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5개국에서 생산된 황색종 잎담배의 주요 향기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Main Volatile Components in the Flue-cured Tobacco Produced by Five Countries.

한국연초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v.26 no.2 = no.52, 2004년, pp.102 - 108  

이태호 (한불화농 중앙연구소) ,  신경은 (한불화농 중앙연구소) ,  이재현 (한불화농 중앙연구소) ,  이은석 (한불화농 중앙연구소) ,  한병석 (한불화농 중앙연구소) ,  임흥빈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연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major essential oil components in the flue-cured tobacco produced by Korea, America, China, Brazil and Zimbabwe. Above 100 essential oil components were separated by GC and major 18 components of them, known to be important contribu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에서 황색종 잎담배를 주 로 생산하는 미국, 중국, 브라질, 짐바브에와 국내 산 황색종의 같은 등급을 수집하고, 다량 존재하는 정유성분을 중심으로 함량을 분석 비교하여 국 가별 황색종 품질가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 중국, 브라질, 짐바브에와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황색종의 정유성분을 분석하고, 주요성분의 함량을 비교하여 국가별 황색종 품질 가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황색종 의 정유성분은 GC에 의해서 100여개 이상의 성분 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에서 황색종 정유성분의 대표적 성분이라고 알려진 18개 성분에 대하여 GC/MS에 의해서 동정되었다. 양적으로 가장 많 이 함유된 정유성분은 neophytadiene이었으며, 한국산은 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i, J. Liu, B. Ling, P. and Su, Q. (2002) :Analysis of free and bound volatiles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in uncased and casedtobacco. J. Chromatogr. A 22: 267-275 

  2. Chang, K.W. (1985) The comparison of volatile oils of fluecured tobacco produced in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J. Kor. Soc. Tob. Sci. 7: 151-167 

  3. Court, W.A. Hendel, J.G. and Pocs, R. (1993) Influence of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date on the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e cured tobacco. Rec. Adv. Tob. Sci. 37: 59-64 

  4. Heckman, R.A. Dube, M.F. Lynm, D. and Rivers, J.M. (1981) The role of tobacco leaf precursors in cigarette flavor. Rec. Adv.Tob. Sci. 7: 107-53 

  5. Hong, Y. Lim, H.B. Seok, Y.S. Shin, J.S. Kim, J.Y. Ra, D.Y. and Lee, H.S. (2001) Changes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during flue curing process in Fluecured tobacco NC82 and KF114. J. Kor. Soc. Tob. Sci. 23:168-177 

  6. Ji, S.U. (1997) Ph D thesis,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in the tobacco leaves during flue curing. Sangji University, Wonju, Korea 

  7. Kim, Y.H. Park, J.Y. Kim, Y.T. and Kim, O.C.(1984) :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Based on the aroma components of Korean fluecured tobacco (NC 2326) J. Kor. Soc. Tob. Sci. 6: 25-31 

  8. Kim, Y.H. Ra, D.Y. Kim, O.C. Seo, C.W. and Kim, Y.T. (1992) : Free and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 components in tobacco leaves (Nicotiana tabacum L.) J. Kor. Soc. Tob. Sci. 14: 79-86 

  9. Kinsler S. Pence, D.H. Shreve, W.K. Mosberg,A.T. Ayres, P.H. and Sagartz' J.W. (2003) Rat subchronic inhallation study of smoke from cigarette containing fluecured tobacco either by direct fired heat exchanger curing processes. Inhal. Toxicol. 15: 819-854 

  10. Leffingwell, J.C. and Leffmgwell, D. (1988) Chemical and sensory aspects of tobacco flavor An review. Rec. Adv. Tob. Sci.14: 169-218 

  11. Long, R.C. and Weybrew, J.A. (1981) Major chemical changes during senescence and curing. Rec. Adv. Tob. Sci. 7: 40-74 

  12. Mookherjee, B.D. and Wilson, R.A. (1988) Tobacco constituents - Their importance inflavor and fragnance chemistry Rec. Adv.Tob. Sci. 14: 114-168 

  13. Peele, D.M. Danehower, D.A. and Goins, G.D. (1995) Chemical composition and biochemical changes during flue curing. Rec. Adv. Tob. Sci. 21: 81-133 

  14. Sanderson, G.W. Co, H. and Gonzales, J.G. (1971) Biochemistry of tea fermentation : the role of carotenes in black tea aroma formation J. Food. Scf. 36: 231-237 

  15. Weeks, W.W. (1985) Chemistry of tobacco constituents influencing flavor and aroma. Rec. Adv. Tob. Sci. 11: 175-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