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와 혈청 구리, 아연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ary Habits, Nutrition Intake Status and Serum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s of Adolescent Athletes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serum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s of adolescent athletes. 50 high school adolescent athletes (29 male, 21 female) took part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nd 47 high school adolescent non-athletes (21 m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serum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s of adolescent athletes. 50 high school adolescent athletes (29 male, 21 female) took part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nd 47 high school adolescent non-athletes (21 male, 26 female) in general high school.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24-hour dietary recalls and blood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males, the mean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s of athletes and non-athletes were 174.0/172.9 cm, 67.4/68.3 kg, and 8.9/20.0% (p<0.001) respectively. In the females, the mean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s of athletes and non-athletes were 163.7/159.3 cm (p<0.01), 58.7/55.7 kg (p<0.05), and 18.6/30.1 % (p<0.001) respectively. In both male and female athletes, intakes of anim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intakes of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athlete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zinc and copper intakes between athlete and non-athlete groups. The average serum zinc level of male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ale non-athlete. The average serum copper levels of male and female athlet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ale and female non-athletes. Based on these results, exercise may effect on zinc and copper utilization of adolescent. Further studies on zinc and copper nutrition of adolescent athletes were needed to understand more mineral nutrition and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serum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s of adolescent athletes. 50 high school adolescent athletes (29 male, 21 female) took part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nd 47 high school adolescent non-athletes (21 male, 26 female) in general high school.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24-hour dietary recalls and blood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males, the mean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s of athletes and non-athletes were 174.0/172.9 cm, 67.4/68.3 kg, and 8.9/20.0% (p<0.001) respectively. In the females, the mean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s of athletes and non-athletes were 163.7/159.3 cm (p<0.01), 58.7/55.7 kg (p<0.05), and 18.6/30.1 % (p<0.001) respectively. In both male and female athletes, intakes of anim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intakes of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athlete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zinc and copper intakes between athlete and non-athlete groups. The average serum zinc level of male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ale non-athlete. The average serum copper levels of male and female athlet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ale and female non-athletes. Based on these results, exercise may effect on zinc and copper utilization of adolescent. Further studies on zinc and copper nutrition of adolescent athletes were needed to understand more mineral nutrition and exerci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인 고등학교 학생들 중 운동선수로써 정규적인 운동을 하는 체육고등학교 학생과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이섭취조사; 신체계측, 혈액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영양상태와 혈청 아연과 구리의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영양상태와 운동이 성장기 청소년의 아연과 구리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본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식생활 지침과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공복상태에서 진공채혈관을 이용하여 정맥혈 15 cc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3, 000 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후 분석시 까지 냉동보관 하였다.
대상자의 성별, 음주와 흡연 여부 등 환경요인과 식사 빈도 외식과 간식 섭취 등의 식습관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영양소 섭취 조사는 훈련된 조사원이 개인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신장과 체중은 신체자동계측기 (Fatness measuring system, DS-102, JENIX, Korea) 를 사용하여, 가벼운 옷차림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 직립한 자세로 측정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BMI) = 체중 (kg)/[신장 (m)] 2)를 산정하였다 체지방율, 제지방율 (LBM, lean body mass) 과 체수분율 (TBW, total body water) 은 체지방측정기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zer, TBF-105, TANITA, Japan)를 사용하여 연령과 신장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BMI) = 체중 (kg)/[신장 (m)] 2)를 산정하였다 체지방율, 제지방율 (LBM, lean body mass) 과 체수분율 (TBW, total body water) 은 체지방측정기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zer, TBF-105, TANITA, Japan)를 사용하여 연령과 신장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혈압은 자동혈압기 (FuUy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BP-750A, NIEEEI, Japan) 를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양소 섭취 조사는 훈련된 조사원이 개인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원은 식품모형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식기를 이용하여 조사자의 회상을 도와 하루 동안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이용하여 Student t-testS.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식품성분표, 미국의 Food composition and nutrient tables11' 와 우리나라와 유사한 식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일본의 食 品微量元素含量表(2)를 이용하여 구리와 아연의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아연 섭취량은 남학생은 운동선수군 10.
조사원은 식품모형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식기를 이용하여 조사자의 회상을 도와 하루 동안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영양평가 프로그램 (Can-Pro,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한국영양학회 부설 영양정보센타'), 식품성분표Food composition and nutrient tables111 및 食品微量元素含量表'”를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영양소 섭취 조사는 훈련된 조사원이 개인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원은 식품모형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식기를 이용하여 조사자의 회상을 도와 하루 동안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영양평가 프로그램 (Can-Pro,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한국영양학회 부설 영양정보센타'), 식품성분표Food composition and nutrient tables111 및 食品微量元素含量表'”를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BMI) = 체중 (kg)/[신장 (m)] 2)를 산정하였다 체지방율, 제지방율 (LBM, lean body mass) 과 체수분율 (TBW, total body water) 은 체지방측정기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zer, TBF-105, TANITA, Japan)를 사용하여 연령과 신장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혈압은 자동혈압기 (FuUy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BP-750A, NIEEEI, Japan) 를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3, 000 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후 분석시 까지 냉동보관 하였다. 혈청 아연과 구리 함량은 3차 증류수와 1 : 1 로 희석하여 원자흡광광도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Varian Techron Ltd., AA-1457 Springvale, Australia)에 흡입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인천 소재의 특수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운동선수-(남자 29명, 여자 21명)와 서울시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고교 고등학생 (남자 21명, 여자 26명)을대상으로 신체계측, 설문조사, 식이섭취조사, 혈액분석을 실시하였다. 운동선수의 운동종목은 남자의 경우 육상 13명, 유도 6명, 복싱 4명, 수영 2명, 레슬링 1명, 사격 1명, 역도 1명, 체조 1명 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육상 11명, 사격 7 명, 유도 2명, 수명 1명이었다.
데이터처리
본 실험에서 얻은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성별에 따른 군간의 신체계측, 영양소 섭취상태, 혈액 성상의 비교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 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S.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성능/효과
& 또한 연속적인 훈련을 하는 선수나 지구력 운동을 하는 선수들의 경우는 하루 총 열량의 60~70%를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고탄수화물의 식사를 권장하며 비지구력 종목에서는 고탄수화물 식사의 유익성이 아직 검토되지 않아 50-60% 정도의 당질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운동선수의 전체 열량 중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은 남학생이 59.6%, 여학생은 55.9% 로 나타나 일반적인 권장량인 50~60%> 만족하였다.
1일 평균 단백질의 섭취량은 남학생이 운동선수군은 87.8 g, 일반군은 81.6 g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모두 권장량 이상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동물성 단백질의 평균 섭취량에서 각각 47.9 g, 35.2 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여학생의 1일 평균 단백질의 섭취량은 운동선수 군이 74.
간식 빈도 면에서 운동선수 남학생이 일반 남학생에 비해 잦은 간식섭취 빈도를 보여 하루에 2~3회인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간식의 횟수도 많아진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小 간식 메뉴는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간식의 종류는 우유, 유제품, 아이스크림을 선택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운동선수군이 우유, 유제품, 아이스크림을 선택하는 빈도에서 일반군에 비해 높았다. 패스트푸드점 이용빈도에서도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남학생의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여학생도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비타민 易, 비타민 C, niacin의 섭취량은 충분하였으며 비타민 A, 비타민 围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고, 비타민 C만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운동선수 군의 섭취가 낮았다 (p<0.
7 kg 이었다. 남학생의 체지방율은 운동선수군이 8.9%, 일반군이 20.0%였고, 여학생은 운동선수군이 18.6%, 일 반군은 30.1%로 남녀 모두에서 운동선수군이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상자들의 식사빈도 및 외식빈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간식 빈도면에서 체육고등학교 남학생이 일반고등학교 남학생에 비해 잦은 간식섭취 빈도를 보였다.
1%로 남녀 모두에서 운동선수군이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상자들의 식사빈도 및 외식빈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간식 빈도면에서 체육고등학교 남학생이 일반고등학교 남학생에 비해 잦은 간식섭취 빈도를 보였다. 운동선수 남학생은 동물성 단백질(P < 0.
대상자들의 외식빈도는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외식 시 선택하는 메뉴 또한 유의적인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식 빈도 면에서 운동선수 남학생이 일반 남학생에 비해 잦은 간식섭취 빈도를 보여 하루에 2~3회인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간식의 횟수도 많아진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대상자들의 흡연과 음주상태를 살펴본 결과(Table 3) 흡연 비율은 운동선수군과 일반군 남학생이 각각 25.9%, 23.8%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운동선수군는 0%, 일반군은 4.2%로 나타났다. 음주비율은 남학생의 경우 각각 53.
4 g으로 나타나 남녀 모두 전체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동물성 지질의 섭취량은 일반 남녀학생에 비해 운동선수 남녀학생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p < 0.01, P < 0.05), 식물성 지질의 섭취량은 운동선수 남학생에게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p < 0.05) 운동선수의 동물성지질의 섭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콜레스테롤의 평균 섭취량은 운동선수 남학생이 297.
0%로 남녀 모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점심과 저녁의 섭취빈도에서는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아침, 점심, 저녁 모두 매일 섭취하는 비율이 운동에 관계없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낮았다.
무기질의 평균 섭취량을 보면 남학생은 인의 섭취량 (운동선수군 152.6% of RDA, 일반군 142.9% of RDA) 만이 권장량 이상이었고 칼슘 (운동선수군 54.5% of RDA, 일 반군 59.9% of RDA), 철 (운동선수군 76.5% of RDA, 일 반군 58.9% of RDA) 과 아연 (운동선수군 67.2% of RDA, 일반군 68.7% of gDA)의 섭취량은 권장량 이하였으며,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 또한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인의 섭취량 (운동선수군 140.
1, 2와 같다. 본 연구 대상자 남학생의 혈청 아연 함량은 운동선수 군과 일반군이 각각 84.3 “g/dl, 97.7 “g/dl로 운동선수에게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 < 0.01), 여학생의 혈청 아연 함량은 운동선수군이 90.3 zzg/dl, 일반군이 92.4 /zg/dl 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아연의 정상 임상기준치인 74~130 〃g/dl"과 비교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아연의 함량은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었다.
운동선수에게 있어서 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이 부족하면 체중감소, 운동능력 저하,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고 나아가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운동선수들은 체중을 조절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공되는 열량과 섭취한 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본 연구대상자 남녀 운동선수군의 에너지섭취량은 권장량의 9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식품성분표, 미국의 Food composition and nutrient tables11' 와 우리나라와 유사한 식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일본의 食 品微量元素含量表(2)를 이용하여 구리와 아연의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아연 섭취량은 남학생은 운동선수군 10.1 mg, 일반군 10.3 mg, 여학생은 운동선수군 8.2 mg, 일반군 9.0 mg으로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청소년의 아연 섭취량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윤신의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평균 9.
본 연구에서 평균 신장과 체중은 운동선수 남학생이 174.0 cm, 67.4 kg, 일반 남학생이 172.9 cm, 68.3 kg, 여학생은 운동선수군이 163.7 cm, 58.7 kg, 일반군이 159.3 cm, 55.7 kg 이었다. 남학생의 체지방율은 운동선수군이 8.
본 연구에서 혈청 구리 함량은 남학생이 운동선수군은 82.5 “g/dl, 일반군은 96.0 “g/dl으로 운동선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 < 0.001), 여학생은 운동선수군이 95.1 “g/dl, 일반군이 105.5 “g/dL으로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운동선수군의 혈청 구리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정상임상기준치인w 80-155 “g/dl과 비교시두군 모두 정상범위내에 포함되었다.
조사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식사빈도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식사빈도에서는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아침식사의 섭취율은 매일 먹는 경우가 운동선수 남학생이 60.7%, 일반 남학생이 57.1%, 운동선수 여학생이 23.8%, 일반 여학생이 48.0%로 남녀 모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점심과 저녁의 섭취빈도에서는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of gDA)의 섭취량은 권장량 이하였으며,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 또한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인의 섭취량 (운동선수군 140.5% of RDA, 일반군 131.6% of RDA) 만이 권장랑= 이상이었고, 칼슘 (운동선수군 56.0% of RDA, 일반군 60.2% of RDA), 철 (운동선수군 84.7% of RDA, 일반군 58.2% of RDA), 아연 (운동선수군 68.2% of RDA, 일반군 74.7% of RDA) 의 섭취량은 권장량 이하였으며, 역시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최근의 식생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의 낮은 칼슘의 섭취는 여전하여 건강상의 문제로 지적되며 또한 철의 섭취 부족으로 인한 빈혈도 우려된다.
05). 여학생도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비타민 易, 비타민 C, niacin의 섭취량은 충분하였으며 비타민 A, 비타민 围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고, 비타민 C만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운동선수 군의 섭취가 낮았다 (p<0.05).
05). 여학생의 1일 평균 단백질의 섭취량은 운동선수 군이 74.0 g, 일반군은 68.8 g으로 권장량을 상회하며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량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선수에게 단백질의 필요량은 운동의 종류와도 관련성이 있어 지구력 운동을 하는 선수보다는 근력 운동을 하는 선수에게 더 많은 단백질이 권장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종목간의 구별을 두지 않아서 앞으로 종목별 단백질의 섭취율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자들의 식사빈도 및 외식빈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간식 빈도면에서 체육고등학교 남학생이 일반고등학교 남학생에 비해 잦은 간식섭취 빈도를 보였다. 운동선수 남학생은 동물성 단백질(P < 0.05), 동물성 지질 (p < 0.01)에서 일반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식물성 지질(P < 0.05), 비타민 C (p< 0.05) 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운동선수군이 일 반군보다 동물성 지질(P < 0.05)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비타민 C (P < 0.05) 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였고, 구리와 아연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아연 함량은 남학생은 운동선수 군과 일반군이 각각 84.
영유아, 성장기 아동, 임신부, 수유부 및 노인 등 아연 요구량이 높은 시기에 있어서는 아연의 낮은 섭취와 낮은 혈중 아연 농도가 때로는 성장을 지연시키는 미약한 아연 결핍 증세부터 시작하여 피부질환, 설사, 식욕부진, 대사 이상 등의 임상 질환을 나타냄을 고려할 때 아연의 체내 요구량 설정을 위해서는 연虱 성별, 운동량 등의 환경에 따른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운동시 혈청의 아연 농도가 낮은 경우 maximal power output이 낮고 운동 기간 동안 혈중 젖산이 증가되어 혈액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堀 강한 운동은 아연대사에 변화를 주어 배설을 증가시키고, 侧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아연의 부족은 골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동물실험에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골조직 (bone tissue) 에 역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方>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구리, 아연 영양상태 조사에 초점을 맞추어 운동수행능력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지속적인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05)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한국인 체위 기준치'$와 비교시 신장에 있어서는 기준치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고 체중은 약간 높았다. 평균 체질량지수에서 남학생은 운동선수군이 22.
이상의 결과로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경우 동물성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가 높은 반면 비타민 C의 섭취량은 낮게 나타나 지나치게 육식을 강조하는 식사패턴이 불균형한 영양 상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리와 아연의 섭취량은 운동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구리와 아연 함량은 남녀 모두에서 운동선수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운동에 의한 이용률이나 손실의 증가와 같은 대사적 변화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운동과 관련한 미량 무기질의 대사에 관한 연구과 함께 성장기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는 종목별, 운동 강도에 기초한 개개인에 맞는 권장량을 설정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질의 섭취량은 운동선수 남학생이 66.7 g, 일반 남학생이 62.8 g, 운동선수 여학생이 69.9 g, 일반 여학생이 54.4 g으로 나타나 남녀 모두 전체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동물성 지질의 섭취량은 일반 남녀학생에 비해 운동선수 남녀학생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p < 0.
체지방율은 운동선수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남녀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 < 0.001), 여학생에서 일 반군의 체지방율은 30.1%로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⑹에서의 인문계 학생의 체지방율인 27.5% 보다 조금 높았다. 이는 장기간의 운동이 신체 구성에 있어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询 근육량과 무지방량의 감소를 막아주어 바람직한 신체조성을 이루게 하였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2。> 전체적으로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지방율이 높은 것은 앉아서 공부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반면에 활동량은 감소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총 열량 중 탄수화물 : 지질 : 단백질의 3대 영양소 구성 비율은 운동선수 남학생이 59.6 : 25.5 : 14.9, 일반 남학생이 63.2 : 23.3 : 13.5이며 여학생은 운동선수군이 55.9 : 30.0 : 14.1, 일반군이 62.6 : 23.9 : 13.5 로 나타나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권장하는 60 : 25 : 15와 거의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이를 대학생 연령의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旳에서 남자 선수의 45 : 36 : 19, 여자 선수의 51 : 31 : 18, Grandjean'의 미국 운동선수에 대한 연구에서 43-54 : 33-41 : 12~18과 비교시 운동선수의 지질 섭취 비가 낮았다.
8 mg 으로 남녀학생에서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탄수화물의 평균 섭취량에서는 성별로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운동시 글리코겐은 근육의 주요한 연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힘든 운동을 한 후 근육 글리코겐을 최대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탄수화물의 소비량을 늘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하루에 188~ 648 g의 탄수화물이 필요하다.
5년이었다. 평균 신장과 체중은 남학생에서 운동선수군이 174.0 cm, 67.4 kg, 일반군이 172.9 cm, 68.3 kg, 여학생에서는 운동 선수군이 163.7 cm, 58.7 kg, 일반군이 159.3 cm, 55.7 kg 으로 신장과 체중면에서 남학생은 운동선수군과 일반군 간 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여학생에서만 운동선수군의 신장 (p<0.01)과 체중 (p < 0.05)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한국인 체위 기준치'$와 비교시 신장에 있어서는 기준치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고 체중은 약간 높았다.
4 “g/dl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구리 함량은 남학생에서 운동선수군이 82.5 “g/dl, 일반군이 96.0 “g/dl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 0.001), 여학생에서도 운동선수 군이 95.1 zzg/dl, 일반군이 105.5 “g/dl으로 운동선수 군의 혈청 구리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05) 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였고, 구리와 아연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운동선수군과 일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아연 함량은 남학생은 운동선수 군과 일반군이 각각 84.3 //g/dl, 97.7 “g/dl로 운동선수 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0.01), 여학생의 혈청 아연 함량은 운동선수군이 90.3 “g/dl, 일반군이 92.4 “g/dl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구리 함량은 남학생에서 운동선수군이 82.
후속연구
운동시 혈청의 아연 농도가 낮은 경우 maximal power output이 낮고 운동 기간 동안 혈중 젖산이 증가되어 혈액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堀 강한 운동은 아연대사에 변화를 주어 배설을 증가시키고, 侧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아연의 부족은 골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동물실험에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골조직 (bone tissue) 에 역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方>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구리, 아연 영양상태 조사에 초점을 맞추어 운동수행능력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지속적인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변화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운동과 관련한 미량 무기질의 대사에 관한 연구과 함께 성장기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는 종목별, 운동 강도에 기초한 개개인에 맞는 권장량을 설정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혈청 중 아연의 정상 임상기준치인 74~130 〃g/dl"과 비교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아연의 함량은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었다. 영유아, 성장기 아동, 임신부, 수유부 및 노인 등 아연 요구량이 높은 시기에 있어서는 아연의 낮은 섭취와 낮은 혈중 아연 농도가 때로는 성장을 지연시키는 미약한 아연 결핍 증세부터 시작하여 피부질환, 설사, 식욕부진, 대사 이상 등의 임상 질환을 나타냄을 고려할 때 아연의 체내 요구량 설정을 위해서는 연虱 성별, 운동량 등의 환경에 따른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운동시 혈청의 아연 농도가 낮은 경우 maximal power output이 낮고 운동 기간 동안 혈중 젖산이 증가되어 혈액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堀 강한 운동은 아연대사에 변화를 주어 배설을 증가시키고, 侧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아연의 부족은 골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동물실험에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골조직 (bone tissue) 에 역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g으로 권장량을 상회하며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량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선수에게 단백질의 필요량은 운동의 종류와도 관련성이 있어 지구력 운동을 하는 선수보다는 근력 운동을 하는 선수에게 더 많은 단백질이 권장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종목간의 구별을 두지 않아서 앞으로 종목별 단백질의 섭취율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선수의 경우 운동에 의한 아연과 구리의 배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섭취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아연과 구리의 경우 청소년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과 운동 수행능력에 중요한 영양소 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운동의 종목과 운동량 등에 따른 섭취준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32)
'01 national nutrition survey report,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alfare, Seoul, 2002
Grandjean AC. Macronutrient intake of US athlete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 made for athletes. Am J Clin Nutr 49 (5 suppl): 1070-1076, 1989
Lee KW, Myung CO, Park YS, Nam HW, Kim EK. Lifespan Nutrition. Shinkwang, 1997
Oh SY. Micronutrient Intake and Growth of Korean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5: 231-237, 1999
Melinda M, Janice T. Sport nutrition for health and performance, Human Kinetics, 2000
Ira W. Nutrition in exercise and sport, 3rd ed, CRC Press. 1997
Konig D, Weinstock C, Keul J, Northoff H, Berg A. Zinc, iron, and magnesium status in athletes-influence on the regulation of exercise-induced stress and immune function. Exerc Immunol Rev 4: 2-21, 1998
Cordova A, Navas FJ. Effect of training on zinc metabolism: changes in serum and sweat zinc concentrations in sportsmen. Ann Nutr Metab 42(5): 274-282, 1998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sixth revision, 2001
Souci SW, Fachmann W, Kraut H.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 CRC press. 1994
鈴木泰夫, 田主澄三, 食品の微量元素含量表, ?島大學醫學部衛生學敎室, 199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7th revision, Seoul, 2000
Kim YO, Sub I, Nam CM, Kim SI, Park IS, Ahn HS. Macronutrient intake and blood pressure of adolescents in rura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366-375, 1996
Tremblay A. Despres JP, Leblanc C, Craig CL, Ferris B, Stephens T, Bouchard C. Effect of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fatness and fat distribution. Am J Clin Nutr 51: 153-157,1990
Yoo YS, Kim SH.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girl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 185-196, 1994
Moon SJ, Lee EK, Jeon HJ, Ko BK, Park SY, Kim HK, Kim BK. A study on effect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of young adult male. Korean J Nutrition 25 (7): 628-641, 1992
Girandola RN. Body composition changes in women: Effects of high and low exercise intensity. Arch Phys Med Rehabil 57 (6) : 297-280, 1976
Girandola RN, Kateh V. Effects of nine weeks of physical training on aerobic capacity and body composition in college men. Arch Phys Med Rehabil 54: 521-524, 1973
Kollias J, Skinner JS, Barlett HL. Cardiorespiratory responses of young overweight women to ergometery following modest weight reduction. Arch Environ Health 27: 61-64, 1973
Lee YS. A study of food habits, serum leptin, zinc and copper status in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 Doctoral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1999
Costill DL, Sherman WM, Fink WJ, Maresh C, Witten M, Miller JM. The role of dietary carbohydrates in muscle glycogen resynthesis after strenuous running. Am J Clin Nutr 34: 1831-1836, 1981
Woo SI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 of national team athletes for Korea. Korean J Exercise Nutrition 1: 1-20, 1997
Sung CJ, Kim MH, Lee YS, Th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copper and zinc in Korea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8: 130-144, 1999
Lukaski HC.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human copper and zinc nutrition. Adv Exp Med BioI 258: 163-170, 1989
Shils M, Olson JA, Shike M. Modem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pp214-277, Lee & Febiger, A Waverly Company, 8th ed, 1994
Khaled S, Brun JF, Micallel JP, Bardet L, Cassanas G, Monnier JF, Orsetti A. Serum zinc and blood rheology in sportsmen (football players). Clin Homorheol Microcirc 17: 47-58, 1997
Campbell WW, Anderson RA.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training on the trace minerals chromium, zinc and copper. Sports Med 4: 9-18, 1987
Seco C, Revilla M, Hernandez ER, Gervas J, Gonzalez-Riola J, Villa LF, Rico H. Effects of zinc supplementation on vertebral and femoral bone mass in rats on strenuous treadmill training exercise. J Bone Miner Res 13: 508-512, 1998
Tietz NW. Fundamentals of clinical chemistry, 3rd ed. Saunders, 1987
Anderson RA. Strenuous running: acute effects on chromium, copper, zinc, and selected variables in urine and serum of male runners. Biol Trace Element Res 6: 327, 198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