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기기분석 및 관능평가에 의한 향기특성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8, 2005년, pp.1239 - 1245  

송희순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생명산업기술연구소) ,  박연희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과, 생명산업기술연구소) ,  문두경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과피에서 냉압착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 정유에서 44개의 향기성분(99.7$\%$)이,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45개의 성분(99.4$\%$)이 동정되었으며, (E)-lim-onene-1,2-epoxide와 neral은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고, $\beta$-cubebene, $\beta$-elemene, decyl acetate의 세 성분은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동정된 향기성분 중 limonene이 86$\%$이상의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된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yrcene과 sabinene이 2$\%$이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의 향기성분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차이는 linalool의 함유량으로 노지 한라봉 정유의 함유량(1.2$\%$)이 시설정유의 함유량(0.5$\%$)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향기 성분의 기기분석과 함께 신선한 한라봉 과육 및 과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선한 한라봉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한라봉 과육 및 과피 모두에서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시설에서 재배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지 한라봉 과육은 단맛이, 시설 한라봉 과육은 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향과 맛을 고려한 전체적 선호도에서도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높게 평가되었다. (p<0.01).이러한 결과는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linalool의 함유율 및 재배방법의 영향을 받은 향기성분의 구성비율이 관능평가에 의한 과피 및 과육의 향기특성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labong peel oils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were extracted by hand-pressing flavedo and collected on ic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Hallabong peel oil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rty-four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순서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분석 보고되었다(6, 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과피에서 추출한 정유의 향기 성분 특성을 GC 및 GC-MS를 통해 분석하고, 또한 관능검사를 통해. 한라봉의 향기 특성을 분석하여 한라봉 재배 및 품질 관리를 위한 자료의 하나로 제시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h JS, Kim SH, Ko YH, Lee SB. 2002. Quality changes of Citrus tang or (Citrus kiyomi ${\times}$ C. ponkan) during storage by chitosan and calcium treatment. J Subtropical Agri & Biotech Cheju Nat'l Univ 18: 35-42 

  2. Choi HS. 2003.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Citrus Hallabong [(C. unshiu Marcov ${\times}$ C. sinensis Osbeck) ${\times}$ C. Reticulata Blanco] cold-pressed peel oil. J Agric Food Chem 51: 2687-2692 

  3. Ko YH, Kim JH. 2001. Storage of citrus orange Hallabong after $\gamma$ -ray irradiation. Applied Radioisotope Res Bllut 15: 29-33 

  4. Song H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juices and peel extracts from Hallabong (Citrus kiyomi ${\times}$ C. ponkan) and Yuza (Citrus junos Tanaka). The Journal of Kwangju Health College 29: 129-138 

  5. Umano K, Hagi Y, Shibamoto T. 2002. Volatile chemicals identified in extracts from newly hybrid citrus, dekopon (Shiranushi mandarin Suppl. J.). J Agric Food Chem 50: 5355-5359 

  6. Choi HS, Min KC. 2004. Headspace-SPME analysis of citrus hybrid, Hallabong. Food Sci Biotechnol 13: 126-129 

  7. Yoo ZW, Kim NS, Lee DS. 2004.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lavors from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with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HS-SPME combined with GC-MS. Bull Korean Chem Soc 25: 271-279 

  8. Kim HY, Kim MR, Kho BK. 2004. Food quality analysis. Hyoilbooks, Seoul. p 11-19 

  9. Kim WJ, Koo KH. 2001. Food sensory analysis. Hyoilbooks, Seoul 

  10. Godana Y. 2000. Aromartherapy, Sinsei Publising Co., Tokyo, Japan. p 36 

  11. Theimer ET. 1982. Fragrance Chemistry. Academic Press, Inc., London. p 2-9 

  12. Choi HS, Sawamura M. 2002. Comparison of the coldpressed peel oil compos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ov. Forma Miyagawawase) by GC, GC-MS and GC-O. J Food Sci Nutr 7: 5-11 

  13. Hyun KW, Koo KC, Lee JG, Kim MR, Lee JS.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lavor compounds of Geumsan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greenhouse and field. Korean J Food Presev 11: 28-33 

  14. Song HS, Sawamura M, Ito T, Kawashimo K, Ukeda H. 1999.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part of yuzu (Citrus junos Tanaka) peel cold-pressed oils from Japan and Korea. Flavour Fragr J 14: 383-389 

  15.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I-II. Monclair, NJ, USA 

  16. Song HS, Sawamura M, Ito T, Ido A, Ukeda H. 2000.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characteristic flavour of Daidai (Citrus aurantium L. var. Cyathijera Y. Tanaka) peel oil. Flavour Fragr 5: 323-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