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에 따른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혈청 중 포도당, 인슐린 및 지질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 and Lipi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Body Weigh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9, 2005년, pp.1375 - 1380  

한지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업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효숙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희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동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경남 사천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특별한 질환을 갖고 있지 않는 $4{\~}6$학년 남녀 학생 98명을 대상으로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으로 분류하여 신체계측, 혈청 중 지질,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고 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장은 남녀 아동 모두 저체중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MI 및 WHR은 남자아동 과체중군이 $25.6{\pm}2.2 kg/m^2,\;0.90{\pm}0.05$로 가장 높았고 여자아동 저체중군이 $15.1{\pm}1.0\;kg/m^2,\;0.76{\pm}0.04$로 가장 낮았다. 남녀아동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평균 113.76mmHg, 74.34 mmHg였고 성별 및 체형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남녀 아동 모두 체중이 높은군일수록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낮게 나타났는데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남자아동인 경우 체형군별b유의적인 차이가 매우 컸으며 (p<0.001) 남자아동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여자아동 정상체중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혈당 농도는 여자아동 과체중군이 $93.06\pm10.55\;mg/dL$로 가장 높았고 여자아동 저체중군이 $82.49\pm12.51\;mg/dL$로 가장 낮았다. 인슐린 농도는 성별 및 체형별 유의적인 차이가 매우 컸으며 (p<0.001), 남녀 아동 모두 과체중군이 각각 $12.06{\pm}3.17\;{\mu}U,\;16.19\pm4.80\;{\mu}U$로 가장 높았고 남자아동은 정상체중군이 $7.61{\pm}3.36\;{\mu}U$, 여자아동은 저 체중군이 $9.42{\pm}3.63\;{\mu}U$로 가장 낮았다. 남녀 아동 모두 BMI 및 WHR이 높을수록 혈당, 인슐린,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 BMI는 남자아동인 경우 인슐린, 중성지질, LDL-콜레스테롤 농도와, 여자아동인 경우 인슐린 농도와 매우 높은 유의적인 정상관을 보였고(p<0.001), WHR은 여자아동인 경우 인슐린 및 중성 지질농도와 유의적인 정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남녀 아동 모두 인슐린 농도가 증가할수록 혈당과 중성지질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혈청 지질농도와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아동기 라 해도 과체중은 고지 혈증, 동맥경화 및 당뇨병을 초래할 우려가 사려되는바 평상시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으로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과체중 아동인 경우에는 체중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hropometric values, serum biochemical levels and their correl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98 boys and girls in the $4{\~}6$ grade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body size. The mean height of under-weight group (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동기는 지속적인 발육과 함께 제2의 급속한 성장과 성적 성숙을 준비하는 단계로서(1) 이 시기에 균형 잡힌 식생활을 통한 올바른 체위의 형성과 더불어 혈청 지질 및 인슐린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10 〜 12세 된 초등학교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저 체 중군, 정상체중군 및 과체중군으로 분류하여 신체 계측, 혈청 중생 화학적인 지 수 및 이 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학동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o SM, Choi HM, Lim HS, Park YJ. 1990. Community Nutri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 223 

  2. National Institutes of Heart Consensus Conference. 1985. Lowering blood cholesterol to prevent heart desease. JAMA 253: 2080-2086 

  3. Sizer FS, Whitney EN. 2000. Nutrition. Wadwarth Co., Washington, USA. p 2 

  4. Lee JY, Lee LH. 1986. Prevalence of obesity in school children from various housing pattern in Seoul. Korean J Nutr 19: 409-419 

  5. Moon HN, Hong SJ, Suh SJ. 1992.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 25: 413-418 

  6. Romanella NE, Wakat DK, Loyd BH, Kelly LE. 1991. Physical activity and attitudes in lean and obes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t J Obes 15: 407-414 

  7. Obrzanek E, Schreiber GB, Crawford PB, Goldman SR, Barrier PM, Frederick MM, Lakatos E. 1994. Energy intake and physical in relation to indexes of body fat: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Growth and Health Study. Am J Clin Nutr 60: 15-22 

  8. Kinugasa A, Kusunolci T. 1991. Dietary treatment of childhood obese. In Progress in obesity research. Oomura Y, ed. John Libbey & Compo Lid., London. p 549 

  9. Lee HG. 1991. The diseases related in the obesity. Korean J Nutr 23: 341-346 

  10. Mcmurray RG, Harrell JS, Levine AA, Gansky SA. 1995. Childhood obesity elevates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independent of physical activity. Int J Obes 19: 881-886 

  11. Williams DP, Going SB, Lohman TG, Harsha DW, Srinivasan SR, Webber LS, Berenson GS. 1992. Body fatness and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and serum lipoprotein ratio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J Public Health 82: 358-363 

  12. Kim SH, Kim GE, Kim SY. 1998. A study on relations of obesity to the serum lipid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1: 159-165 

  13. Lauer RM. 1991.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blood cholesterol levels in children and adolescence. NIH 91: 2732-2737 

  14. Lee DH, Lee JK, Lee C, Hwang YY, Cha SH, Choi Y. 1991. A study on the health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obese children. J Ped Assoc 34: 445-451 

  15. Kaplan KM, Wadden TA. 1986. Childhood obesity and self-esteem. J Prdiatr 109: 367-370 

  16. Norgan NG. 1997. The beneficial effects of body fat and adipose tissue in humans. Int J Obes 21: 738-743 

  17. James WPT, Ferro Luzzi A, Water Low JC. 1988. Definition of chronic energy deficiency in adults; Report of a working part of the international dietary energy group. Eur J Clin 42: 969-974 

  18. Song YM, Sung JH. 2001. Body mass index and mortality; A twelve-year prospective study in Korea. Epidemiology 12: 173-179 

  19. Korean Assoc Pediatric. 1998. Textbook of pediatrics 

  20. Lee DH. 1992. Diagnosis &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hood obesity. J Korean Soc Study Obesity 1: 40-47 

  2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Turkington RW, Estkowski A, Link M. 1982. Secretion of insulin or connecting peptide: a predictor of insulin dependence of obese 'diabetics'. Arch Intern Med 43: 1102-1105 

  23. Lee YS, Park HS, Lee MS, Sung MK, Park DY, Choi MK, Kim MH, Sung CJ. 2002. A study of nutrient intake, serum lipid and lepti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 in Kyunggi area. Korean J Nutr 35: 743-753 

  24. Caro JF. 1991. Insulin resistance in obese and nonobese man. J Clin Endocrinol Metab 73: 691-696 

  25. Armellini F, Robbi R, Zamboni M, Tedesco T, Castelli S, Bosello O. 1992. Resting metabolic rate, body fat distribution and visceral fat in obese women. Am J Clin Nutr 56: 981-987 

  26. Zonderland ML, Erich BM, Erkelens DW, Kortland W, Wit JM, Huisveld IA, De Ridder CM. 1990. Plasma lipids and apoproteins, body fat distribution and body fatness in early pubertal children. Int J Obes 14: 1039-1046 

  27. Brambilla P, Manzoni P, Sirone S, Simoni P, Del Maschio A, Di Natale B, Chiumello G. 1994. Peripheral and abdominal adiposity in childhood obesity. Int J Obes 18: 795-800 

  28. Lim HS, Lee JI. 1993. Relationships of obesity in childhood to plasma lipids,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724-733 

  29. Snetselaar LG. 1989. Nutrition counseling skills-assessment, treatment and evaluation. 2nd ed. An. Aspen. Publication, New York, USA. p 172-175 

  30. Choi Y, Lee CY, Nog JI, Hong CE, Lee SI. 1989. A studty on blood pressure measurement of children in Seoul area. J Korean Pediatr Soc 32: 1086-1091 

  31. Kim KA, Kwun IS, Kwon CS. 2001.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obesity an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yungbuk area. Korean J Nutr 34: 664-670 

  32. Nestel P, Goldrich B. 1976. Obesity, changes in lipid metabolism and the role of insulin. Clin Endocrinol Met 5: 313-335 

  33. Nelson WE. 1991. Textbook of pediatrics. 14th ed. WB Saunders Co., Philadelphia, USA. p 1800-1824 

  34. Kissebah AH, Vydelingum N, Murray R, Evans DJ, Hartz AJ, Kalkhoff RK, Adams PW. 1982.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54: 254-260 

  35. Foster DW. 1989. Insulin resistance-a secret killer. N Engl J Med 320: 733-734 

  36. Lee IY, Lee LH. 1998.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n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middle-aged men. Korean J Nutr 31: 315-323 

  37. Synn HA. 1990. A study on serum lipids of healthy Korean adult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