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이소플라본이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 흰쥐의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Isoflavone on the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Growing Rat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5 = no.89, 2005년, pp.725 - 732  

김영경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헌옥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엄애선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이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 흰쥐의 골격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주령 된 Wister 암컷 쥐를 난소절제한 후 8주 동안 genistein을 경구 투여하여 골대사에 미치는 일반지표 및 생화학지표를 관찰하였다. 1. 체중 증가는 OVX군$(230.2{\pm}25.15\;g)$이 SH군$(170.6{\pm}20.51\;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p<0.05), OVX+GEN군과 OVX+ES군의 체중 증가는 OVX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체중 당 간과 자궁의 무게는 난소를 절제한 모든군에서 SH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신장의 무게 또한 SH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나 난소절제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대퇴골의 무게는 모든 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퇴골의 길이는 SH군에 비해 OVX군에서 길게 나타났다. 4. 뇨 중 creatinine의 양은 난소 절제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hydroxyproline 함량도 모든 군간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혈청 ALP 활성은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골, 변, 혈청, 뇨에서의 Ca의 함량도 모든 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대퇴골의 골밀도는 SH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낮았으며 genistein 투여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파단력과 stiffiness의 경우 난소 절제 및 genistein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결과를 통하여 genistein에 의한 투여는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의 흰쥐에서도 최대골질량을 유지하고 골질량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성장기 동안의 섭취가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if the soy isoflavone, genistein, influences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4-week-old female Wister rats. All the rats were divided into sham (SH) and ovariectomized (OVX) groups consisting of OVX-17${\beta}$-estradiol($10\;{\mu}g/kg$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성장기 쥐를 대상으로 난소를 절제한 후 대두 이소플라본인 genistein을 경구 투여하여 성장기 흰쥐의 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이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 횐쥐의 골격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주령 된 Wister 암컷 쥐를 난소절제한 후 8주동안 genistein을 경구 투여하여 골대사에 미치는 일반지표 및 생화학지표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경희. 1999. 성장기 어린이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 김민선. 1999. 저 칼슘 식이에 대두 isoflavone 첨가가 난소절제 흰쥐의 뼈 무기질 및 혈청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성란, 홍희도, 김성수. 1999. 콩 및 콩제품 중의 isoflavone 함량과 특성. 한국콩연구회지 16(2):35-46 

  4. 김은미. 1996. 칼슘섭취수준이 성장기 흰쥐의 최대골질량 형성 및 골질량이 다른 난소절제 흰쥐의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김화영, 최현규, 이현숙. 1998. 난소를 절제한 나이가 다른 흰쥐에서 식이칼슘 수준이 골격 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회지 31(4):716-728 

  6. 박영희. 2000. 이소플라본 보충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박영희, 윤선, 정수연, 양승오, 유무태, 양지선, 권대중. 2001. 이소플라본 보충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지 30(4):657-661 

  8. 서부일, 안덕균. 1998. 난각이 흰쥐의 난소적출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3(2):45-56 

  9. 송미경. 1996. 칼슘섭취수준과 난소절제가 흰쥐의 신장기능과 무기질 배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눈문. 한양대학교 

  10. 안혜선. 1997. 식이지방과, guar gum 및 난소절제가 흰쥐의 지질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1. 양승오, 함수연. 2001. 골밀도 측정법을 이용한 골다공증 치료의 경과 추적. 대한내분비학회지 16:4-5 

  12. 유용석. 2002. 생명과학과 골다공증. 전자신문 

  13. 조수현. 1993. 폐경과 골다공증., 대한의학협회지 35:587-598 

  14. 최현배, 손헌수. 1998. 대두 가공 식품 중의 이소플라본 함량. 한국식품과학회지 30(4):745-750 

  15. 최혜미 외 공저. 1999. 21세기 영양학. 교문사 344-347 

  16. Anderson JJB. 1998. Phytoestrogen and bone. Bailliere's Clin, Endocrin. Metab. 12(4):543-557 

  17. Arjmandi B, Juma S, Beharka A, Bapna M, Akhter M, Meydani S. 2002. Vitamin E improves bone quality in the aged but not in young adult male mice. J Nutr Biochem, 13(9):543-549 

  18. Arjmandi BH, Khalil DA, and. Hollis BW, 2002. Soy Protein: Its Effects on Intestinal Calcium Transport, Serum Vitamin D,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 Ovariectomized Rats. Calci Tissue Int 70:483-487 

  19. Arjmandi BH, Birnbaum RS, Juma S, Barengolts E. and Kukreja SC. 2000. The synthetic phytoestrogen, Ipriflavone, and Estrogen Prevent Bone Loss by different Mechanisms. Calcif. Tissue Int 66:61-65 

  20. Arjmandi BH, Lee A. Bruce WH. Daxa A. Maria SS, Peilin G. and Subhash CK. 1996 Dietary Soybean Protein Prevents Bone Loss in an Ovariectomized rats Model of Osteoporosis. J. Nutr. 126:161-167 

  21. Christel P, Veronique C, Catherine BP, Seraphin KC, Marie -JD, Patrice L and Jean-Pierre B. 2000. Daidzein is more efficient than genistein in preventing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in rats. J.Nutr. 130: 1675-1681 

  22. Dike NK, Chung-Ching L, Robert RH, and Bruce WB. 1989. The aged rat model of ovarian hormone deficiency bone loss. Endocrinology 124:7-16 

  23. Fisk CH and Subbarow Y. 1925.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phosphorus. J Biol, Chem. 66:375 

  24. Jamall IS, Finelli VN, and Que Hee SS. 1981. A simple method to determine nanogram levels of 4-Hydroxyproline in biological tissues. Anal. Biochem. 112:70-75 

  25. Jung KY, Sea BI, Lee ES, Byun BH, Shin SS, and Park JH. 2004. A Efficiency of Ginseng Radix On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Kor. J. Herbology. 19(1): 1-11 

  26. Kopple JD. 1996. Nutrition, diet and kidney. Mordem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Eight edition 

  27. Maiko F, Mariko U, Jian W, Herman A., Kazuharu S, Kazuki K, Ken T, Kazuhiko Y and Yoshiko I. 2004. Eqoul, a Metabolite of Daidzein, Inhibi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Mice. J. Nutr. 134:2623-2627 

  28.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Food Compositions Additives Contaminents. 1984 

  29. Potter SM, Baum JA, Teng R, Stillman R.J. and Erdman JW. 1998. Soy protein and isoflavones : Their effects on blood lipids and bone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8: 1375S-1379S 

  30. Turner CH, and Burr DB. 1993. Basic biomechanical measurements of bone. Atutorial. Bone. 14:595-608 

  31. Viereck V, Grundker C, Blaschke S, Siggelkow H, Emons G, and Hofbauer LC. 2002. Phytoestrogen genistein stimulates the production of osteoprotegerin by human trabecular osteoblasts., J.Cell. Biochem. 84:725-735 

  32. Wangen KE, Duncan AM, Merz-Dernlow BE, Xu X, Marcus R, Phipps WR, and Kurzer MS. 2000. Effects of soy isoflavones on markers of bone turnover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an. J. Clin. Endocrinol Metab. 85:3043-3048 

  33. Williams. and Melvin H. 2000. Nutrition for Health and Fitness. McGraw Hill. 611-6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