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섯 가지 DNA 추출방법에 의한 옥수수 원료 및 가공시료의 DNA 추출 효율의 비교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from Raw and Processed Corns by Five Different DNA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8 no.4, 2005년, pp.331 - 334  

이훈희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평가팀) ,  송희성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김재환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이우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평가팀) ,  이순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평가팀) ,  박선희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평가팀)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평가팀) ,  김해영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NA 추출방법들에 대한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원료 옥수수 및 이를 가공한 시료들로부터 DNA추출을 하였으며, 추출된 DNA의 형상, 농도 및 순도 측정 그리고 PCR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5가지 방법으로 옥수수의 DNA를 추출한 결과, 추출방법에 따른 DNA 형상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각각의 시료들로부터 추출된 DNA의 양은 시료 g당 $0.25{\mu}g$부터 $234.0{\mu}g$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5가지 방법으로 옥수수 시료들의 DNA를 추출한 결과, CTAB법과 DNeasy plant Maxi 키트를 이용한 DNA 추출방법이 높은 수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ive extraction methods for raw and processed corn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integrity, yields and quality of DNA extracted from them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by PCR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of five extraction methods, DNA integrity showed a similar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3) Autoclaving은 고온 및 고압처리를 위하여 Autoclave(GB-506-8, Han Baek CO., Korea)를 이용하여 1.3 kgf/cm2, 121℃에서 18분간 가공하였고, Baking은 고온처리를 위하여 Dry oven(Imperial V Digital Mechanical, Lab-line Inc., USA)을 이용하여 20VC에서 40분간 가공하였다. 그리고 Fiying은 유탕처리를 위해 해바라기유(CJ, Korea)를 이용하여 158에서 15초간 가공하였다.
  • 8% agarose gel(Takara, Japan) 에 DNA 5 μl와 6 X loading dye(Bioneer, Korea) 1 μl을 혼합한 용액을 투여하여 100 voltS. 15분간 전기영동 하였고 marker로는 100 bp DNA ladder(Bioneer, Korea)를 사용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것은 EtBr(Ethidium Bromide, Bioneer, Korea)로 25분간 염색하고 30분간 탈색하여 Image Analyzer(Gel Doc XR, Bio-Rad, USA)로.
  • 5가지 방법으로 원료 시료 및 가공된 시료의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를 1.
  • 5μl로 최종 반응액이 25μl가 되도록 조성하였다. PCR은 고온개시 (Hot Start)법을 사용하였으며 GeneAmp 9700(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95℃에서 10분간 최초 변성을 시킨 후, 9?C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1회 반복으로 하여 40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최종 신장하였다. PCR반응에 의한 증폭결과는 0.
  • DNA 농도는 분광광도계 (Ultrospec 4300 pro, Amersham Pharmacia Biotech., Swede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PCR반응에 필요한 DNA농도(20 ng/μl)가 되도록 멸균증류수로 희석한 후, -20℃에서 보관하였다. 추출한 DNA(20 ng/μl)는 0.
  • PCR 반응용액의 조성은 DNA polymerase(Applied Biosystems, USA) 0.125 |J(0.625 unit), dNTPs(Applied Biosystems, USA) 2μl(200μM), 1 OX PCR buffer 4 \il (Applied Biosystems, USA), primer(Nippon gene, Japan) 0.5(i/(each 0.5 μM), template DNA(20ngμl) 2.5μl로 최종 반응액이 25μl가 되도록 조성하였다. PCR은 고온개시 (Hot Start)법을 사용하였으며 GeneAmp 9700(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95℃에서 10분간 최초 변성을 시킨 후, 9?C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1회 반복으로 하여 40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최종 신장하였다.
  • PCR은 고온개시 (Hot Start)법을 사용하였으며 GeneAmp 9700(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95℃에서 10분간 최초 변성을 시킨 후, 9?C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1회 반복으로 하여 40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최종 신장하였다. PCR반응에 의한 증폭결과는 0.5 × TAE에서 1.8% agarose gel에 PCR 증폭산물 5μl와 loading dye 1μl를 혼합한 용액을 투여하여 100 volt로 25분간 전기영동 하였고 marker로는 100 bp DNA ladder를 사용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것은 EtBr로 25분간 염색하고 30분간 탈색하여 Image Analyzer로 확인하였다.
  • 가공 방법은 Autoclaving, Baking, Frying으로 구분 수행하였다.13) Autoclaving은 고온 및 고압처리를 위하여 Autoclave(GB-506-8, Han Baek CO.
  • 건조된 시료는 입자를 균질화하기 위해 초고속 분쇄기 (Puverisette 14, Germany)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200 g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는 가공을 위해 50 m/의 멸균된 증류수에 잘 혼합하여 반죽을 만든 후, 일정 크기가 되도록 나누었다.
  • 그 후, 원료 및 가공된 시료를 식품공전을 통하여 제시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시험방법을 포함한 5가지 DNA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가공 공정에 따른 DNA의 변화 및 PCR에 의한 검출정도 확인 그리고 현재 상업화된 여러 제조사들의 DNA 추출제품들의 가공식품 적용성을 비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의 가공식품에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원료 옥수수를 고온 및 고압, 굽기, 유탕 가공을 하였다. 그 후, 원료 및 가공된 시료를 식품공전을 통하여 제시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시험방법을 포함한 5가지 DNA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가공 공정에 따른 DNA의 변화 및 PCR에 의한 검출정도 확인 그리고 현재 상업화된 여러 제조사들의 DNA 추출제품들의 가공식품 적용성을 비교하였다.
  • 6)을 통하여 소개되었던 Promega사의 Wizard Magnetic DNA Purification System for food(PM), Wizard DNA clean-up System(PC)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iNtRON사의 G-spin lip Genomic DNA extraction kit fbr plant(IG)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해 3회 반복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 또한, iNtRON사의 G-spin lip Genomic DNA extraction kit fbr plant(IG)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해 3회 반복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 이용된 primer는 starch synthase를 암호화하는 옥수수의 내재유전자 zSSUb 유전자14)를 표적으로 하여 114bp의 증폭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Real-time PCR를 위한 probe가 함께 제작되었다. 이와같은 primer와 probe는 일본의 Nippon Gene사에서 제작하여 시판하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염기서열은 비공개로 되어 있다.
  • 8% agarose gel에 PCR 증폭산물 5μl와 loading dye 1μl를 혼합한 용액을 투여하여 100 volt로 25분간 전기영동 하였고 marker로는 100 bp DNA ladder를 사용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것은 EtBr로 25분간 염색하고 30분간 탈색하여 Image Analyzer로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재료. 본 연구에서는 GM 옥수수 품종인 M0N810((Monsanto, USA)과 비형질전환 옥수수(non-GM)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5μl로 최종 반응액이 25μl가 되도록 조성하였다. PCR은 고온개시 (Hot Start)법을 사용하였으며 GeneAmp 9700(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95℃에서 10분간 최초 변성을 시킨 후, 9?C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1회 반복으로 하여 40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최종 신장하였다. PCR반응에 의한 증폭결과는 0.
  • 옥수수에서의 DNA추출은 식품의약품 안전청고시(2005-3호)를 통하여 제정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DNA 추출방법인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CT)법15), Qiagen사의 DNeasy plant Maxi kit(QM)를 이용한 방법 외에도 유전자재조합식품검사지침(2002. 6)을 통하여 소개되었던 Promega사의 Wizard Magnetic DNA Purification System for food(PM), Wizard DNA clean-up System(PC)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iNtRON사의 G-spin lip Genomic DNA extraction kit fbr plant(IG)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USDA (2005) World Agricultural Supply Demand Estimates, WASDE-4 

  2. Clive, J. (2004) Preview: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ISAAA briefs No. 32, ISAAA: Ithaca, NY 

  3.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0) Regulation concerning the compulsory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agricultural organisms.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gulation. No. 2000-31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1) Regulation concerning the compulsory labeling of foodstuffs and food ingredient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gulation No. 2001-43 

  5. Bertheau, Y., Diolez, A., Kobilinsky, A. and Magin, K. (2002) Detection method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J. AOAC. Int. 85, 801-808 

  6. Vollenhofer, S., Burg, K., Schmidt, J. and Kroath, H. (1999)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 food-screening and specific detect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J. Agric. Food Chem. 47, 5038-5043 

  7. Kim, H. J., Park, S. H. and Kim, H. Y. (2001) Study for detection of glyphosate tolerant soybean using PCR.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21-524 

  8. Hur, M. S., Kim, J. H., Park, S. H., Woo, G. J. and Kim, H. Y. (2003)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Safety-approved in Korea using PC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33-1038 

  9. Lee, S. H., Park, Y. H., Kim, J. K., Park, K. W. and Kim, Y. M. (2004) Qualitative PCR Method for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Lines NK603 and TC1507. Agric. Chem. Biotechnol. 47, 185-188 

  10. Rogan, G. J., Dudin, Y. A., Lee, T. C., Magin, K. M., Astwood, J. D., Bhakta, N. S., Leach, J. N., Sanders, P. R. and Fuchs, R. L. (1999) Immunodiagnostic methods for detection of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in roundup ready soybeans. Food Control 10, 407-414 

  11. Trifa, T. and Zhang, D. (2004) DNA content in Embryo an Endosperm of Maize Kernel (Zea mays L.): Impact on GMO Quantification. J. Agric. Food Chem. 52, 1044-1048 

  12. Peano, C., Samson, M. C., Palmieri, L., Gulli, M. and Marmiroli, N. (2004)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Genomic DNA Extracted from GMO and Non-GMO Foodstuffs with Fou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Agric. Food Chem. 52, 6962-6968 

  13. Lee, C. H., Kim, D. C., Chun, J. H., Kim, C. J., Kim, J. B., Kim, J. D. and Son, J. C. (1987) Food Extrusion Technology. Yu-Lim Publishing Co., Korea 

  14. Ham, C., Knight, M., Ramakrishnan, A., Guan, H., Keeling, P. L. and Wasserman B. P. (199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zSSIIa and zSSIIb Starch synthase cDNA clones from Maize Endosperm. Plant Mol. Biol, 37, 639-649 

  15. Meyer, R. (199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NA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GMOs in Food. Food Control 10, 391-399 

  16. Kim, M. Y., Kim J. H., Park, S. H., Woo G. J. and Kim, H. Y. (2003) Monitoring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Processed Foods in Korean Market using PC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44-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