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6-14세 어린이들의 보행 중 교통사고에 대한 역학적 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for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in School-zone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8 no.2, 2005년, pp.163 - 169  

신민호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권순석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Pedestrian traffic injuries have been an important cause of childhood mortality and morbidity for deca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during 2000 in one metropolitan city and its school-z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년 에 해당 광역시 에서 발생한 보행 중 교통사고의 역학적 특성울 살펴보기 위하여, 전체 사례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사례로 구분하여 남녀의 특성울 기술하였다. 그리고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동해 파악된 변수들과 사고 발생 여부와의 관련성울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분석울 시행하였다.
  • 어린이보호구역내 보행환경에 대한객관적인 조사 자료는 향후 어 린이 교동사고예방울위한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고발생의 위험요인 구명울 동해 학교주변 보행환경 의 개선방향과 사고예방프로그램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운용방안에 대한논의의 근거가 마련되리라생각된다. 따라서 일개 광역시 내 초등학교 동학로 주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발생하는 보행 중 교통사고의 역학적 특징울 기술하고, 관련요인둘울 보행환경요인과 예방프로그램 요인으로 구분하여 규명함으로써,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사고발생위 험 울 줄이 기 위한 방안마련울 위 한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어 린이둘의 보행중 교통사고의 역학적 특성울 살펴보고, 관련요인둘울 보행환경 요인과 예방프로그램요인으로 구분하여 그 연관성울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보행 중 교통사고는 남자 혹은 9세미만의 저연령층의 어린이가주로 사고를 일으켰으며, 오전보다는 오후에 더 많이 발생하였고, 주로 늦봄과 초여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음울 어린이 보호구역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의 보행 중 운수사고의 역학적 특성울기술하고 학교주변 보행환경과 보행안전교육의 측면에서 사고발생과의 연관성울구명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통계청. 2002년 사망원인통계연보: 인구동태신고에 의한 집계. 통계청; 2004 

  2. 경찰청. 2002년판 교통사고 통계. 경찰청; 2003 

  3. 변용찬, 서동우, 이선우, 김성희, 황주희, 권선진, 계훈방.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4. Chang H, Myoung JI, Shin Y. Burden of disease in Korea: years of life lost due to premature deaths. Korean J Prev Med 2001; 34(4): 354-362 (Korean) 

  5. Cryer PC, Davidson L. Styles CP, Langley JD. Descriptive epidemiology of injury in the south east: identifying priorities for action. Public Health 1996; 110(6): 331-338 

  6. Eilert-Petersson E, Schclp I. An epidemiological study of non-fatal pedestrian injuries. Saf Sci 1998; 29(2): 124-141 

  7.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and analysis. traffic safety facts, pedestrian. Washington D.C 1993 

  8. Towner E, Doswell T. Jarvis S. Reducing childhood accidents.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A literature review. Health Education Authority 1993 

  9. Roberts I, Norton R, Harsaill I. Child pedestrian injury 1978-1987. NZ Med J 1992; 105: 51-52 

  10. World Bank Group. Road safety. Available from: URL:www.worJdbank.org/html/fpd/ transport/roads/safety.htm 

  11. Dupcrrex O, Bunn F, Roberts L Safety education of pedestrians for injury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MJ 2002;324: 1129-1133 

  12. Luria JW. Smith GA. Chapman JI. An evaluation of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2000; 154. 227-231 

  13. Roberts I. Why have child pedestrian death rates fallen? BMJ 1993; 306: 1737-1739 

  14. Roberts I International trends in pedestrian injury mortality. Arch Dis Child 1993; 68: 190-192 

  15. Tester JM, Rutherford GW, Wald Z. Rutherford MW. A matched case control stud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peed humps in reducing child pedestrian injuries. American J Public Health 2004; 94(4): 646-650 

  16. Roberts I, Norton R, Jackson R, Dunn R. Hassall I.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risk of inj ury of child pedestrians by motor vehicles: a case-control study. BMJ 1995; 310: 91-94 

  17. Roberts I. Ashton T. Dunn R, Lee JT. Preventing child pedestrian injury: pedesrian education or traffic calming. Aust J Public Health 1994; 18: 209-212 

  18. Kim SS, Lee ES. A studyon the occurrences and causes of accidents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Nurs 1999; 9(1): 117-126 (Korean) 

  19. Park A, Lee YK, Kim JY. Lee TY, Lee SG, Cho YC, Lee DB.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ts affecting factors. Korean J Prev Med 1998: 31(3): 372-383 (Korean) 

  20. Schofer JL. Christoffel KK, Donovan M. Lavigne JV. Tanz RR. Wills KE. Child pedesrian injury taxonomy based on visibility and action. Accid Anal Prev 1995; 27(3): 317-333 

  21. 신동철.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1998; 178: 312-322 

  22. 건설교통부. 2003년도 교통안전 연차보고서. 건설교통부; 2003, (59쪽) 

  23. 경찰청. 2000년판 교통사고 통계. 경찰청; 2001 

  24. Demetriades D, Murray J, Martin M, Velmahos G, Salim A, Alo K, Rhee P. Pedestrians injured by automobiles: relationship of age to injury type and severity. J Am Coll Surg 2004; 199(3): 382-387 

  25. Park SW, Heo YJ Lee SW, Park JH. Non-fatal injurie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nd Kyungpook. Korean J Prev Med 2004; 37(3): 274-281 (Korean) 

  26. Lascala EA, Gerber D, Gruenewald PJ.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edestrian injury collisions: A spatial analysis. Accid Anal Prev 2003; 32(5): 651-658 

  27. 성낙문. 어린이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안전기술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3 

  28. Kim SJ, Lee JE, Song MK. Effect of the safety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jury preven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3 ; 9(4): 349-358 (Korean) 

  29. Kim S. Development and effec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in preschooler.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1: 7(1) : 118-140 (Korean) 

  30. Dhillon PK, Lightstone AS, Peek-Asa C, Kraus JF. Assessment of hospital and police ascertainment of automobile versus childhood pedcstrian and bicyclist collisions. Accid Anal Prev 2001: 33(4): 529-537 

  31. Saari J. Accident prevention. In: Stellaman JM.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4th ed.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998. p.56.1-56.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