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TIR을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속도 연구

Kinetics on the Synthesis of Poly(caprolactone diol) and Aliphatic Lsocyanate by FTIR Spectroscopy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1, 2005년, pp.59 - 63  

강석환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양윤규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곽노석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강윤욱 ((주)애경산업 중앙연구소) ,  황택성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FTIR을 이용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속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NCO 피크(2265 $cm^{-1}$)의 흡광도 변화를 통하여 반응속도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은 전체적으로 단순 2차 반응속도법과 일치함이 확인되었고,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 속도 상수는 증가하였다. 반응속도 상수로부터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hexamethylene diisocyanate의 경우 25.4~30.9 kJ/mol, 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의 경우 16.8~22.1 kJ/mol로 각각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netic study of a reaction between poly(caprolactone diol) and aliphatic isocyanate was investigated by FTIR spectroscopy. The reaction rate was obtained from analyzing the absorbance change of NCO peak (2265 $cm^{-1}$) in series IR spectra. In the results, the overall reaction betwee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ure 5. Kinetic analysis of urethane synthesis by using Arrhenius plot with PCL (mol ratio : HDI/PCL-2).
  • 븐- 연구에서는 방추 및 방축가공제로 사용하기 위한 폰 리우레탄 합성의 일환으로를 .리(카프로락톤 나이올)과 지방족이 소 시아네이드를 이용하여 우레단 결합의 생싱을 FTIR 분석 방법에 의해 속 노상수와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고, 온도가 반응에 미치는영향 을 검토하여 반응속도와 메카니즘의 변동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우신 PCL을 110 V 신공오븐에 1시간 동안 수분제거를 한 후 질소충전된 500 mL dual 4 구 플라스크에 일정 조성비의 PCL을 DMS0에 녹인다. 전체 반응액에 대하여 0.5 wt%의 DBTDL을 가하여 각각의 반응 온도(65, 75, 85 ℃)에 따라 교반하다가 HDI, H]2MDI 각각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교반, 혼합하여 예비 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반응의 종말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DBA 역적정법을 사용하였으며, ' 반응 도중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응 물 시료를 FTIR로 분석하여 반응 정도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합성을 위한 시약으로 분자량이 각각 1250. 2000인 풀-리(카프로락톤 다이올)과 HDI는 Aldrich사의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Hl2MDIt Bayer사의 제품 음 사용하였다.
  • 2000인 풀-리(카프로락톤 다이올)과 HDI는 Aldrich사의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Hl2MDIt Bayer사의 제품 음 사용하였다. 촉매로 사용한 dibutyltin dilaurate(DBTDL)은 Aldrich사 의 표준시약을 사용하였으며, dimethyl sulfoxide(DMSO)와 메탄올 은 (주)넉산화학의 순도 95% 이상의 시약급을 사용하였다.
  • Hl2MDIt Bayer사의 제품 음 사용하였다. 촉매로 사용한 dibutyltin dilaurate(DBTDL)은 Aldrich사 의 표준시약을 사용하였으며, dimethyl sulfoxide(DMSO)와 메탄올 은 (주)넉산화학의 순도 95% 이상의 시약급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5 wt%의 DBTDL을 가하여 각각의 반응 온도(65, 75, 85 ℃)에 따라 교반하다가 HDI, H]2MDI 각각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교반, 혼합하여 예비 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반응의 종말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DBA 역적정법을 사용하였으며, ' 반응 도중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응 물 시료를 FTIR로 분석하여 반응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 J. David and H. B. Staley, Analytical Chemistry of Polyurethnne, Wiley-Interscience, New York, Vol 1. p 85 (1969) 

  2. S. H. Choi,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0, 621 (1999) 

  3. T. Y. Lee, H. S. Lee, and S. S. Won,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0, 597 (1999) 

  4. D. S. Kim, Journal of the Korean Fiber Society, 25, 56 (1988) 

  5. H. M. Jeong, B. K. Kim, and Y. J. Choi, Polymer, 41, 1849 (2000) 

  6. T. Takahashi, N. Hayashi, and S. Hayashi, J. AppL Polym. Sci., 60, 1061 (1996) 

  7. H. C. Jung, S. J. Kang, W. N. Kim, S. B. Kim, Y. B. Lee, and S. H. Ho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2, 29 (1998) 

  8. S. M. Kim and T. S. Hwang, Polymer(Korea), in press (2004) 

  9. M. J. Elwell, A. J. Ryan, H. J. M. Grunbauer, and H. C. Van Lieshout, Polymer, 37, 1353 (1996) 

  10. N. Cordeiro, M. N. Belgacem, A. Gandini, and C. P. Neto, Ind. Crop. Prod., 6, 163 (1997) 

  11. S. Ajithkumar, S. S. Kansara, and N. K. Patel, Eur. Polym. J., 34, 1273-1276 (1998) 

  12. X. Tassel, D. Barbryb, and L. Tighzerta, Eur. Polym. J., 36, 1745 (2000) 

  13. C. Pavier and A. Gandini, Eur. Polym. J., 36, 1653 (2000) 

  14. J. K. Kim, H. K. Cho, S. T. Noh, and S. C. Kang, J. Korean Ind. Eng. Chem., 13, 815 (2002) 

  15. S. Parnell, K. Min, and M. Cakmak, Polymer, 44, 5137 (2003) 

  16. P. N. Lan, S. Corneillie, E. Schacht, M. Davies, and A. Shard, Biomaterials, 17, 227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