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발성 유형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f Korean Phonation Type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24 no.6, 2005년, pp.343 - 352  

박한상 (홍익대학교 영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성유형지수 k (PTI k)는 F0와 모음 음가의 영향을 배제한, 단순하고 단일화된 스펙트럼 기울기의 척도다. 본 논문은 한국인 20대 남성화자 10명으로부터 얻은 모음 /이, 에, 아, 오, 우/에 나타난 PTI k를 연구한다. 환경, 발성유형, 모음, 그리고 화자를 요인으로 하여 각 집단간에 PTI k의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 결과 환경, 발성유형, 모음, 그리고 화자 각각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onation type index k (PTI In) presents a single and simplified measure of the spectral tilt. which is free from the effects of fundamental frequency and vowel qualify This study investigates PTI k with vowels /i . e. a. o, u/ obtained from 10 Korean male subjects. Specifically. this study test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에서 기존의 측정단위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기본주파수와 모음의 영향을 모두 배제한 발성유형지수 k (phonation type index k, 줄여서 PTI k)를 음원 여과기 이론 (Source Filter Theory)을 확장하여 새로이 제시한 이후 후속연구에서 PTI k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5-9]. ⑷에서는 3명의 남성 화자를 대상으로 문두의 CV와 어중의 VCV 연쇄체에서 한국어의 치조파열음, 마찰음, 그리고 경구개 파찰음 다음에 따라오는 모음 /a/에서 실현되는 PTI k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10명의 한국인 남성이 발화한 모음 /i, e, a, o, u/를 대상으로 환경 (어두 및 모음간), 발성유형 (격음, 연음, 경음), 모음 (/이, 에, 아, 오, 우/), 그리고 화자별로 각 집단간에 PTI k의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연구 결과에서도 모음 오'와 ''우''는 다른 모음과 다른 행동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 자체도 PTI k와 관련된 화자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한 특징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그대로 포함시켜 제시할 것이다.
  • 다음으로 PTI k가 환경, 발성유형, 모음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PTI k의 환경별, 발성유형별, 모음별 평균과 표준편차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 ⑷에서는 3명의 남성 화자를 대상으로 문두의 CV와 어중의 VCV 연쇄체에서 한국어의 치조파열음, 마찰음, 그리고 경구개 파찰음 다음에 따라오는 모음 /a/에서 실현되는 PTI k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10명의 한국인 남성이 발화한 모음 /i, e, a, o, u/를 대상으로 환경 (어두 및 모음간), 발성유형 (격음, 연음, 경음), 모음 (/이, 에, 아, 오, 우/), 그리고 화자별로 각 집단간에 PTI k의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기본주파수와 모음의 영향을 배저한 가운데 전체적인 스펙트럼의 기울기를 하나의 지표로 나타내는 PTI k를 한국어 모음 /i, e, a, o, u/를 포함한 음성샘플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VCV 환경보다 #CV 환경에서 PTI k의 값이 크게 나타났고, 격음에서보다 연음과 격음에서 PTI k의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모음 /o, u/가 모음 /i, e, a/보다 PTI k의 값이 크게 나타났다.
  • 이는 사실과 다른 F1 과 F2의 값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모음과 동일한 LPC 계수를 이용했을 경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일단 하나의 연구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음 ''오'' 와 ”우”의 경우 F2가 1900 Hz가 넘으면 PTI k의 계산에서 배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M. Hanson, 'Glott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peakers: acoustic correlate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1 (1), 466-481, 1997 

  2. P. Kirk, P. Ladefoged, J. Ladefoged, 'Linquistic use of different phonation types,'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59. 102-113. 1984 

  3. P. Ladefoged, 'The linguistic use of different phonation types,' Vocal fold physiology: contemporary research and clinical issues College Hill Press, San Diego, 1983, 351-360, 1983 

  4. H. Park, Tempor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ation Types,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2,) 

  5. 박한상, '발성유형지수 k,' 2002 대한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77-80, 서울 11월, 2002 

  6. H. Park, 'Phonation Type Index k: A New Measure of Spectral Tilt,' Eoneohag Journal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36, 101-111, 2003 

  7. 이후동, 강선미, 박한상, 장문수, '녹음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자의 음원 특성 비교: 발성유형지수 k를 중심으로,' 음성과학 10 (3), 213-224, 2003 

  8. H. Park, 'Problems in Source Characteristic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107-114, Seoul, May, 2004 

  9. H. Lee, S. Kang, M. Chang, H. Park, 'A Study of Phonation Type Index k as a Parameter for Speaker Verificatio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pp.255-260, Seoul, May, 2004 

  10. G. Fant, Acoustic theory of speech production (Mouton, The Hague, 19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