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 2005년, pp.1 - 7  

이호재 (남해군 농업기술센터) ,  배영일 (진주산업 대학교 식품과학과) ,  정창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심기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별 radical 소거활성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유지에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TBA가산가를 측정한 결과 95%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물추출물 500 $\mu$g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 subtilis균과 Bacillus cereus균과 같은 그램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1, 10 및 100 $\m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A549(폐암세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 100 $\mu$g/mL를 첨가하였을 때 62.63%의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95% 에탄올 추출물, 물추출물 및 50% 에탄을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cavenging effects of four extracts on the DPPH radical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 However, these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s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extract is increased. To compare reducing powers of various sol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 능성 제품 및 건강식품 자원으로 이용하고,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프로폴리스 각종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고부가가치 및 건강지향성 가공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 용하고자 프로폴리스를 각종 용매로 추출한 후 항산화, 아질 산염 소거효과, 항균 및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ediHerb Newsletter. 1988. Propolis: A natural antibiotic MediHerb Pty Ltd., Dec 

  2. Marcucci MC. 1995. Propolis: chemic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activity. Apidologie 26: 83-99 

  3. Bonvehi JS, Coll FV, Jorda RE. 1994. The composition, active components bacteriostatic activity of propolis in dietetics. J Am Oil Chem Soc 71: 529-532 

  4. Greenaway W, May J, Scaysbrook T, Whatley FR. 1991. Identificati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of 150 compounds in propolis. Zeitschrift fuer Naturforschung Teil C46: 111-121 

  5. Rice-Evans CA, Packer L. 1998. Flavonoids i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New York 

  6. Burdoc GA. 1998. Review of the biological properties and toxicity of bee propolis (propolis). Food Chem Toxicol 36: 347-363 

  7. Basnet P, Matsuno T, Neidlein R. 1997.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 isolated from Brazilian propolis. Zeitchrift fuer Naturforschung Teil C52: 828-833 

  8. Nieva Moreno MI, Isla MI, Cudmani NG, Vattuone MA, Sampietro AR. 1999.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Amaicha del Valle (Tucum..n, Argentina) propolis. J Ethnopharmacol 68: 97-102 

  9. Hausen BM, Evers P, Stuwe HT, Konig WA, Wollenweber E. 1992. Propolis allergy (IV). Studies with further sensitizers from propolis and constituents common to propolis, poplar buds and balsam of Peru. Contact Dermatitis 26: 34-44 

  10. Miyataka H, Nishiki M, Matsumoto H, Fujimoto T, Matsuka M, Satoh T. 1997. Evaluation of propolis I. Evaluation of Brazilian and Chinese propolis by enzymatic and physicochemical methods. Biol Pharm Bull 20: 496-501 

  11. Lim DK, Choi U, Shin DH, Jeong YS. 1994. Antioxidative effect of propolis extract on palm oil and l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2-626 

  12. Han SK, Park HK. 1995.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meat products by natural propolis: Effect of EEP on protein change of meat products. Korean J Anim Sci 37: 551-557 

  13. Han SK, Park HK. 1996. Effect of ethanol extracted propolis on fat oxidation of meat products. Korean J Anim Sci 38: 94-100 

  14. Kim CT, Lee SJ, Hwang JK, Kim CJ, Ahn BH. 1997. Effects of propolis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staling of whit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82-986 

  15. Yang SY, Lee NH, Hong SP, Bang HA. 1999. Effects of propoli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squ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56-360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5: 1199-1200i 

  17. Yen GC, Chen HY. 198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gric Food Chem 43: 27-32 

  18. Jeong CH, Shim K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oo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ation 9: 351-355 

  19. Gray J,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20. Farag RS, Daw ZY, Hewedii FM, El-Baroty GSA. 198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52: 665-670 

  21.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2. Bankota AH, Tezuka Y, Adnyana IK, Midorikawa K, Matsushige K, Message D, Huertas AAG, Kadota S. 2000. Cytotoxic,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propolis from Brazil, Peru, the Netherlands and China. J of Ethnopharmacol 72: 239-246 

  23. Kim H J, Hwangbo S, Lee SW. 2002. Studies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77-80 

  24. Seo KI, Oh IS, Oh DH, Choi SH, Shon MY, Moon JS. 2000. Quality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69-972 

  25. Jeong CH, Bae YI, Lee HJ, Shim KH. 2003.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1-505 

  26. Lee SW, Hwanbo S, Kim HJ.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66-71 

  27. Obregon FAM, Rojas HN. 1990. Antimicrobial action of alcoholic extracts of propolis. Revists Cubana de Farmacia 24: 34-44 

  28. Lee HS, Lee JY, Kim DC, In MJ, Hwang WI. 2000. The inhibitory effect of propolis on in vitro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3: 8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