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의 기능이 강화된 저항전분 (HI-MAIZE DIET)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sistant Starch (HI-MAIZE DIET) Fortified with Other Dietary Fiber Compon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3, 2005년, pp.351 - 355  

최양문 (신성대학 외식산업전공) ,  오성훈 (안산공과대학 식품생명공업과) ,  유광원 (국립청주과학대학 김치식품과학과)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나경수 (대구공업대학 식품영양과) ,  박철수 (공동제약㈜중앙연구소) ,  김경미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서형주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이섬유의 기능을 가지는 저항전분(HM: HI-MAIZE)과 저항전분에 차전자피를 포함한 탄수화물로 구성된 D-factor를 10% 가하여 제조한 식이섬유(HM-D: HI-MAIZE DIET)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glucose 및 bile acid 흡수저해효과 및 장내 세균에 의한 혐기적 발효산물인 단쇄지방산의 함량을 각각 비교하였다 반투막을 이용하여 glucose흡수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HM에 비하여 HM-D의 경우 glucose 저해효과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석 막을 통한 glucose 투과는 4시간 경과 시 HM은 77%와 HM-D는 68%를 보였으며, 24시간까지 연장시 glucose는 거의 전부 투과되었다. 투석 막을 이용한 bile acid 흡수저해효과는 HM시료에 비하여 D-factor가 첨가된 저항전분의 경우 bile acid 흡수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투석막을 통한 bile acid 투과는 서서히 일어났으며 24시간 경과 시 HM과 HM-D의 경우 65%와 62.3%의 bile acid 투과가 이루어 졌다. 장내 세균에 의한 단쇄지방산 생성은 HM의 경우 217.8mM, HM-D는 264.0mM로 HM-D의 경우 더 많은 양의 단쇄지방산의 생성량을 보였으며, butyric acid 생성 양은 HM-D가 32.7mM로 26.9mM생성량을 보인 HM에 비하여 높았다. 따라서 D-factor첨가에 의해 glucose와 bile acid의 흡수저해 효과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단쇄지방산의 함량과 butyric acid함량 증가를 보임에 따라 D-factor첨가에 의해 저항전분이 지니는 식이섬유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resistant starch (HM: HI-MAIZE) and HM-D (HI-MAIZE DIET) fortified with D-factor (consisted of Psyliium husk, polydextrose and hydrocitric acid)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absorption and production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HM-D ab...

주제어

참고문헌 (25)

  1. Trowell HC. 1974. Definition of fiber. Lancet 303: 503 

  2. Trowell HC. 1976. Definition of dietary fiber and hypothesis that is a protective factor in certain diseases. Am J Clin Nutr 29: 417-425 

  3. Schneeman BO. 1987. Soluble vs insoluble fiber different physiological responses. Food Technol 41: 81-88 

  4. Stollman N, Raskin JB. 2004.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Lancet 363: 631-639 

  5. Tungland BC, Meyer D. 2002. Nondigestible oligo- and polysaccharides (dietary fiber): Their physiology and role In human health and food. Compre Rev Food Sci Food Safety 1: 73-92 

  6. Thrompson DB. 2000. Strategies for the manufacture of resistant starch. Trends Food Sci Tech 11: 245-253 

  7. Silvi S, Rumney CJ, Cresci A, Rowl IR. 1999. Resistant starch modifies gut microflora and microbial metabolism in human flora-associated rats inoculated with faeces from Italian and UK donors. J Appl Microbiol 86: 521-530 

  8. Brown I, Warhurst M, Arcot J, Playne M, Illman RJ, Topping DL. 1997. Fecal numbers of bifidobacteria are higher in pigs fed Bifidobacterium longum with a high amylose cornstarch than with a low amylose cornstarch. J Nutr 127: 1822-1827 

  9. Heijnen ML, Beynen A. 1998. Effect of consumption of uncooked (RS2) and retrograded (RS3) resistant starch on apparent adsorption of magnesium, calcium, and phosphorus in pigs. Z Ernahungswiss 37: 13-17 

  10. Lopez HW, Levrat Verny MA, Coudray C, Besson C, Krespine Y, Messager A, Deigne C, Remesy C. 2001. Class 2 resistant starches lower plasma and liver lipids and improve mineral retention in rats. J Nutr 131: 1283-1289 

  11. Adiotomre J, Eastwood MA, Edwards CA, Brydon WG. 1990. Dietary fiber: in vitro methods that anticipate nutrition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s. Am J Clin Nutr 52: 128-134 

  12. Somogyi M. 195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13. Boyd GS, Eastwood MA, MacLean N. 1966. Bile acids in the rat: Studies in experimental occlusion of the bile duct. J Lipid Research 7: 83-94 

  14. Bryant MP, Burkey LA. 1953. Cultural methods and some characteristics of some of the more numerous groups of bacteria in the bovine rumen. J Dairy Sci 36: 205-217 

  15. Tigemeyer EC, Bourguin LD, Fahey GC, Garleb KA. 1991. Fermentability of various fiber sources by human fecal bacteria in vitro. Am J Clin Nutr 53: 1418-1424 

  16. Lebet Y, Arrigoni E, Amado R. 1988. Measurement of fermentation products and substrate disappearance during incubation of dietary fibre sources with human faecal flora. Lebensm-Wiss Technol 31: 473-479 

  17. Lee KS, Lee SR. 1996.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in vitro. Kor J Nutr 29: 738-746 

  18. Vahouny GV, Khalafi R, Satchithanandam S, Watkins DW, Story JA, Cassidy MM, Kritchevsky D. 1987.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and fecal bile acids, neutral steroids and divalent cations in rats. J Nutr 117: 2009-2015 

  19. Story JA. 1985. Dietary fiber and lipid metabolism. Proc Soc Exp Biol Med 180: 447-452 

  20. Chen WJL, Anderson JW Jennings D. 1984. Propionate may medi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cts of certain soluble plant fober in cholesterol-fed rats. Proc Soc Exp Biol Med 175: 215-218 

  21. Jenkins DJA, Wong GS, Patten R, Bird J, Hall M, Buckley GC, McGuire V, Reichert R, Little JA. 1983. Leguminous seeds in the dietary management of hyperlipidemia. Am J Clin Nutr 26: 567-573 

  22. Segain JP, de la Bletiere DR, Bourreille A, Leray V, Gervois N, Rosales C, Ferrier L, Bonnet C, Blottiere HM, Galmiche JP. 2000. Butyrate inhibits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NFKB inhibition: implications for Crohn's disease. Gut 47: 397-403 

  23. Lim BO, Lee CJ, Kim JD. 2004. Study on immunoregulatory function of dietary fiber. Food Ind Nutr 9: 26-30 

  24. Smith JG, Yokoyama WH, German BG. 1998. Butyric acid from the diet: actions at the level of gene expression. Clin Rev Food Sci 38: 259-297 

  25. Caderni G, Luceri C, Lancioni L, Tessitore L, Dolara P. 1998. Slow-release pellets of sodium butyrate increase apoptosis in the colon of rats treated with azoxymethan, without affecting aberrant crypt foci and colonic proliferation. Nutr Cancer 30: 175-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