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이론에 기반한 공진화 알고리즘
Game Theory Based Co-Evolutionary Algorithm (GCEA) 원문보기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v.14 no.3, 2004년, pp.253 - 261  

심귀보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김지윤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이동욱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게임 이론의사 결정 문제와 관련 된 연구와 함께 정립 된 수학적 분석법으로써 1928년 Von Neumann이 유한개의 순수전략이 존재하는 2인 영합게임은 결정적(deterministic)이라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수학적 기반을 정립하였고 50년대 초, Nash는 Von Neumann의 이론을 일반화하는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현대적 게임이론의 장을 열었다. 이후 진화 생물학 연구자들에 의해 고전적인 게임 이론의 가정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의 합리성(rationality) 대신 다윈 선택(Darwinian selection)에 의해 게임의 해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고 진화 생물학자 Maynard Smith에 의해 진화적 안정 전략(Evolutionary Stable Strategy: ESS)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현대적 게임 이론으로써 진화적 게임 이론이 체계화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진화적 게임 이론에 관한 연구와 함께 생태계의 공진화를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1991년 Hillis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Kauffman은 다른 종들 간의 공진화적 동역학(dynamics)을 분석하기 위한 NK 모델을 제안하였다. Kauffman은 이 모델을 이용하여 공진화 현상이 어떻게 정적 상태(static state)에 이르며 이 상태들은 게임 이론에서 소개되어진 내쉬 균형이나 ESS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후, 몇몇 연구자들 게임 이론과 진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연산 모델들을 제시해 왔으나 실용적인 문제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 이론에 기반 한 공진화 알고리즘을(Game theory based Co-Evolutionary Algorithm: GCEA) 제안하고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진화적인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me theory is mathematical analysis developed to study involved in making decisions. In 1928, Von Neumann proved that every two-person, zero-sum game with finitely many pure strategies for each player is deterministic. As well, in the early 50's, Nash presented another concept as the basis for a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oldberg[17]는 다목적 함수 최적화 문제의 표준적인 진화 알고리즘적 해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Pareto Genetic Algorithm (Pareto GA)이라 불리는 파레토에 기반 한 적합도 할당 기법을 제안하였는데 이 알고리즘의 기본 아이 디어는 개체군 내의 비 지배적인 개체들에게 높은 선택확 률을 할당하는 것으로써 비지배적인 해의 순서에 따라 파레토 랭킹이라고 불리는 랭킹을 할당하고 이를 적합도로 할당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Pareto GA가 소개되어진 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최적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법들[18][19]이 소개되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GCEA를 이용하여 다목적 함수 최적화 문제의 해를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게임 이론의 간략한 몇 가지 개념의 간략한 소개와 더불어 생태계의 진화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응용한 공진화 알고리즘에 대해 소개하고 이러한 두 연구 분야를 이어주는 차원에서 진행된 몇 가지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 또 몇몇 다른 공진화 알고리즘 연구자들은 공진화적 현상을 게임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는데 그 중 Kauffman은 통계학적 모델인 NK 클래스에 기반 한 공진화를 소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그는 공진 화하는 생태계가 어떻게 내쉬 균형이나 진화적 안정 전략과 같은 균형상태를 이루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었다[6].
  •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진화적 게임의 형태를 가지는 공진 화는 적정 세대가 지나면 안정된 균형 상태에 도달하고 이상태는 ‘지배 특성(dominance property)’ 관점에서 게임의 최적해에 해당하므로 수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공진화는 게임 이론적인 특성과 다이나믹스를 가진다. 이러한 특성들로부터 공진화 알고리즘을 게임 행렬을 통하여 구성하고 진화적 게임의 형태를 가지는 문제들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진화 알고리즘의 개념에 진화적 게임 이론을 결합한 새로운 구조의 공진화 알고리즘인 ‘게임 이론에 기반 한 공진화 알고리즘(GCEA)’을 제안하고 여러 가지 난제를 포함한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여 다른 진화 알고리즘의 최적화 결과와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물론 제안된 알고리즘은 로봇의 제어기나 분산 로봇에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략의 종류에 따른 로봇의 비율을 진화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적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나 이는 차후 연구 주제로 남기고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함수 최적화 문제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s: MOPs)’의 풀이를 통한 최적화 성능을 평가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 이론과 공진화 알고리즘의 몇가지 주요한 개념들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앞서 소개된 관점에서 새로이 구성된 ‘게임 이론에 기반 한 공진화 알고리즘(Game Theory based Co-evolutionary Algorithm: GCEA)’을 제안하고 이를 여러 가지 실험적 문제들에 적용하여 다른 진화 알고리즘의 적용결과들과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된 GCEA의 성능을 평가한다.
  • 비협조적 게임의 해로써 내쉬 균형이 제안된 후 게임의 균형해를 찾는 연구가 활발해졌는데 이 중 Lewontin[3]은 진화 생물학의 분석에 게임이론을 도입하여 게임의 균형해를 찾고자 하였으나 그의 접근법은 기존의 게임과는 달리 각 종들이 환경을 상대로 게임을 하여 게임의 참가자가 소멸될 확률을 최소화 하는 전략을 찾는 것이었다. 또, Hamilton은 Maynard Smith 와 Price[4]에 의해 소개되어진 ‘진화적 안정 전략(Evolutionary Stable Strategy)’과 유사한 개념의 ‘Unbeatable Strategy’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쉬 균형이란? 1952년, Nash는 비협조적 게임의 해를 찾기 위해 유한한 수의 순수전략을 가진 모든 2인 영합 혹은 비영합 게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쉬 균형이라 불리는 균형쌍을 가진다는 게임 이론의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또 그의 증명에 의하면 게임의 각 참가자들은 자신의 전략집합과 목적함수를 가지고 있으며 게임을 하는 동안 상대 참가자의 전략이 고정된 상태에서 자신의 보상값을 최적화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번갈아 게임을 수행 할 경우 모든 참가자가 자신의 보상값을 더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찾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내쉬 균형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균형 상태를 비협 조적 게임의 해로 제시하였다. 
게임 이론이란? 게임 이론은 의사 결정 문제와 관련 된 연구와 함께 정립 된 수학적 분석법으로써 1928년 Von Neumann이 유한개의 순수전략이 존재하는 2인 영합게임은 결정적(deterministic)이라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수학적 기반을 정립하였고 50년대 초, Nash는 Von Neumann의 이론을 일반화하는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현대적 게임이론의 장을 열었다. 이후 진화 생물학 연구자들에 의해 고전적인 게임 이론의 가정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의 합리성(rationality) 대신 다윈 선택(Darwinian selection)에 의해 게임의 해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고 진화 생물학자 Maynard Smith에 의해 진화적 안정 전략(Evolutionary Stable Strategy: ESS)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현대적 게임 이론으로써 진화적 게임 이론이 체계화 되었다.
공진화 GA에서 유전적 장점의 혼합을 꾀한 방법은 무엇인가? 또 1994년에는 Paredis[8]가 공진화 GA(Co-evolutionary Genetic Algorithms: CGAs)을 제안 하였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의 all-at-once fitness evaluation과는 달리 부분적이면서도 연속적인 적합도 평가를 이용한다. 상호 작용 하는 다수의 하위 개체군들은 섬 모델(island model)이라 불리는 공진화하는 niche들을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 으며 각 개체들은 하나의 하위 개체군으로부터 다른 하위 개체군으로 이주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유전적 장점의 혼합을 꾀하였다. 이러한 경쟁적 공진화와는 달리 한편으로 Potter, De Jong 그리고 Grefenstette와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협조적 공진화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그들에 의해 제안된 협조적 공진화 알고리즘(Cooperative Co-evolutionary Algorithm)[9]은 유전적으로 독립된 각 개체군들을 대표하는 개체를 선택하고 이를 하나의 개체로 결합하여 상위 레벨의 일을 수행하기에 유리한 개체로써 평가 받을 수 있는 개체(agent)를 생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