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워크북 프로그램이 미숙아어머니의 스트레스, 모성역할 자신감,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2, 2005년, pp.419 - 427  

장영숙 (목포카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percieved stress levels,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feeding practices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and-post test to compare the tw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의 교육 및 시범, 상담을 중재 전략으로 선택하여 지역사회 자원과 연결 되기 전에 병원에서 가정으로의 이행을 돕는데 중점을 두었 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가운데 다른 중재 프로그램과 다른 점은 어머니들이 수동적으로 받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어머니들이 교육을 받고 직접 확인 기록해 볼 수 있도록 프 로그램 내용을 조직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어머니들이 참여 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 미숙아어머니를 대상으로 워크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숙 아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 모성역할 자신감, 모유수유 실천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며,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숙아어머니를 대상으로 워크북 프로그램의 효 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이다.
  • 미숙아의 출생과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입원 경험은 이들 부모, 특히 어머니에게 스트레스가 되며, 미숙아를 다루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자신감이 결여되어 모성 역 할 획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감소시 키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가 요구된다. 이에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워크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숙아어머니의 스트레스 인지, 모성 역할 자신감,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숙아를 돌보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인 지정도를 감소시키고 모성역할 자신감과 모유수유 실천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숙아어머니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 고 미숙아어머니에게 교육 효과를 피드백 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는 미숙아어머니를 위한 워크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퇴원 전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워크북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숙아어머니는 참여하 지 않은 미숙아어머니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
  • . 가설 2. 워크북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숙아어머니는 참여하 지 않은 미숙아어머니보다 모성역할 자신감 정도가 높아 질 것이다.
  • 가설 3. 워크북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숙아어머니는 참여하 지 않은 미숙아어머니보다 모유수유 실천 정도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M. (2002).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community-based health care program for premature infants and family.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8(2), 129-140 

  2. Bae, C. W. (2000). Recent advances of mortality, morbidity and outcom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Korea. Kor J Perinatal, 11(2), 131-141 

  3. Bang, K. S., Kim, Y. S., & Park, J. W. (2002). Study on the comparison of emotion between the mothers with low-birth weights and normal infants and the effect of home visiting for the low-birth weigh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 5(1), 75-89 

  4. Chae, S. M.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low birth infants and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unsei University. Seoul 

  5. Cho, K. J.,Yu, I. Y., Park, Y. S., Kim, H. S., Song, J. H., Park, I. S., Kim, M. W., & Shin, H. S. (2000). Family centered Nursing Care of Children(Rev. 2nd ed). Seoul : Hyunmoonsa 

  6. Choi, S. H. (1998).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of mother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4(1), 60-75 

  7. Flacking, R., Nyqvist, K. H., Ewald, U., & Wallin, L. (2003). Long-term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Swedish Low Birth Weight Infants. J Hum Lact 19(2), 157-165. 

  8. Han, K. J. (2001). Development of a home-based nursing intervention, mothering program for low-birth-weight infants. J Korea Acad Soc. of Home Care Nur, 8(1), 5-24 

  9. Han, K. J. (1997). The study on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the support and educational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of the infants' mother.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3(2), 228-240 

  10. Joung, K. H. (1998). Effect of planned nursing intervention on the stress, the maternal role strain, and the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5(1), 70-83 

  11. Kim, M. S., Kim, J. U., An, Y. M., Bae, S. M., & Kim, M. J. (2003). The research on the breast 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9(3), 272-284 

  12. Kim, T. I. (2000).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6(2), 224-239 

  13. Kim, H. M. (1996). Advances in neonatal care and outcom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J Pediatric Acad, 39(6), 762-772 

  14. Kim, M. J., Son, D. W., Chang, Y. p. Tchah, H., Choi, J. H., & Yun, C. K. (1990). Statistical study on the incidence of prematurity and low birth weight infant. Kor J Perinatol. 1(2), 224-234 

  15. Kwon, M. K. (1998). Effects of a mother-infant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ee, J. H. (1999).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tervention on mood and maternal confidence of premature's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unsei University. Seoul 

  17. Lee, J. H. (1994). Perception and emotions of mothers of high-risk newborn infants. J Korean Acad Nur, 24(4), 557-567 

  18. Lim, J. Y (1996). Effect of supportive care and infant care information on the percieved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unsei University. Seoul 

  19. Melnyk, B. M., Alpert-Gillis, L., Feinstein, N. F., & Fairbanks, E. (2001). Improving Cognitive Development of Low-Birth-Weight Premature Infants with the COPE Program: A Pilot Study of the Benefit of Early NICU Intervention With Mothe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4, 373-389 

  20. Meyer, E. C.. Coil, C., Lester, B. M., Boukydis, C. F. Z., McDonough, S. M., & Oh, W. (1994). Family-Based Intervention Improves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eeding Interaction of Preterm Infants. Pediatrics, 93(2), 241-246 

  21. Miles, M. S., Funk, S. G., & Carlson, J. (1993). Parental Stress Scale; P.I.C.U. Nursing Research, 42(3), 148-152 

  22. Moon, J. H. (2000).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whose first baby is prema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unsei University. Seoul 

  23. Oh, J. H. (1995). Stressors perceived by parents of the critically ill newbo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Park, M. S. (1991). A comparative on primiparas'self confidence of taking care of neonates between rooming-in and conventional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5. Pharis, M. E. (1978). Age and sex differences in expectation for parenting among couples in a first pregnancy and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6. Rubin, R. (1967a).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part I : Process. Nursing Research, 16(3), 237-245 

  27. Shin, Y. H. (2003). Current status of Korean premature infant care and its prospective.,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9(1), 96- 106 

  28. Sung, M. H. (2002).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degree and content of mother of high-risk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of Child Health Nur , 8(1), 97-109 

  29. Steele, K. H. (1987). Caring for parents of critically ill neonate during hospitalization: Strategie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Materal-Child Nursing Journal, 16(1), 13-27 

  30. Walker, L. O, Crain, H., & Thompson, E. (1986a). Maternal role attainment and identity in the postpartum period Stability and change. Nursing Research, 35(2), 68-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