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쥐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에서 Sodium Hyaluronate/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멤브레인의 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n Effectiveness for Preventing Post Surgical Adhesion of Sodium Hyaluronate/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HA/CMC) Membrane in Rat Cecum/Peritonium Model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15 no.3, 2005년, pp.213 - 223  

이영무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이영우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HA/CMC)으로 구성된 유착방지 막을 제조하였고, 쥐에서 유착방지용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유착방지 막은 HA/CMC 용액을 동결건조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EDAC)로 가교하여 제조하였다. Sprague-Dawley쥐의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에서 복부 중앙선 절개 후 장막과 복벽을 bone burr로 $1\times2\;(cm^2)$ 크기로 찰과상을 만들고, 상처 면 주위의 3곳을 봉합사로 고정시켰다. 상처난 장을 실험군의 경우 HA/CMC 막으로 덮어주었으며, 대조군은 아무처치도 하지 않은 상태로 복벽을 마주보게 하였다. 대조군의 대부분은 수술 후 7, 14, 21, 28일에 유착정도 3 이상을 나타내었고, 반면 실험군의 $60\~70\%$는 수술 후 14, 21, 28일에 유착정도 2 이하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착세기에서도 유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착정도와 유착세기는 수술 후 14일까지 점차 증가하였고, 수술 후 21일에는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 28일째에는 감소하였다. 대조군은 유착정도와 유착세기, 유착면적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 유착방지막은 수술 후 유착방지에서 좋은 임상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pared an anti-adhesion membrane made of sodium hyaluronate/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HA/CMC) and evaluated its effectiveness for adhesion prevention in a rat model. The anti-adhesion membrane was prepared by lyophilizing HA/CMC solution and cross-linking properly with 1-Ethyl-3-(3-dimet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멤브레인 형태의 HA/CMC 유착 방지제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착방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맹장/복벽찰과상 모델을 만들어 유착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멤브레인 형 유착 방지제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착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착 정도의 변화를 평가하고 다 공성 멤브레인형 유착 방지제에 의한 유착방지 가능성을 동물 모델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멤브레인형 유착 방지제의 생분해 속도 조절은 EDAC를 이용한 화학적 가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착방지제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복강 내 유착은 초기 7일간의 기간 동안 주요 과정이 진행되므로 이 기간 동안 분리막으로써 존재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멤브레인 형태의 HA/CMC 유착 방지제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착방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맹장/복벽찰과상 모델을 만들어 유착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멤브레인 형 유착 방지제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착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착방지용 재료 중에서 우수한 유착방지 혹은 감소특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와 sodium hyaluronate (HA)[26-29]를 이용하여 멤브레인 형태의 유착 방지제를 제조하여, 쥐의 맹장/복벽찰과상 모델에서 유착방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MC 멤브레인은 동결건조 방법으로 제조하여 다 공성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맹장/복벽찰과상 모델을 만들어 유착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멤브레인 형 유착 방지제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착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착 정도의 변화를 평가하고 다 공성 멤브레인형 유착 방지제에 의한 유착방지 가능성을 동물 모델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 F. Ray, W. G. Denton, M. Thamer, S. C. Henderson, and S. Perry, 'Abdominal adhesiolysis: inpatient care and expenditures in the U.S. in 1994', J. Am. Coll. Surg., 186(1), 1 (1998) 

  2. H. van Goor, 'Morbidity and mortality of inadvertent enterotomy during an adhesiotomy', British Journal of Surgery, 87, 467 (2000) 

  3. H. J. Chung, M. J. Cosenza, R. Rahbar, and R. B. Metson, 'Mitomycin C for the prevention of adhesion formation after endoscopic sinus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26, 468 (2002) 

  4. H. H. Ramadan, 'Surgical causes of failure in endoscopic sinus surgery', Laryngoscope, 109, 27 (1999) 

  5. J. R. von Kurman and T. M. Mazur, 'Benign disease of the endometrium', Blaustein's pathology of the female genital tract, pp. 315-316, Springer, Berlin (1987) 

  6. N. F. Ray, J. W. Jr. Larsen, R. J. Stillman, and R. J. Jacobs, 'Economic impact of hospitalizations for lower abdominal adhesiolysis in the United States in 1988', Surg. Gynecol. Obstet., 176, 271 (1993) 

  7. K. Falk, P. Bjorquist, M. Stromqvist, and L. Holmdahl, 'Reduction of experimental adhesion formation by inhibi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British Journal of Surgery, 88, 286 (2001) 

  8. J. W. Burns, M. J. Colt, L. S. Burgess, and K. C. Skinner, 'Preclinical Evaluation of $Seprafilm^{TM}$ Bioresorbable Membrane', Eur. J Surg. Suppl., 577, 40 (1997) 

  9. T. E. Elkins, F. W. Ling, and R. A. Ahokas, 'Adhesion prevention by solutions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in the rat Parts I & II', Fertil. Steril., 41, 926 (1984) 

  10. C. M. Fredericks, L. Kotry, G. Holtz, A. H. Askalani, and G. I. Serour, 'Adhesion prevention in the rabbit with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s', Am. J. Obstet. Gynecol., 155, 667 (1986) 

  11. M. P. Diamond, 'Reduction of de novo postsurgical adhesions by intraoperative precoating with Sepracoat (HAL-C) solu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blinde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study. The Sepracoat Adhesion Study Group.', Fertil. Steril., 69(6), 1067 (1998) 

  12. S. H. Shim, Y. W. Lee, Y. M. Lee, Y. H. Oh, S. W. Kwon, J. H. Kim, and S. K. Sohn, 'Evaluation of resorbable materials for preventing surgical adhesion on rat experiment', J. Kor. Surg. Soc., 63(3), 179 (2002) 

  13. A. Vlahos, P. Yu, C. E. Lucas, and A. M. Ledgerwood, 'Effect of a composite membrane of chitosan and Poloxamer gel on postoperative adhesive interactions', The American Surgeon, 67, 15 (2001) 

  14. D. A. Grainger, 'Incidence and causes of pelvic adhesions', Infert. Reprod. Med. Clin. North Am., 5(3), 391 (1994) 

  15. K. E. Rodgers, 'Late peritoneal response to infection and injury: Adhesion formation', Sepsis, 3, 317 (1999) 

  16. E. S. Harris, R. F. Morgan, and G. T. Rodeheaver, 'Analysis of the kinetics of 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the rat and evaluation of potential antiadhesive agents', Surgery, 117, 663 (1995) 

  17. R. P. S. Jansen, 'Failure of peritoneal irrigation with heparin during pelvic operations upon young women to reduce adhesion', Surg. Gynecol. Obstet., 166, 154 (1988) 

  18. Adhesion Study Group, 'Reduction of postoperative pelvic adhesions with intraperitoneal 32% dextran 70: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Fertil. Steril., 40, 612 (1983) 

  19. J. R. Pappenheimer, 'Passage of molecules through capillary walls', Physiol. Rev., 33, 387 (1953) 

  20. J. Rozga, B. Ahren, and S. Bengmark, 'Prevention of adhesions by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 in rats; Re-evaluation in nine experiments', Acta Chir. Scand., 156, 763 (1990) 

  21. W. A. Polishuk and B. Bercovici, 'Intraperitoneal low molecular weight dextran in tubal surgery', J. Obstet. Gynaecol. Br. Commonw., 78, 724 (1971) 

  22. H. D. Moll, J. Schumacher, and J. C. Wright, 'Evaluation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for prevention of adhesions after uterine trauma in ewes', Am. J. Vet. Res., 53, 1454 (1992) 

  23. B. Urman, V. Gomel, and N. Jetha, 'Effect of hyaluronic acid on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the rat model', Fertil. Steril., 56, 563 (1991) 

  24. G. Oelsner, R. A. Graebe, S. B. Pan, F. P. Haseltine, E. R. Barnea, H. Fakih, and A. H. DeCherney, 'Chondroitin sulphate: A new intraperitoneal treatment for postoperative adhesion prevention in the rabbit', J. Reprod. Med., 32, 812 (1987) 

  25. I. R. King, 'Candida albicans pelvic abscess associated with the use of 32% dextran-70 in conservative pelvic surgery', Fertil. Steril., 51, 1050 (1989) 

  26. J. M. Becker, M. T. Dayton, V. W. Fazio, D. E. Beck, S. J. Stryker, S. D. Wexner, B. G. Wolff, P. L. Roberts, L. E. Smith, S. A. Sweeney, and M. Moor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bdominal adhesions by a sodium hyaluronate-based bioresorbable membrane: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multicenter study', J. Am. Coll. Surg., 183, 297 (1996) 

  27. P. A. D. Iaco, M. Stefanetti, D. Pressato, S. Piana, M. Don, A. Pavesio, and L. Bovicelli, 'A novel hyaluronan-based gel in laparoscopic adhesion prevention: preclinical evaluation in an animal model', Fertil. Steril., 69(2), 318 (1998) 

  28. A. M. Ghellai, A. F. Stucchi, D. F. Lynch, K. C. Skinner, M. F. Colt, and J. M. Becker, 'Role of a hyaluronate-based membrane in the prevention of peritonitis-induced adhesions', J. Gastrointest. Surg., 4, 310 (2000) 

  29. K. E. Greenawalt, T. J. Butler, E. A. Rowe, A. C. Finneral, D. S. Garlick, and J. W. Bums, 'Evaluation of sepramesh biosurgical composite in a rabbit hernia repair model', J. Surg. Res., 94, 9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