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3 = no.181, 2005년, pp.474 - 478  

이경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오창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기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손바닥 선인장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추출용매별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70% ethanol로 추출 하였을 경우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70%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하여 BHA, ${\alpha}$-tocopherol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를 측정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검토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HA와 ${\alpha}$-tocopherol 활성과 견줄만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촉진된 자동산화조건에서 AV, POV, TBA 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BHA,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AV와 POV 측정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alpha}$-tocopherol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TBA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 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천년초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effects of several solvents extracts of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Because 70% ethanol extract showed relatively high antioxidative activity and extraction yield, it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사용한 항산화 활성 검정법으로 여러 농도의 시료를 4mL의 methanol에 녹여 1.5X10-4 M DPPH methanol 용액 1 mL를 첨가한 후, 30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2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시료의 양(μg)을 RC(Reduction Concentration)50으로 나타냈으며, 기존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및 BHA와 비교하였다 (23).
  • Lard 100 g에 DMSO(dimethyl sulfbxide)용액에 녹인 시료를 500 ppm 농도가 되도록 가하여 60°C 항온기에 저장하여 30일 후 공전 삼각플라스크에 평취해 분석하였다. 위 유지시료 5g을 취해 ethylether와 ethanol 혼합액(1:2, v/v) 100 mL를 가한 다음 완전히 용해시킨 후, phenolphthalein을 지 시약으로 0.
  • 1). 농축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희석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물순으로 각각 분액 여두에서 3회 반복 추출한 다음 rotary vacuum evaporator로 용매를 증발시킨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고형물 함량을 산출하였다 (22).
  • 후)혹한에서도">혹한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수년에서 수십년 생의 경작이 가능한 다년생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선인장 줄기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과 분획을 행하여 acid value(AV), peroxide value(POV), TBA에 의한 지질 과산화, DPPH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 등을 측정, 기존의 시판 항산화제와 비교 하였다.
  • 01 N Na2S2O3 용액으로 적정하여 POV로 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값을 비교하였다 (24). 산가 및 과산화물가의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5X10-4 M DPPH methanol 용액 1 mL를 첨가한 후, 30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2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시료의 양(μg)을 RC(Reduction Concentration)50으로 나타냈으며, 기존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및 BHA와 비교하였다 (23).
  • 용매별 추출물을 얻어 항산화 활성을 검증한 결과 우수한 활성을 보여준 70% ethanol추출물을 극성을 달리 한 용매별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었다 (Fig. 1). 농축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희석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물순으로 각각 분액 여두에서 3회 반복 추출한 다음 rotary vacuum evaporator로 용매를 증발시킨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고형물 함량을 산출하였다 (22).
  • 천년 초 선인장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시료를 각각 chloroform, ethyl acetate, ethanol, 70% ethanol과 증류수로 추출하였다. 이것의 일부를 110℃에서 건조시킨 후 고형분 함량을 추출 수율로 계산한 결과 추출 수율은 Table 1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오미자(22)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는 추출용매와 분획용매가 서로 상이함을 보여주었으며 수율 또한 추출용매와 분 획용매가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항산화물질의 추출 수율을 높이고자 수율이 높은 70% ethanol을 추출용매로 선택하였다. 대상물에 따라 추출용매의 항산화 활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sweet potato(28)와 붉나무(29)는 methanol, 석이버섯(30)은 diethyl ether, 산수유(31)는 물, 소목(32)은 ethyl acetate 등이 효율적인 용매로 사용되고 있어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물질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천년 초 선인 장 줄기는 충남 아산시 소재(주)여러분의 천년 초에서 재배해 동결건조한 것을 공급받아 분쇄해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기질로 사용된 유지는 항산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돈지를 사용하였고 추출 및 분 획용 시약은 1급을, 나머지 시약은 특급을 사용하였다.
  • 천년 초 선인 장 줄기는 충남 아산시 소재(주)여러분의 천년 초에서 재배해 동결건조한 것을 공급받아 분쇄해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기질로 사용된 유지는 항산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돈지를 사용하였고 추출 및 분 획용 시약은 1급을, 나머지 시약은 특급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연구의 결과는 평균으로 나타내었고, 각 실험군 간의 비교 분석은 SAS system을 이용하여 ANOVA 분석 후 α = 0.05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Free radical DPPH radical 소거법으로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2와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iquel J, Quintanilha AT, Weber H.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Boca Raton, FL, USA. Vol. 1, pp. 223-244 (1989) 

  2.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995) 

  3. Yoon JY, Song MR, Lee SR. Comparison of antithiamine activities of wil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808-811 (1990) 

  4. Lee YK, Lee HS.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qu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 321-329 (1990) 

  5. Park PS, Lee BR, Lee MY. Effect of onion juice on ethanol 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750-756(1994) 

  6.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1995) 

  7.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L.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1992) 

  8. Jamal NB, Ibrahim AW. Citric acid and antimicrobial affect microbi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tomato juice. J. Food Sci 59: 130-134(1994) 

  9. Kim TJ. A Pictorial Book of the Korean Flora.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140-141 (1996) 

  10. Amin ES, Olfat MA, El-Sayed MM. The mucilage of Opuntia ficus-indica mill. Carbohydr. Res. 15:159-161 (1970) 

  11. McGarvie D, Parolis H. The mucilage of Opuntia ficus-indica. Carbohydr. Res. 69: 171-179 (1979) 

  12. Trachtenberg S, Alfred MM.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Opuntia ficus-indica mucilage. Phytochem. 20: 2665-2668 (1981) 

  13. Meyer BN, Mohamed, YA, McLaughlin, JL. ${\beta}-phenyltyramine$ from the Cactus genus Opuntia. Phytochem. 19: 719-720 (1980) 

  14. Nadra KO, Rachid G, K H Di ep Le, Florence L. Invertase from Opuntia ficus indica fruits. Phytochem. 31: 59-61 (1991) 

  15. Forni E, Penci M, Polesello A. A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some pectins from quince fruit (Cydonia oblonga Mill.) and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peel. Carbohydr. Polymers 23: 231-234(1994) 

  16. Habibi Y, Heyraud A, Mahrouzb M, Vignon M. R. Structural features of pectic polysaccharides from the skin of Opuntia ficus indica prickly pear fruits. Carbohydr. Res. 339: 1119-1127 (2004) 

  17. Stintzing FC, Schieber A, Carle R. Amino acid composition and betaxanthin formation in fruits from Opuntia ficus indica. Planta Med. 65: 632-635 (1999) 

  18. Vignon MR, Heux L, Malaininea ME, Mahrouz M. Arabinan-cel-lulose composite in Opuntia ficus indica prickly pear spines. Carbohydr. Res. 339: 123-131 (2004) 

  19. Shin TK, Lee SJ, Kim SJ. Effect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with special reference to autoimmune disease models. Korean J. Vet. Pathol. 2: 31-36 (1998) 

  20. Seo KL, Yang KH, Shim KH.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55-359 (1999) 

  21. Jung HJ,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2: 160-166 (2000) 

  22.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000) 

  23. Naik GH, Priyadarsini KI, Naik DB, Gangabhagirathi R, Mohan H. Studies on the aqueous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as a potent antioxidant and a probable radioprotector. Phytomedicine. 20: 530-538(2004) 

  24.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Kim HK.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9-355(2000) 

  25. Wong SF, Holliwell B, Richimond R, Skoweroneck WR.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ascorbic acid. J. Inorg. Biochem. 14:127-134(1981) 

  26. Chung HJ,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2000) 

  27. Cho YS, Seo KI, Shim KH, Antimicrobial activite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3-116(2000) 

  28. Hayase F, Kato H. Antioxidative components of sweet potatoes. J. Nutr. Sci. Vitaminol. 30: 37-41 (1984) 

  29. Lee YJ, Shin DH, Chang YS, Kang WS. Antioxidative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xtract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77-682 (1993) 

  30. Jeong EJ.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Korean J. Food Nutr. 11: 426-430(1998) 

  31. Seo KI, Lee SW, Yang KH.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1999) 

  32. Lim DK, Chio U, Shin DH.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3-89(1996) 

  33. Park SJ, Oh D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2003) 

  34.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ean J. Med. Crop Sci. 11:53-61 (2003) 

  35. Cillard J, Cillard P. Cormier M, Girre E. $\alpha$ -Tocopherol Prooxidant effect in aqueous media: Incresed autoxidation rate of linoleic acid. J. Am. Oil. Chem. Soc. 57: 252-254 (1980) 

  36. Cillard J, Cillard P, Cormier M. Effect of experimental factors on the perooxidant behavior of ${\alpha}-tocopherol$ . J. Am. Oil. Chem. Soc. 57:255-258(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