GPS measurements: Clocks, orbits, and propagation effects. in Proceedings of Fourth International Geodetic Symposium on Satellite Positioning, Vol.I (Austin: Univ. Texas at Austin), pp.539-556 

  3. Hechler, M., & Yanez, A. 1999, Mars Express Consolidated Report on Mission Analysis (Darmstadt: ESOC), pp.30-55 

  4. Hofmann-Wellenhof, B., Lictengger, H., & Collins, J. 1992, GPS Theory and Practice Fifth, revised edition (Wien: Springer-Verlag), pp.87-116 

  5. Mendes, V. B. 1999, Modeling the neutral atmosphere propafation delay in radiometric space techniques (New Brunswick: Univ. New Brunswick), pp.55-298 

  6. Moyer, T. D. 1971, Mathematical formulation of the Double-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program (DPODP) (California: JPL), pp.59-87 

  7. Moyer, T. D. 2000, Formulation for observed and computed values of deep space network data types for navigation (New Jersey: A John willy & Sons), pp.277-538 

  8. Nishimura, T., & Hato, T. 1986, Tracking of Sakigake and Suisei and Development of Software package ISSOP for Orbit Determination ISAS report No.42 (Sagamihara: ISAS), pp.130-200 

  9. Renshaw, C. E., & Kallfelz, W. L. 1998, Review of the Anomalous Doppler Data from Pioneer 10 and 11 (Alpharetta: Tele-Consultants, Inc) 

  10. Thornton, C. L.., & Border, J. S. 2003, Radiometric Tracking techniques for Deep-Space Navigation (New Jersey: A John wiley & Sons), pp.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