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릴렌과 트리아진기를 측쇄로 가지는 청색 발광 공중합체의 전기발광 특성
Electr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Blue Light Emitting Copolymer Containing Perylene and Triazine Moieties in the Side Chai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8 no.5, 2004년, pp.367 - 373  

이창호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류승훈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오환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전자공학부) ,  오세용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광체로 페릴렌기와 전자 전달체로 트리아진기를 측쇄로 가지는 새로운 비공액계 청색 발광 공중 합체를 합성하였다. 제조한 공중합체는 클로로벤젠, THF 클로로포름, 벤젠과 같은 일반 유기 용매에 매우 잘 녹았다. 전도성 투명 전극 (ITO)/공중합체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단층형 유기 발광 소자는 공중합체에서 트리아진의 함유량이 $30\%$일 때 캐리어 균형이 잘 맞았고 최고의 외부 양자 효율 ($0.003\%$)을 나타내었다. 특히 위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는 페릴렌 발광체에 상응하는 청색 발광 (479 nm)을 나타냈다. 구동 전압은 5V로 매우 낮았고, 색 좌표는 X 값이 0.16, Y 값이 0.17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vel non-conjugated blue light-emitting copolymers containing perylene and triazine moieties as light emitting and electron transporting units, respectively in the polymer side chain were synthesized. The resulting copolymers were soluble in most organic solvents such as chlorobenzene, THF, chlor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중합체의 수율과 수평균 분자량은 두 단량체의 공급 비율에 상관없이 75% 와 수평균 분자량 7200 전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공 전달 능력을 갖는 PPMA 청색 발광 단량체와 전자전달 능력을 갖는 DTPM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 활성이 비슷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두 단량체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여 생성된 공중합체의 정공 및 전자캐리어의 전달 균형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공중합체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 心& 페릴렌계 저분자 화합물은 전자전달 특성에 비해 정공 수송 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색 발광 단 위체로 페릴렌기와 전자전달 특성으로 트리아진기를 측쇄로 갖는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단층형 고분자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광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전자전달 단위체의 함유량에 따른 공중합체의 구조 변화가 발광 특성 및 효율 향상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을 검토하 였다
  • 는 barrier height, k는 상수 값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공중합체의 구조 변화에 따른 캐리어 주입 장벽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Au/PPPMA-co-DTPM/Au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소자의 Fowler-Nordheim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Figure 7에 나타내었다.
  • 17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제작된 발광 소자는 순수한 청색에 가까운 발광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PPPMA-co-DTPM을 사용하여 유기발광 소자를 구성할 경우 형광물질 및 인광물질의 도입에 따른 다양한 색상 구현은 물론 단층형으로 구성된 고효율 full color display의 제작이 가능함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색 발광 단 위체로 페릴렌기와 전자전달 특성으로 트리아진기를 측쇄로 갖는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단층형 고분자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광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전자전달 단위체의 함유량에 따른 공중합체의 구조 변화가 발광 특성 및 효율 향상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을 검토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W. Tang and S. A. Vanslyke, Appl. Phys. Lett., 51, 913 (1987) 

  2. H. Sirringhaus, N. Tessler, and R. H. Friend, Science, 280, 1741 (1998) 

  3. J. Matsui and T. Miyashita, Angew. Chem. Int. Ed., 42, 2272 (2003) 

  4. B. Comiskey, J. D. Albert, H. Yoshizawa, and J. Jacobsen, Nature, 394, 253 (1998) 

  5. D. Braun and A. J. Heeger, Appl. Phys. Lett., 58, 1982 (1991) 

  6. N. Tessler, G. J. Denton, and R. H. Friend, Nature, 382, 695 (1996) 

  7. J. S. Lee, J. S. Suh, and I. H. Cho, J. Ind. Eng. Chem., 7, 396 (2001) 

  8. Z. Weihong, H. Cheng, C. Kongcha, and T. He, Synth. Met., 96, 151 (1998) 

  9. P. L. Bum and I. D. W. Samuel, Mat. Today, 1, 3 (1998) 

  10. S. Y. oh, C. H. Lee, and J. W. Choi, Synth. Metals., 117, 195 (2001) 

  11. S. Y Oh, C. H. Lee, and S. Jung, Mol. Cryst. Liq. Cryst., 371, 415 (2001) 

  12. Y. J. Shirota, Mat. Chem., 10, 1 (2000) 

  13. K. A. Killeen and M. E. Thompson, J. Appl. Phys., 91, 6717 (2002) 

  14. T. W. Lee, O. O. Park, J. Kim and Y. C. Kim, Macromol. Res., 10, 278 (2002) 

  15. J. Kido, M. Kohda, K. Hongawa, K. Okuyama, and K. Nagai, Mol. Cryst. Liq. Cryst., 227, 277 (1993) 

  16. C. H. Lee, S. W. Kim, and S. Y. Oh, Polymer(Korea), 26, 543 (2002) 

  17. C. H. Lee, S. H. Ryu, and S. Y. Oh, Mat. Sci. & Eng. C, 24, 87 (2004) 

  18. C. H. Lee, S. H. Ryu, and S. Y Oh, J. Polym. Sci. Polym. Phys., 41, 2733 (2003) 

  19. F. Nuesch, L. J. Rothberg, E. W. Forsythe, Q. T. Le, J. D. Kres, R. L. Martin, D. L. Smith, N. N. Barashkov, and J. P. Ferrari, Phys. Rev. B., 54, 14321 (1996) 

  20. F. Willig, Chem. Phys. Lett., 40, 331 (1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