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취시기에 따른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 식품 성분의 변화
Changes of Food Compop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5, 2005년, pp.687 - 693  

정규진 (전남도립남도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정춘희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변재형 (전남도립남도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최영준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에 있는 식품성분을 조사할 목적으로 매생이와 가시파래의 수확기인 12월부터 3월, 그리고 청각은 6월부터 8월까지 월별로 채취하여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 무기질 함량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조단백질 함량이 특히 높아서 각각 $34.1\~43.8\%$$22.5\~35.7\%$이었다.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의 순으로 높았다. 매생이의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과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가시파래는 asparag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특히 높았으며, 3월에 asparagine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sarcosine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각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glutamic acid 및 alanine이었다. 매생이, 가시 파래와 청각의 폴리엔산 비율은 각각 $63.91\~74.05\%,\;62.87\~68.23\%,\;40.25\~44.61\%$였다. 대표적인 무기질은 Ca, K, Mg와 Fe이었으며, 매생이와 가시 파래의 chlorophyll a와 b는 3월에 크게 감소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고단백질 해조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되며, 특히 가시파래에 다량 함유된 asparagine은 약리 성분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 of food components in seaweeds, ma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was investigated at various harvest times. The crude protein was $34.1\~43.8\%$ for masangi and $22.5\~35.7\%$ for gashiparae, resp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The content of carbohydrate was calculated by 100 — (crude protein + lipid + as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ng YS. 2000.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on the fishery special commodity in Korea. Suhyepmunhwasa, Seoul, p 418-421 

  2. Huang YW, Huang CY. 1999. Traditional oriental seafood products. In Asian foods. Ang CYW, Liu K, Huang Y-W, eds.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p 270-272 

  3. 해양수산부. 2000. 해양수산연보. p 1175 

  4. Shim SC, Cho HO, Rhee CO. 1971. On the components of edible algae in Korea. 1. The components of several edible brown algae.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 14: 213-220 

  5. AOAC. 1999.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69-74 

  6. Floch J, Lee M, Stanly GN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7. AOCS. 1990. Official Method Ce Ib-89.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GCS.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8. Tsutagawa Y, Hosogai Y,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9. 국립수산진흥원. 1995. 한국수산물 성분표. 예분사, 서울. p 74-79 

  10. Fleurence J. 1999. Seaweed proteins: Biochemial, mutr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s. Trends in Food Sci Technol 10: 25-28 

  11. Toshio Y, Seiji M. 1989. Cultivation of a green alga Codium fragile by regeneration of medullary threads. Nippon Suisan Gakkaishi 55: 41-44 

  12. Oishi K, Tamura Y, Kanai E. 1961. Quality of Kombu, edible seaweeds belonging to the Laminariaceae-IV. Relation between quality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extractives. Nippon Suisan Gakkaishi 27: 601-605 

  13. Marshall WE. 1994.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In Functional foods. Goldberg I, ed. Chapman and Hall Inc, New York. p 242-260 

  14. Noda N. 1993. Health benefits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nori. J Applied Phycology 5: 225-258 

  15. Park CK, Park CH, Park JN. 2001.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their monthly variation of fresh laver Porpliyra dentata. J Korean Soc Food Nutr 30: 579-588 

  16. 변재형, 전중균. 1994. 수산이용화학. 수학사, 서울. p 258-282 

  17. Hayashi K, Kida S, Kato K, Yamada M. 1974. Component fatty acids of acetone-soluble lipids of 17 species of marine benthic algae. Nippon Suisan Gakkaishi 40: 609-617 

  18. Aratani T, Okano M, Funaki Y, Mizui F. 1981. Seasonal variation of sterol, hydrocarbon, and fatty acid fractions in Codiumfragile (SUR.) HARlOT. Nippon Suisan Gakkaishi 47: 391-395 

  19. Hong J-S, Kwon Y-J, Kim Y-H. 1991. Fatty acid composition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and Pare (Enerornorpha cornpressa). J Korean Soc Food Nutr 20: 376-380 

  20. Miller DD. 1996. Minerals. In Food chemistry. Fennema OR, ed. Marcell Dekker Inc, New York. p 617-649 

  21. Hirota N, Matsumoto I. 1980. Studies on chlorophyll of marine algae-III. Chlorophyll c of brown sea-weed. Nippon Suisan Gakkaishi 46: 845-849 

  22. Kumagai A, Hirota N. 1991. Solubilization and isolation of chlorophyll - protein complexes from Hizikia fusiformis. Nippon Suisan Gakkaishi 58: 1171-1178 

  23. Hirota N. 1978. Studies on chlorophyll of marine algae-I. Absorption spectra and chlorophyll contents of dried 'wakame'. Nippon Suisan Gakkaishi 44: 1003-1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