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조청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eo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1082 - 1090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조리과학과) ,  나환식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식품으로서의 각광을 받고 있는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적절한 가공방법을 모색하여 고부가가치를 갖는 식품으로 개발을 하고자 표고버섯 추출액을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하고 여러 가지 실험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고버섯 추출액을 당화액에 일정 비율로 첨가하여 졸이기를 한 조청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의 경우 무첨가구가 2,642.34 mg/kg, 추출액을 7:3의 비율로 첨가한 첨가구가 1,916.03 mg/kg, 5:5첨가구는 2,674.24mg/kg, 3:7 첨가구가 2,558.35mg/kg으로 버섯 추출액 첨가량에 따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시료별 유리당 함량은 maltose > glucose > fructose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액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 분석 결과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는데,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그 외 성분은 함량이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조청의 지방산 조성은 무첨가구의 경우 linoleic acid가 $23.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palmitic acid$(22.3\%)$, oleic acid$(19.0\%)$, myristic acid$(14.2\%)$와 caproic acid$(9.4\%)$ 순이었으며 버섯 추출액을 첨가한 시료의 경우 그 양상이 다양하게 분석되었으며, 포화지방산(SFA)과 불포화지방산(USFA)의 비율도 변화가 없었다. 조청의 pH를 측정한 결과 $5.5\~5.7$로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환원당의 경우 무첨가구가 $40.38\%$,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시료는 $39.94\%$, 5:5 첨가구는 $39.16\%,\;3:7$첨가구의 경우 $44.70\%$로 나타나 무첨가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3:7 첨가구만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점도와 고형분 함량은 무 첨가구가 각각 $132{\times}10^3$ cps와 $74.32\%$,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첨가구가 $27.6{\times}10^3$cps와 $64.96\%$, 5:5 첨가구가 $25.6{\times}10^3$cps와 $60.90\%$, 3:7 첨가구가 각각 $21.9{\times}10^3$cps와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향미 (flavor)와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시료구만이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표고버섯 추출액을 당화액에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당화액과 추출액의 비가 3:7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버섯의 장점을 살리면서 기존 조청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cheong was prepared by adding Lentinus edodes extract to improve its quality and to give some functional properties. Contents of crude protein, ash and crude lipid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while carbohydrate content was decreased. Total mineral content were $1,916.03\~2,674.24mg/k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년중 수확이 가능한 건강식품인 표고버섯의 적절한 가공방법을 모색하고 고부가가치를 갖는식품으로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전통식품인 조청에 표고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하고 기존 조청과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ng JS. 1980. Nutrition value and medicine efficacy of mushroom. Food Industry 53: 79-84 

  2. Ko JW, Lee WY, Lee JH, Ha YS, Choi YH. 1999.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lmol 31: 128-137 

  3. Park MH, Oh KY,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lmol 30: 702-708 

  4. Hong JS, Lee KR, Kim YH, Kim DH, Kim MK, Kim YS, Yeo KY. 198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606-612 

  5. Choi MY, Lim SS, Chung TY. 2000. The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from Lentinus edodes on lipid metabolism in the rats fed butter yellow.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94-299 

  6.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lmol 30: 1373-1380 

  7. Kim YD, Kim KJ, Cho DB.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 89-93 

  8. Park KS, Lee BL. 1997.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by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 Nutr 10: 503-508 

  9. Son MH, Kim SY, Ha JU, Lee SC. 2003. Texture properties of surimi gel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59-863 

  10. Kim KS, Joo SJ, Yoon HS, Hong JS, Kim ES, Park SG, Kim T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n noodle added with Pholiota adiposa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 187-191 

  11. Lee MJ, Kyung KH, Chang HG. 2004. Effect of mushroom tLentinus Tuber- Regium) powde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37 

  12. Lee HJ. 1991.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Hankook minjok moonhwa dae baikgwa sajeon. Woongjin press, Seoul. Vol 15, p 462-464 

  13. Lee KH. 1999. The method of jochung preparation with fruits. Korean Patent 062,369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KFDA. 2002. Food Code. a separate volume. Munyoung sa, Seoul. p 3-29 

  16. Osborne DR, Voogt P. 1981.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foods. Academic Press, New York. p 266-270 

  17.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8. Hugli TE, Moore S. 1972. Determination of the tryptophan content of proteins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f alkaline hydrolysates. J Biol Chem 247: 282-290 

  19.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1 

  20. Folch J, Les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I Chem 226: 497-509 

  21. Chae SG, Kang KS, Ma SJ, Bang KU, Oh MH, Oh SH. 2000. Analysis of food. Jigu publishing, Seoul. p 387-395 

  22. KFDA. 2002. Food Code. Munyoung sa, Seoul. p 154-155 

  23. Kim HS, Kang YJ. 1994. Optimal conditions of saccharification for a traditional malt syrup in Ch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59-664 

  24. Bae SM, Park KJ, Shin DJ, Hwang YI, Lee SC. 2001.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with sweet persimmons. J Korean Soc Agric Biotechnol 44: 88-91 

  25. Kwon JH, Byun MW, Cho HO, Kim YJ 1987. Effect of chemical fumigant and $\gamma$ -ray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oak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273-278 

  26. Hong JS, Kim TY. 1988. Contents of free-sugars & free sugar alcohols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59-462 

  27. Choi MY, Jung TY, Hahm KJ. 1995. Cytotoxic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s, Lentinus edodes and vitamin A & E supplementation against P388 cells. Korean J Nutrition 28: 1091-1099 

  28.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Sixth revision. Suwon. p 156-157 

  29. Hong JS, Kim YH. 1989.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total amino acids in Agaricus bisporu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8-62 

  30. Cho JS, Choi MY, Chang YH.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added with Lentinus edodes sing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