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농작업자 위해성평가
Operator exposure risk assessment of benzimidazole fungicides on Korean agricultural condition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9 no.4, 2005년, pp.347 - 353  

이제봉 (농업과학기술원) ,  신진섭 (농업과학기술원) ,  정미혜 (농업과학기술원) ,  박연기 (농업과학기술원) ,  임건재 (농업과학기술원) ,  강규영 (경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농업환경에서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안전사용 및 농약살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단기(30일 이내) 및 장기(6개월 이상) 노출에 대한 농작업자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농작업자의 노출량 산출은 일본의 EPN 45% 유제 노출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일일 작업시간은 4시간으로 가정하였고, 작업자에 대한 급성 및 만성 허용노출량(AOEL)은 단기노출은 기형독성, 만성노출은 만성독성 NOAEL로부터 산출하였다. Benzimidazole계 농약들은 US/EPA가 $Q_1^*$를 설정하여 발암성평가를 하고 있는 농약들로서 본 연구에서도 작업자의 만성 노출에 대한 발암성평가를 평균일일노출량(LADD)를 일생 동안 농업에 종사하는 연수, 농약살포 횟수, 농업형태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농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량은 benomyl, carbendazim 및 thiophanate-methyl에 대하여 각각 0.2, 0.36 및 0.42 mg/kg/day 이었고, sAOEL은 0.3, 0.1 및 0.2 mg/kg/day 이었으며, cAOEL의 경우 benomyl과 carbendazim은 0.025, thiophanate-methyl은 0.08 mg/kg/day이었다. 만성 및 발암위해성평가를 위한 LADD는 benomyl 0.0038, carbendazim 0.0067 및 thiophanate-methyl 0.0081mg/kg/day로 산출되었다. 위의 수치를 이용하여 AOEL/exposure를 산출한 결과 급성위해성은 $0.28{\sim}1.5$, 만성 위해성은 $3.73{\sim}9.88$로서 작업자에 대한 급성 위해성은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최대 90%까지 노출량이 감소하므로 보호장비 착용시 안전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만성 위해성은 AOEL/exposure가 1 이상으로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암위해성평가 결과는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9.12{\times}10^{-7}{\sim}1.13{\times}10^{-5}$으로 실제적인 농약살포 인자를 고려하여 평가하면 농약살포자에 대한 위해성은 없을 것으로 추정되나 보다 실제적인 노출성적을 이용한 농약살포 작업자 위해성평가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sticide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operators as well as for consumers has become one of the pesticide regulatory tools to reduce any unreasonable adverse health effects from pesticide use. The risk for pesticide operators can be quantified by comparing the acceptable operator exposure level(AO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enzimidazole계 농약을 살포하는 농작업자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한국형 농업환경에서 안전성을 검증하고, 실제적인 노출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작물별 농약살포 횟수는 농약 안전사용기준(RDA, 2004a)에 따라 표 2와 같이 설정되어 있어 이 기준에 따랐으며, 일일 작업시간은 4시간을 기준 하였고, 살포기기는 동력분무기 사용을 원칙으로 하였다. 농약 살포횟수는 키위와 감귤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연중 14회를 살포하게 되므로 benzimi-dazole계 농약을 1년에 14회 살포하는 것을 가정하여 장기노출에 의한 작업자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mey Y. P. (1997) Modelling operator exposure to pesticides. pp.11-41, In Operator Exposure and Agro-chemicals, organized by IBC UK conferences. London UK 

  2. James V. Bruckner (1999) Differences in Sensitivity of Children and Adults to Chemical Toxicity : The NAS Panel Report.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31:280-285 

  3. Kamrin, M. A. (1997) Environmental risk harmonization: Federal/State Approachs to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25:158-165 

  4.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2004) Guidebook on Pesticide Use 

  5. NIAST (2003). Pesticide Safety and Plant Protection 

  6. RDA (2004a) Directory of Pesticide Management Act 

  7. RDA (2004b) Training Textbook for Pesticide Dealers 

  8. RDA (2004c) The establishment of method for worker exposure assessment during pesticide application 

  9. US/EPA (1996) Office of pesticide programs list of chemical evaluated for carcinogenic potential 

  10. US/EPA (1999) Benomyl-report of the FQPA safety factor committee 

  11. US/EPA (2000) RED of Thiophanate-methyl 

  12. US/EPA (2001a) Benomyl and carbendazim-endpoint selection for incidental oral ingestion for carbendazim 

  13. US/EPA (2001b) Benomyl RED Facts 

  14. US/EPA (2001c) Revised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risk assessment for carbendazim 

  15. WHO (1995) Global strategy on occupational health for all : the way to health at work 

  16. 日本農藥 (1994) EPN 撒布時 被曝量(農藥 撒布時 被曝量 基準)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