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의 온도단계별 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비교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139 - 147  

이상옥 ((주)네스코) ,  김민정 ((주)네스코) ,  김동균 ((주)네스코) ,  최현주 (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소재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각종 산소 라디칼들이 생체내의 호흡효소계나 산화환원계에서 생성되어 노화와 각종 질병과 유관한 사실이 밝혀져 감에 따라 이들의 소거를 위한 항산화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차가버섯의 대표 유효성분인 항산화 성분을 최대로 추출해내기 위한 효과적인 추출법을 시도하고자 실행하였다. 차가버섯 건조분말을 8$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1차 추출물, 1차 추출 후 그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2차 추출물, 2차 추출 후 남은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2$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3차 추출물로 하여서, DPPH자유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 효과를 봄으로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항산화력은 1차 추출물이 가장 낮았고 3차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3차 추출물은 페놀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차나 2차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페놀화합물 합량은 라디칼 소거능 및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효과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r=0.960∼0.980, regression analysis)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온도에서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지방산화 촉진인자인 3종의 활성산소종(KO$_2$, $H_2O$$_2$, $.$OH)과 금속 이온(Fe$^{2+}$, Cu$^{2+}$) 존재 하에서 항산화 효과를 TBARS값으로 측정한 결과, 차가추출물이 모두의 경우에서 TBARS값을 낮추었으며 특히 $.$OH와 Fe$^{2+}$ 이온에 대하여 탁월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유 라디칼로 인해 야기되는 지방을 비롯한 그 산화물에 대하여 3단계 온도 추출법에 의한 차가버섯 추출물은 매우 유효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icacy of extraction from Inonotus obliquus was examined from the points of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and some antioxidative compounds. To enhance the efficient extraction for the effective components from Inonotus obliquus,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ion method was applied. Temp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종 산소 라디칼들이 생체내의 호흡 효소계나 산화 환원 계에서 생성되어 노화와 각종 질병과 유관한 사실이 밝혀져 감에 따라 이들의 소거를 위한 항산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차가버섯의 대표 유효성분인 항산화 성분을 최대로 추출해내기 위한 효과적인 추출법을 시도하고자 실행하였다. 차가버섯 건조분말을 80℃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1차 추출물, 1차 추출 후 그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2차 추출물, 2차 추출 후 남은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20℃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3차 추출물로 흥]-여서, DPPH 자유 라디 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 효과를 봄으로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 이들 성분들은 물리 화학적 성질의 차이에 의해 용해성 이나 휘발성이 다르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온도에 대한 용해성이 다르기 때문에 추출온도는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용출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차가 버섯의 유효성분을 섭취하기 위한 추출 가공방법이 중요하며 본 연구는 종래의 추출 방법을 개선함에 목적이 있다.
  • 이러한 관점에서, 일차적으로 고온의 조건에서 파괴되거 나 휘 발성 등으로 인해 소실가능성이 높은 유효성 분은 저 온 추출하고, 고온에서만 추출 가능한 유효성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단계별로 회수한 후, 각 추출물에 대하여 라 디 칼 소거능을 가지는 항산화성 의 몇 가지 유효성 분들의 양을 비교 검토한다면 상기에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효성분을 최대한 회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추출법을 시도하여 추출온도와 항산화성 물질들 간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고 지방산화에 대한 억제정도를 밝힘으로서 유해 활성산소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질환에 대한 유효한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Yoshhiko O. 1989. SOD and active oxygen modulators. NIHON-IGAKUKAN, Tokyo. p 129-278 

  2. Lee SE. 2001. Antioxidative chracteristics of Chamchwi (Aster scaber Thunb.) and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 1-30 

  3.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4. Maeura Y, Weisburger JH, Williams G. 1984. Dose-dependent reduction of N-2-fluorenylacetamide-induced liver cancer and enhancement of bladder cancer in rats by butylated hydroxytoluene. Cancer Res 44: 1604-1610 

  5. Branen AS. 1975. Tox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i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1: 59-63 

  6. Jialal I, Grundyl S. 199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lpha-tocopherol on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J Lipid Res 33: 899-906 

  7. Vinson JA, Hontz BA. 1984. Phenol antioxidative index: Compar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red and white wines. J Agric Food Chem 43: 401-403 

  8. Kahlos K. 1994. XII. Inonotus obliquus (Chaga Fungus): In vitro culture and the production of inotodiol, sterol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Biotechnology in Agriculure and Forestry 26: 179-198 

  9. Shivrina AN. 196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s extracted from Inonotus obliquus. Chem Abstr 66: 17271z 

  10. Kier L. 1961. Triterpenes of Poria obliqua. J Pharm Sci 50: 471-474 

  11. Kahlos K, Hiltunen R. 1983. Identification of some lanostane type triterpenes from Inonotus obliquus. Acta Pharm Fenn 92: 220-224 

  12. Kahlos T, Zhuangas L, Hitunen R. 1987. Antitumor activity of some compounds and fractions from an n-hexene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Acta Pharm Fenn 96: 33-40 

  13. Mizno T, Zhuang C, Abe K, Okamoto H, Kito T, Ukai S, Leclerc S, Meijer L. 1999. Antitumor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the sclerotia and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Pers.:Fe.) PII (Aphyllophoromycetideae) Int J Med Mushrooms 1: 301-316 

  14. Ichimura T, Watanave O, Maruyama S. 1998. Inhibition of HIV-1 protease by water-soluble lignin-like substance from an edible mushroom, Fuscoporia obliquq.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575-577 

  15. Saitoh A, Sato C, Niiyama K. 1996. チャガ カバノアナダケ の?異原性 抑制效果に ついて. 道衛硏究報 第46集 

  16. 星崎 東明 1998. カバノアナダケ (チャガ). 健全社, オれンジ 文庫. p 38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18.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19. Leong LP, Shui G. 2002. An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in Singapore markets. Food Chem 76: 69-75 

  20. Osawa T. 1981. A novel type of antioxidant isolated from leaf was of Eucalypyus leaves. Agric Biol Chem 45: 735-739 

  21. Choi Y, Him M, Shin J, Park J,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f Sci Nutr 32: 723-727 

  22.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3.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52: 302-306 

  24.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5. Mi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Milner A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y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s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24: 407-412 

  26. Roberta RE,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7.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28. Kang WW, Kim GY, Park PS, Park MR, Choi SW. 1996.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ersimmon leaves. Food and Biotechnology 5: 48-53 

  29. Kahkonene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R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 3954-3962 

  30. Frenkel EN, Huang SW, Kanner J, German JB. 1994. Interfacial phenomena in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s: bulk oils vs emulsion. J Agric Food Chem 42: 1054-1059 

  31. Banni S, Contini MS, Angioni E, Delana G, Dessi MA, Melis MP, Carta G, Corongiu FP. 1996. A novel approach to study linoleic acid autoxidation: importance of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 substrate and its derivative oxidation products. Free Radical Research 25: 43-53 

  32. Park YK, Koo MH, Ikegaki M, Contado JL. 1997. Comparison of the flavonoid aglycone contents of Apis mellifera propolis from various regions of Brazil. Arq Biol Technol 40: 97-106 

  33. Kandaswami C, Middleton EJr. 1994.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flavonoids. In Free radicals in diagnostic medicine. Armstrong D, ed. Plenum Pree, New York and London. p 351-376 

  34. Ilo M, Moriyama Y, Matsumoto N, Takaki N, Fukumoto M. 198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Agric Biol Chem 49: 2173-2176 

  35. Nakagawas T, Yokozawa T. 2002. Direct scavenging of nitric oxide and superoxide by green tea. Food Chem Toxicol 40: 1745-1750 

  36. Kim SM, Cho YS, Kim EJ, Bae MJ, Han JP, Lee SH, Sung SK. 1998.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iva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99-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