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1 no.4, 2004년, pp.505 - 528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연구부) ,  박종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초록

[ ${\ll}$삼국사기${\gg},\;{\ll}$고려사${\gg},\;{\ll}$조선왕조실록${\gg},\;{\ll}$승정원일기${\gg}$ ]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 가운데 특히 달가림(lunar occultation) 기록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와 하루의 시작점을 알아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계산할 때는 백각법(百刻法)과 12진각법(十二辰刻法)이 사용되었고 하루의 시작점은 자정이었으나, 일상생활과 특히 천문관측에서는 경점법(更點法)이 사용되었는데, 하루의 시작점은, 최소한 고려시대부터는, 해 뜰 무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한 혼명(昏明)의 시간은 현대의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을 뜻함을 알아냈다. 우리의 결과는 현재 일상생활의 시간관념이 옛날 시간제도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농경사회에서 해의 뜨고 짐에 따라 일상생활이 정해지고 또한 천문 관측상 편리하기 때문에 경점법을 쓴 것이라고 해석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대 천문 관측 기록의 시간을 정확하게 미루어 계산하고, 그것을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reproduced the records of lunar occultation recorded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삼국사기), the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고려사),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Choson Dynasty (승정원일기), and obtained the epochs of their realiz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정에서 새벽 사이에 일어난 달가림 현상의 날짜가 며칠로 기재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만으로 간단히 우리의 의문을 풀 수 있다. 다만 시간 단위까지 자세히 기록한 사료는 《승정원일기》뿐이므로 우리는 먼저 《승정원일기》에 나오는 달가림 기록을 분석하여 해답을 얻고,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등에 나오는 달가림 기록에 대해서 비슷한 연구를 하여 당시의 하루의 시작점이 언제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 3절에서 확인해본 更 단위 시간에 관측된 천체 현상 기록을 분석해 보면 역시 항해박명이 昏明이라고 보고 비교하는 것이 기록을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昏明(즉 初昏과 昧爽)과 항해박명을 대체로 같은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의 고대 사료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을 분석하여 이러한 의문점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지속 시간이 짧고 시간을 거슬러 정밀한 계산이 가능한 천체 현상을 이용하여 당시 시간제도를 재구성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 본 논문에서는 그 원칙을 확인한 것이다.
  • 현대로 올수록 이러한 천문 기록은 더욱 자세한데, 이 가운데 시간 단위까지 정확하게 담고 있는 사료는 《승정원일기》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우리의 관심사는 옛날에 어느 정도까지 시간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준수하면서 천문 관측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것이므로 이러한 시간 정보가 남아있는 《승정원일기》의 천문 관측 기록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 그림 2. 승정원일기에서 매상(昧爽)에 일어난 월식들을 찾아 재현하고, 그 발생 시간을 당시의 시간 제도로 표현된 기록상의 시간과 비교해 본 것이다. 선들의 의미는 그림 1과 같다.
  • 지금까지 우리는 한국의 고대 천문 관측 사료 가운데 주로 달가림 현상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에 대해 연구했다. 조선시대의 《승정원일기》에 적혀 있는 천문 관측 자료에서는 12진 각법이나 백각법보다는 경점법을 썼으며, 매우 철저하게 시간을 재면서 천문 관측을 하고 그 결과를 정확한 기록으로 남겼음을 확인했다.
  •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의 고대 사료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을 분석하여 이러한 의문점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지속 시간이 짧고 시간을 거슬러 정밀한 계산이 가능한 천체 현상을 이용하여 당시 시간제도를 재구성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천문 현상으로 우리는 달가림 현상에 주목하였다.

가설 설정

  • 우리는 옛날 昧爽(明)이 오늘날의 항해박명인지 천문박명인지 알아보기 위해, 昧爽이 시민박 명, 항해박명, 천문박명 등과 해 뜨는 시각 사이라고 가정하고, 각각 경점법에 의한 시각을 정하여 보았다. 우리는 그 결과를 그림 2에 보였는데, 여기서 점선과 실선으로 나타낸 시간은 계산된 것이며, 세 개 가운데 실선이 짧은 것부터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박명을 뜻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남문현 1995, 한국의 물시계-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pp.55-75 

  2. 박창범, 나대일 1993, 한국상고사학보, 14, 95 

  3. 성주덕 저, 이면우, 허윤섭, 박권수 역주, 2003, 서운관지 (서울: 소명출판) 

  4. 안상현 1996, 한국과학사학회지, 18, 3 

  5. 안상현 2000,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서울: 현암사) 

  6. 안상현, 배현진, 조혜전, 정성욱 2002, 천문학논총, 17, 23 

  7. 안상현 2004, 한국우주과학회지, 21, 39 

  8.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69 

  9. 전상운 1963, 향토서울, 17, pp.49-114 

  10. 조인성 1988, 한국사시민강좌, 제2집 (서울: 일조각), pp. 71-88 

  11. ?藤國治, 1980, 科學史?究, 第II期, 9, No.134 

  12. ?藤國治, 小澤賢二 1992, 中國古代の天文記錄の檢證 (雄山閣: 東京) 

  13. 江濤(T. Kiang) 1980, 天文學報, 21, No.4 

  14. Ahn, S. -H. 2003, MNRAS, 343, 1095 

  15. Jeon, S. -W. 1974,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pp.42-93 

  16. Meeus, J. 1998, Astronomical Algorithms 2nd Ed. (Richimond: William-Be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