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차류의 Catechins, Theaflavins 및 Methylxanthins 함량에 관한 연구
Catechins, Theaflavins and Methylxanthins Contents of Commercial Tea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3 = no.87, 2005년, pp.346 - 353  

김수연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부) ,  소궤신행 (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한재숙 (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이갑랑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녹차, 현미녹차, 홍차 2종류, 오룡차 1종류 및 자스민 차 1종류의 티백 제품을 $80\%$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7종의 catechins, 4종의 theaflavins 및 2종의 methylxanthins의 함량을 HPLC로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catechins의 함량은 에탄올과 물 추출 모두 자스민 차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에탄을 추출은 녹차, 홍차(II), 오룡 차, 현미 녹차, 홍차(I)의 순이었으며 물 추출은 홍차(II), 녹차, 현미 녹차, 오룡 차, 홍차(I)의 순이었다. 또한 두 추출법에서, 녹차, 현미녹차, 오룡차, 홍차(II)의 경우는 총catechi 중 EGCG가 차지하는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홍차(I)과 자스민 차는 EC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Theaflavin류는 TF, TF3G, TF3'G, TF33'G의 4종류가 홍차에만 분석되어 에탄을 추출은 홍차(I)과 홍차(II) 모두 TF33'G가 가장 높았으며 물 추출은 홍차(I)은 TF33'G가 홍차(II)는 TF가 가장 높았다. 3. Methylxanthin류로 caffeine과 theobromine은 에탄올과 물 추출에서 홍차(II)와 자스민차가 다른 차에 비하여 높았으며, 모든 시료에서 caffeine이 theobromine 보다 훨씬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13종의 차 성분 중 홍차(I)에서 caffeine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차에서 catechin 중 ECG와 EGCG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성분이 차의 기능성 물질로 지배적인 물질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This study used HPLC to analyze the contents of 7 kinds of catechins, 4 kinds of theaflavins, and 2 kinds of methylxanthines in the following 6 kinds of commercial Korean tea: 2 green, 2 black, 1 jasmine and loolong. The following ranges in the 13 tea components of the 6 samples by ethanol extra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catechin류 7성분과 theaflavin류 4성분 및 methylxanthin류 2 성분의 총 13종의 차 성분을 HPLC로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을 선행연구(Friedman M 등 2005)를 통하여 확립하였는데, 그 방법을 이용하여 비발효차인 녹차, 반발효차인 오룡차, 발효차인 홍차, 그리고 화차인자스민차의 티백 제품 6종류를 물과 80%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차유효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에탄올 추출에 의한 차 성분은 실제 차 속에 들어있는 차의 성분이며 물 추출의 차 성분은 음용 시 섭취할 수 있는 차의 성분으로서 건강지향을 위한 올바른 차선택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침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WG, Kim SK, Lee IS. 1998. Production of theobromine from caffeine by pseudomonas sp.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7):496-499 

  2. Borrelli F, Capasso R, Russo A. Ernst E. 2004. Green tea and gastrointestinal cancer risk. Aliment Phannacol Ther 19(5):497-510 

  3. Byeon JO, Han JS. 2004. A study on perception and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for green tea. Korean J Food Culture 19(2): 184-192 

  4. Choi IW, Kim SR, Jung CH, Park MW. 2004. Measurements of deodorizing activities of the beverage formulated with green tea extract, champignon extract and cyclodextrin, Food Sci Biotechnol 13(3):318-322 

  5.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356-362 

  6. Choi SH, Lee BH, Choi HD. 1992. Analysis of catechin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J Korean Soc Food Nutr 21(4):386-389 

  7. Chung SY, Janelle ML. 2003. Effects of tea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8. Cornish, H, Christman A. 1957. A study of metabolism of theobromine, theophylline and caffeine in man. J Biol Chem 228(1):315-323 

  9. Friedman M, Kim SY, Lee SJ, Han JS, Lee KR, Kozukue N. 2005. HPLC analysis of catechins, theaflavins, caffeine, and theobromine in seventy-seven teas: comparison of water and 80% ethanol-water Extracts. J Agric Food Chem in press 

  10. Ingrid S, Akiyoshi H. 1996. Bacterial mutagenicity of terasi and antimutagenicity of Indonesian jasmine tea against terasi. J Food Microbiology 32(1):49-58 

  11. Joo SJ, Choi KJ. Kim KS, Park SG, Kim TS, Oh MH, Lee SS, Ko JW. 2002.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ation 9(4):400-405 

  12. Kazuo SY, Haruo S. 1997. The effect of catechin o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13. Kim BS, Yang WM, Choi J.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ci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J Kor Tea Soc 8(1):55-62 

  14. Kim MJ, Soon JR. 2004.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 lung exposed to microwave. J Food Sci Nutr 9(1):53-57 

  15. Kim SH, Han DS, Park JD. 2004.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542-546 

  16. Kim SY, Seok MJ,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753-756 

  17. Kim YS, Kim HY, Nam YJ, Ko YS. 1986.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black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8(1): 16-23 

  18. Lee CH, Hong SH, Hwang SY, Shin AJ. 1987.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 and related products. Koran J Dietary Culture 2(2):133-147 

  19. Lee KCR. 2004. A study on the life style of green tea consumers. J Kor Tea Soc 10(1):7-24 

  20. Lee YJ, Ahn MS, Hong KH. 1998.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4):377-382 

  21. Lee YJ, Ahn MS, Oh WT. 1998. A Study on the catechins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4):370-376 

  22. Majchzak D, Mitter S, Elmadfa I. 2004. The effect of ascorbic acid on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and green teas. Food Chemistry 88(3):447-451 

  23. Mok CK. 2002. Suppression of browning of green tea by extraction with organic acids. Food Engineering Progress 6(3):215-221 

  24. Peterson J, Dwyer J, Bhagwat S, Haytowitz D, Holden J, Eldridge AL, Beecher G, AJadesanmi J. 2005. Major flavonoids in dry tea.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8(6):487-501 

  25. Peterson J, Dwyer J, Jacques P, Rand W, Prior R, Chui K. 2004. Tea variety and brewing techniques influence flavonoid content of black tea.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7(3):397-405 

  26. Seo MH, Shin YS. 1998.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black tea color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4):477-481 

  27. Simons F, Becker A. 1985. The brochodilator effect and pharmacokinetics of theobromine in young patients with asthma. J Clin Immun. 76:703-707 

  28. Wee JH, Moon JH, Park KH. 1999.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20-23 

  29. Yee YK. 2002. Chinese tea consumption and lower risk of Helicobacter infection. J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17:552-555 

  30. Yeo SG, AIm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2) :293-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