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최초 발생에 관한 나로도 해역의 환경학적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Effects at Narodo, in the Southern Water of Korea, on Bloom of Ichthyotoxic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5 no.2 = no.69, 2005년, pp.225 - 230  

조은섭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해성 적조생물 C. polykrikoides가 매년 발생되는 나로도와 반대로 전혀 최초발생이 되지 않는 부산해역을 정점으로 2001년 2월, 5월, 7월, 10월에 걸쳐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를 조사했다. 수온은 7월에 최고 $20-22^{\circ}C$ 범위를 보였고, 염분도는 각 정점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최고 34 psu을 나타내었다. chlorophyll $\alpha$의 농도 범위는 $0.01-1.3\;{\mu}g\;1^{-1}$ 암모니아질소는 정점1에서 2월과 5월에 0.15, $0.19 {\mu}mol\;1^{-1}$ 정점2에서 최고 7월과 10월에 각각 $0.22-2.2\;{\mu}mol\;1^{-1}$ 보였다. 질산질소와 아질산질소도 암모니아성질소와 비슷한 변화 곡선을 나타내었다. 인산인은 정점 3, 4, 5에서 최고 $0.01-0.1\;{\mu}mol\;1^{-1}$ 범위를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으로 나타났고, 정점1에서 7월과 10월에 최고 30,000, $13{\times}10^3\;cells\;\;1^{-1}$을 보였고, 출현세포의 평균 폭은 정점3에서 최고 $178.11\;{\mu}m$, 세포 길이는 7월에 $337.72\;{\mu}m$였다. 나로도 해역이 부산에 비하여 C. polykrikoides 최초 적조발생의 원인은 아마도 외해로 유입되는 전선에 의해서 성장에 알맞은 환경여건을 만들어 줌과 아울러 다른 와편모조류의 세포형태나 출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luctuation in phytoplankton assemblages with rega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nutrients, which were surveyed quarterly over the fours seasons (February, May, July, and October). In turn, an understanding of biological effects should provide insigh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미 언 급한 여러 연구자들의 보고는 대부분 여름철에만 국한된 봇 돌바다의 환경특성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C. poly- krikoides 적조가 발생되는 해역을 중심으로 사계절에 걸친 환경학적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변동을 조사함으로써 봇돌바다가 과연 다른 해역에 비하여 C. polykrikoides 발생에 적 합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embella, A. D., N. J. Antia and P. J. Harrison. 1984. The utiliza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phosphorous compounds as nutrients by eukaryotic microalgae: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Rev. Microbiol. 10, 317-391 

  2. Ellegaard, M., N. F. Christensen and O. Moestrup. 1993. Temperature and salinity effects on growth of a non-chainorming strain of Gymnodinium catenatum (Dinophyceae) established from a cyst from recent sedients in the Sound, Denmark. J. Phycol. 29, 418-426 

  3. Hallegraeff, G. M. 1993. A review of harmful algal blooms and their apparent global increase. Phycologia 32, 79-99 

  4. Kang, Y. S., H. G. Kim, W. A. Lim, C. K. Lee, S. G. Lee and S. Y. Kim. 2002. An unusual coast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1995 in the South Sea of Korea. J. Kor. Soc. Oceanogr. 37, 212-223 

  5. Lee, S. W. 1996. An outline of oceanographysics. Jipmundang Press, Seoul. 225 pp 

  6. Shumway, S. E. 1990. A review of the effects of the blooms on shellfish and aquactulture. J. World Aquactult. Soc. 21, 65-104 

  7. Uchida, T., S. Toda, Y. Matsuyama, M. Yamaguchi, Y. Kotani and T. Honjo. 1999. Interactions between the red tide dinoflagellat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 and Gymnodinium mikimotoi in larboratory culture. J. Exp. Mar. Biol. Ecol. 241, 285-299 

  8. Viquez, R. and P. E. Hargraves. 1995. Annual cycle of potentially harmful dinoflagellates in the Golfo de Nicoya, Costa Rica. Bull. Mar. Sci. 57, 467-475 

  9. 국립수산진흥원. 2000. 1999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 206 pp 

  10. 김대일. 2003.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harmful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일본 큐슈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4 pp. (in Japanese) 

  11. 김학균, 이삼근, 안경호, 윤성화, 이필용, 이창규, 조은섭, 김정배, 최희구, 김평중.1997. 한국연안의 적조생물, 구덕인쇄사, 280 pp 

  12. 김학균, 최우정, 정영균, 정창수, 박종수, 안경호, 백철인. 1999 나로도 인근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과 환경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19-129 

  13.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 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바다. 5, 16-26 

  14. 최용규, 조은섭, 이용화, 이영식.2005. 2004년 7월 봇돌바다의 썰물, 전류 및 밀물시 수온과 염분 분포. 한국환경과학회지. 14 (인쇄중) 

  15. 최현용.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 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바다 6, 49-62 

  16.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30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