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식 간호상담과 강화된 걷기운동이 제2형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 대처기전 및 당대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Clients with DM Type II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7, 2005년, pp.1314 - 1324  

이해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경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형숙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인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older adults with DM type II. Method: Ninety nine DM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50 were recru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1; Lee, Kang, Moon, & Kim, 2001) 걷기운동의 속도와 강도에 따라 그 효과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걷는 속도나 강도에 대한 감시나 표준화는 거의 이 루어지지 않았으며 걷기운동의 강도에 따른 적절한 회환을 대상자에게 제공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 구자는 운동의 빈도, 기간 및 강도의 객관적 자료제시가 가능 하며 바이오피드백 메카니즘으로 동기화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된(Wilbur, Chandler, & Miller, 2001) 이동식 심박동측정 기(Ambulatory heart-rate monitor)를 활용한 걷기운동과 자기조 절식 걷기운동을 문제해결식 소그룹상담과 함께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제해결식 소그룹 집단 상담과 강화된 걷기운 .동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대처기전 및 당대 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하는 1차, 2차, 3차 병원 각 1개씩과 7개의 보건소의 외래에 통원하는 저)2형 당뇨병 환자로 Polar군 41명, 상담군 30명, 대조군 28명이었으 며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1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약 9개 월간이었다.
  • 본 연구는 12주간의 문제해결식 소그룹상담과 강화된 걷기 운동이 제2형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 대처기전 및 당대사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문제해결 식 소그룹 상담과 폴라 이동식 심박동측정기 (Polar Ambulatory heart-rate monitor)# 부착하여 걷기운동을 시행한 폴라군(실험1군)과 문제해결식 소그룹 상담과 심박동측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조절적 걷기운동을 시행한 상담군(실험2 군) 및 아무런 중재도 받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된다.
  • 본 연구는 문제해결식 소그룹상담과 이동식 심박동측정기를 활용한 강화된 걷기운동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 대 처기전 및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에 포함된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정도는 100점 만점 으로 환산하였을때 44점으로, 자가간호수준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자가간호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 폴라 모니터를 사용하여 강화된 걷기운동을 도모한 폴라군과 자기조절식 걷기운동을 한 상담군에서 프로 그램의 효과가 차별화 되지 않아 모니터의 사용이 자기조절 식 걷기운동의 효과를 능가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모니터의 효과에 대해 결론짓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두 그룹간의 차별되지 않는 결과는 포함 된 대상자의 특성으로 인한 것 일수도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간호상담 프로그램과 폴라 모니터를 활용한 강화된 걷기 운동이 저|2형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 대처기 전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3). Standards of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26(suppl 1), S33-S50 

  2. Anderson, S. E., Wadden, T. A., Bartlett, S. J., Zemel, B., Verde, T. J., & Granckowiak, S. C. (1999). Effects of lifestyle activity vs structured aerobic exercise in obese women: A randomized trial. JAMA, 281, 335-340 

  3. Borenstein, M., Rothstein, H., Cohen, J. (2001). Power and precision: A computer program for statistical power analysis confidence intervals. Englewood, NJ: Boostat 

  4. Cameton, K., & Gregor, F. (1987). Chronic illness and compliance. J Adv Nurs, 12, 671-676 

  5. Cook, S., Herold, K., Edidin, D. V., & Briars, R. (2002). Increasing problem solving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The choices diabetes program. Diabetes Education, 28(1), 115-124 

  6. Didjurgeit, U., Kruse, J., Schmitz, N., Stuckenschneider, P., & Sawicki, P. T. (2002). A time-limited, problem-oriented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n type 1 diabetes patients with complications: A randomized control trial. Diabet Med, 19, 814-821 

  7. Fava, S., Aquilina, O., Azzopardi, J., Muscat, H. A., & Fenech, F. F. (1996). The prognostic value of blood glucose in diabetic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Diabet Med, 13, 80-83 

  8. Glasgow, R. E., Toobert, D. H., Hampson, S. E., Brown, J. E., Lewinsohn, P. M., & Donnell, J. (1992). Improving self-care among older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The 'Sixty something...' study. Patient Educ Couns, 19(1), 61-74 

  9. Hartemann-Heurtier, A., Sultan, S., Sachon, C. F., & Grimal야, A. (2001). How type 1 diabetes patients with good or poor glycemic control cope with diabetes-related stress. Diabetes Metab, 27(5 pt 1), 553-559. 

  10. Hill-Briggs, F. (2003). Problem solving in diabetes self-management. A model of chronic illness self-management behavior. Ann Behav Med, 25(3), 182-193 

  11. Hong, Y. H., & Kim, M. A. (2001).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Diabetes Published in Korea from 1981 to 2000. J Fundmental Nurs, 8(3), 416-429 

  12. Hwang, A. R., Yoo, J. S., & Kim, C. J. (2001). The effects of planned exercise program on metabolism,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omplianc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Nurs. 31(1), 20-30 

  13. Jalowice, A., Murphy, S., & Powers, M. (1984).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Jalowiec Coping Scale. Nurs Res, 33, 157-161 

  14. Jun, J. H., Jung, S. B., & Son, H. S. (1999). Self-Car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Diabetes. J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3(2), 193-206 

  15. Jun, J. Y. (1991). The effects programmed jogging on metabolism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of type E diabetic patients. A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arlsen, B., Idsoe, T., Dirdal, I., Rokne, H. B., & Bru, E. (2004). Effects of a group based counselling programme on diabetes-related stress, cop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tabolic control in adults with typel and type2 diabetes. Patient Educ Couns Jun, 53(3), 299-308 

  17. Kirk, A., Mutrie, N., Maclntyre, P., & Fisher, M. (2003).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6, 1186-1192 

  18. Ko, M. J., Yu, S. J, & Kim, Y. G. (2003).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on the stress response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delinquent juveniles. J Korean Acad Nurs, 33(3), 440-450 

  19.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5). http://www.iabetes.or.kr/clinic/knowledge.html 

  2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04). Seminar on Diabetes Mechanics 

  2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22. Lee, H. A.,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3th. edi. Soomoonsa. Seoul 

  23. Lee, Y. R., Kang, M. A., Moon, J. S., & Kim, M. K. (2001).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level and motivation of exercise in the diabetes mellitus patients. J Korean Public Nurs, 15(1), 172-181 

  24. Lerman, C, & Glanz, K. (1997). Stress, Ccoping and Health Behavior. In K Glanz, FM Lewis, BK Rimer,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5. Miyatake N., Nishikawa, H. Mirishita, A., Kunitomi, M., Wada, J., Suzuki, H., Takahashi, K., Makino, H., Kira, S., & Fujii, M. (2002). Daily walking reduces visceral adipose tissue areas and improves insulin resistance in Japanese obese subjects. Diabetes Res & Clin Pract, 58(2), 101-107 

  26. Shin, H. S. (1998). Development of a self-management training program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adolescent. A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7. Toobert, D. J., Glasgow, R. E. (1991). Problem solving and diabetes self-care. J Behav Med, 14, 71-85 

  28. Toobert, D. J., Hampson, S. E., & Glasgow, R. E.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Diabetes Care, 23(7), 943-950 

  29. Walker, K. Z., Jones, J. A., Piers, L. S., O'Dea, K., & Putt, R. S. (1999). Effects of regular walk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normoglycemic women and wome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2(4), 555-561 

  30. Wilbur, J., Chandler, P., & Miller, A. M. (2001). Measuring adherence to a women's walking program. West J Nurs Res, 23(1), 8-32 

  31. Willoughby, D. F., Kee, C. C, Demi, A., & Parker, V. (2000). Cop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women with diabetes. Diabetes Educator, 26(1), 105-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