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게임이 아동의 공간인지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puter Games on Children's Spatial Cognitive Skill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10 = no.200, 2004년, pp.79 - 89  

임송미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순형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d children's spatial cognitive skills as based on their practice with computer games. The sixty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re were twenty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1 (the geometric game experimental group), twenty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컴퓨터 게임 유형 중 도형 게임과 아케이드 게 임을 아동에게 연습하게 한 후, 컴퓨터 게임 연습 유무가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컴퓨터 게임 유형에 따른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컴퓨터 게임 유형 중 도형 게임과 아케이드 게 임을 아동에게 연습하게 한 후, 컴퓨터 게임 연습 유무가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컴퓨터 게임 유형에 따른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문제 제기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컴퓨터 게임이 아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 연구가 부족한 현시점에서 실험 처치를 통해 인과관계를 규명한 연구라는 점이다.
  • 이 과제에서 밝힌 것은 폭력과 선정성 등 유아의 발달에 해악이 되는 요소를 배제한 순수 공간 요소로 구성된 컴퓨터 게임을 통해 아동이 인지 발달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컴퓨터 게임 실험 연구의 문제인 컴퓨터 게임의 폭력적 요소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줄 것이며 컴퓨터 게임의 폭력적 요소를 배제한 상태에서도 흥미 있고 유익한 게임을 만들어 교육 프로그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가설 설정

  • 1.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시각적 지각 속도, 정신적 전환, 공간 시각화) 과제 수행은 컴퓨터 게임 연습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2.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시각적 지각 속도, 정신적 전환, 공간 시각화) 과제 수행은 컴퓨터 게임 유 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4세 아동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만 4세 아동을 선정한 이유는 구체적 조작기 이전의 만 4세 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의 효과를 밝힌 연구가 드물며, 만 4세를 전후로 공간 기술의 발달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하에 선정하였고(이순 형. 서봉연. 이소은. 성미영, 1999). 아직 컴퓨터 게 임의 접촉이 빈번하지 않은 연령이므로 가정에서 컴퓨터를 접할 수 있는 통제 변인을 줄이기 위해 만 4세 아동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영희(1993). 컴퓨터 게임 문화가 청소년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문화센터자료집 

  2. 김춘경(1996). 비디오게임과 아동의 인성특성간의 관계연구.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3. 라바텔리, C. S.(1973). 피아제식 교육과정. 조연순(편역). 서울: 예쁜 튼튼사, 1982 

  4. 박정숙(1987). 유아의 수학습을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의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박혜원, 곽금주(1996). 청소년을 위한 전자게임 프로그램의 규제 및 평가체제 개발. 집문당 

  6. 신승덕(1990). 유치원 컴퓨터 교육 실태에 관한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종렬(1993). 아동의 컴퓨터 게임 활용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유호조(1994). 컴퓨터 찬반양론. 월간게임 

  9. 이동우(1993). 비디오 게임이 어린이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순형(1986). 사회계층에 따른 4. 5세 아동의 수리능력 비교.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지도연구, 6, 47-67 

  11. 이순형, 서봉연, 이소은, 성미영(1999). 컴퓨터 게임이 아동의 공간기술과 단기 기억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0(3), 293-306 

  12. 이순형, 이소은(1997). 전자오락경험과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시각정보처리능력. 아동학회지, 18(2), 105-120 

  13. 한국산업경영연구소(1980). 전자오락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연구소 세미나 자료집, 9(12) 

  14. Ball, H. G. (1978). Telegram teach more than you think. Audiovisual Interaction, May, 24-26 

  15. Chambers, J. H. (1987). The effects of prosocial and aggressive video games on children's donating and helping.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8(4), 499-505 

  16. Clements, D. H. (1985). Computer in early and primary education. NJ; Prentice Hall 

  17. Clements, D. H. (1986). Effect of LOGO and CAI environments on cogni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309-318 

  18. Clements, D. H. (1987). Computer and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3(1), 34-44 

  19. Doval, M. & Pepin, M. (1986). Effect of playing a video game on a measure of spatial visualiz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2, 159-162 

  20. Driskell, J. E. & Dwyer, D. J. (1984). Microcomputer video game based training. Educational Technology, February, 11-12 

  21. Estes, D. (1998).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their mental activity: The case of mental rotation. Child Development, 69(5), 1345-1360 

  22. Forsyth, A. S. & Lancy, D. F. (1987). Stimulated travel and place location learning in a computer adventure game.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 377-394 

  23. French, J. W., Ekstrom, R. B., & Price, L. A. (1963). Kit of reference tests for cognitive factors.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4. Gagnon, D. (1985). Video games and spatial skills: An exploratory study.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ngy Journal, 33, 263-275 

  25. Irwin, A. & Gross, A. M. (1995). Cognitive tempo, violent video games, and aggressive behavior in young boy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 337-350 

  26. Lipinski, J. M., R. E. Nida, D. D. Shade & J. A. Watson (1986). The effects of microcomputers on young children: An examination of free-play choices, sex differences, and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 147-168 

  27. Lowery, B. R. & Knirk, F. G. (1982-1983). Microcomputer video games and spatial visualization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 11, 155-166 

  28. McClurg, P. A. & Chaille, C. (1987). Computer games: Environments for developing spatial cognition?.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 95-111 

  29. Okagaki, L. & Frensch, P. A. (1994). Effects of video game playing on measures of spatial performance: Gender effects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 33-58 

  30. Orosy, F. C. & Allan, R. W. (1989). Video game play: Human reaction time to visual stimuli.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9, 243-247 

  31. Piaget, J. (1971).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New York: Ballantine 

  32. Silvern, S. B. & Wiliamson, P. A. (1987). The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young children's aggression, fantasy, and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8, 453-462 

  33. Subrahmanyam, K. & Greenfield. P. M. (1994). Effect of video game practice on spatial skills in girls and boys. Special Issue: Effects of interactive entertainment technologies on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1), 13-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