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 2003 to examine the smoking state of 1,154 employees of a company that launched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in1998. Five 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금연사업울 실시하는사업장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서 사업장에서 금연사업울 실시할 때 금연울 시도하는 흡연자둘이 금연울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재홉연울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울 강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일주일 이상 금연울 해 본 근로자들울 대상으로 6개월 내 재홉연울 한 군과 6 개월 이상금연에 성공한군으로 나누어 6 개월 내 재흡연과 관련된 요인들울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HO. Tobacco or health. Geneva; 1997 

  2.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흡연과 건강. 사단법인 한국금연운동협의회;2000 

  3. Norman H, Marry S, Judith O, Gregory G.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 Med 1991: 20: 590-601 

  4. Lenox A. Determinants of outcome in smoking cessation. Br J Gen Pract 1992: 42: 247-252 

  5. Won YI, Jeon TH, Lee DS. Oh SW, Choi GH, Yoo TW, Huh BY. Baseline factors associaed with smoking cessation. J Korean Acad Fam Med 1992: 13(11): 862-868 (Korean) 

  6. KIm MK. Jin CK, Kim YJ, Cho BM. The disease related factors affecting cessation of smoking, J Korean Acad Fam Med 1995; 16(12): 880-890 (Korean) 

  7. Kim AK. Thc study of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in adults. J Korean Acad Nurs 1997; 28(2): 319-328 (Korean) 

  8. Son JH, Kim SA, Kam S, Yeh MH, Park KS, Oh HS.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a worksite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 Prev Med 1999; 32(3): 297-305 (Korean) 

  9. Ha MH, Lee DH. Predictors of quitting smoking: results of worksite smoking cessation campaign of a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0; 12(2): 170-178 (Korean) 

  10. Kim EM.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 high school smokers and its related factors [dissertation].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 2001 (Korean) 

  11. Kim CH. Seo H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2001;22(11): 1603-1611 (Korean) 

  12. Hunt WA, Besplace DA. An evaluation of current methods of modifying smoking behavior. J Clin Psychol 1974; 30: 431-438 

  13. Lando HA, MaGovern PM. Three-year data on a behavioral treatment for smoking: A follow up note. Addict Behav 1981; 7: 177-181 

  14. Lichtenstein E. The smoking problem: a behavioral perspective, J Consult Clin Psychol 1982; 50: 806-819 

  15.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Becker IM.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behavior. Charles B. Slack Inc.; 1974. p. 1-8 

  16. Strecher VJ, Champion VL, Rosenstock IM.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behavior. In: Gochman DS.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I): Personal and social determinants. New York: Plenium Press; 1997. p.71-91 

  17. Duncan CL, Cummings SR, Hudes ES, Zahnd E, Coates TJ. Quitting smoking reasons for quitting and predictors of cessation among medical patents, J Gen Intern Med 1992; 7(4): 398-404 

  18. 남정자, 최정수, 김태정, 계훈방. 한국인의 보건의식행태-1995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65-85쪽) 

  19. Klesges RC, Cigrang J, Glasgow RE. Work site smoking modfication programs: a state-of-art review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Curr Psychol Res Rev 1987; 6: 26-56 

  20. Kotin P, Gaul LA. Smoking in the workplace: a hazard Ignored. Am J Public Health 1980: 70: 575-576 

  21. Kabat G, Wynder E. Detenninants of quitting smoking. Am J Public Health 1987; 77; 1301-1305 

  22. Jean CR, Cummings KM, Zielenzny M, O' Shea R. Patterns and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users of a telephone hotline. Public Health Reports Hvattsville 1993: 108(6): 772-778 

  23.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편집위원회.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계축문화사; 2001, (546-550쪽) 

  24. USDHHS. The health consequenees of involuntary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US Govemment Printing Office; 1986 

  25. Cummings KM. Sciandra R, Pechacek T, Lynn WR, Corle D. Public attitude regarding limits on public smoking and regulation of tobacco sales and advertising: 10 U.S. communities, 1989. MMWR 1991;40: 344-353 

  26. Fagerstrom KO. Measur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e to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 Behav 1978; 3: 235-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