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중독 측정도구와 한국형 인터넷중독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Measurement Scales and Korean Internet Addiction Index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8 no.3, 2005년, pp.298 - 306  

박재성 (고신대학교 인문사회복지대학 의료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develop measurement scales of Internet addiction, and propose a Korean Internet Addiction Index (K-IAI) an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Internet addiction from the threshold scores developed. Methods :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cept of 'Internet addiction' was based on the lit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측정도구의 문제점을 극복핱수있고, 우리나라환경에 적용핱 수 있는 인터넷중독 측정도구릍 개발하여, 사회의 정보화 과정에서 발생한 하나의 위 험 요인인 인터 넷중독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평가핱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터넷중독 관리프로그램에 기여하고자한다.
  •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특이성(7문항)과 갈등(7문항)과 같이 문항 수가 많은 요인에 가증치릍 부여하는 기전으로 구성되었지만 Young의 척도릍 기본으로 한 선행연구들 [14, 15]에서는 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 수가 연구마다 상이하여 연구마다가중되는 요인이 바뀐다는 문제릍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동일한 기여릍 가정함으로써 각 요인에 대한 가증이 변경 됨 에 따라 발생핱 수 있는 문제릍 완화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구성타당도가 확보된 인터넷중독 측정도구와 인터넷중독지표릍 개발하고 또한 인터넷중독군을 분류핱 수 있는 임계수준의 제시함으로써 인터넷중독예방관리 프로그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인터넷중독을 행동중독에 속하며 충동조절의 장애로서 인터넷사용에 대한 심리적 의존성으로 정의하였다.
  • 이 연구는 인터넷중독에 대한 측정도구개발을 목적으로 28개의 척도릍 제시하여 이중 23개의 척도릍 최종적인 측정도구로 선별하였다. 제안된 인터넷중독모형의 구성타당도릍 CFA릍통하여 검정하였으며, 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GFI가 93%로 연구모형이 자료의 거의 모든 변이릍 설명함으로써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중독을 측정핱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과, 인터넷 사용자릍 중독군, 중독위험군, 그리고 평균이용군으로 구분핱 수 있는 범위 즉, 임계수준을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중독집단군의 분류에 따라 현재 연구대상 집단의 인터넷중독 수준을 평가하며, 또한 인터넷 중독현상과 인터넷 사용시간과의 상호영향력의 관계릍 비회귀모(ngrwuiWvemcdel)으로 규정하고, 인과적 관계의 방향성을 파악함으로써 각 분류집단에 따른 인터넷중독 예방관리의 함의릍 파악하고자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 한문제들을 T.점수릍이용한 표준화와 중독군의 임계수준에 있어 일탈의 개념을 적용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와 %ung의 최종지표산춭읕 위한 가정과 절차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중독군의 분류에 있어 Young의 척도릍 이용한 기존연구들 중에서 이 연구와 동일한 임계수준인 270점을 적용하고동일한 연구 대상집단을 표춭한 Lee 등 [2이, Kim 등 [21], 그리고 Lee 등 @2]의 연구는 각각 연구 대상자의 29%, 2.
  •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중독집단군의 분류에 따라 현재 연구대상 집단의 인터넷중독 수준을 평가하며, 또한 인터넷 중독현상과 인터넷 사용시간과의 상호영향력의 관계릍 비회귀모(ngrwuiWvemcdel)으로 규정하고, 인과적 관계의 방향성을 파악함으로써 각 분류집단에 따른 인터넷중독 예방관리의 함의릍 파악하고자한다.
  • 제안된 인터넷중독모형의 구성타당도릍 CFA릍통하여 검정하였으며, 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GFI가 93%로 연구모형이 자료의 거의 모든 변이릍 설명함으로써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타당성이 확보된 6개 요인평균의 합을「점수로 변환한 K.IAI릍 제시하여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인터넷중독 측정도구의 문제릍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탈의 개념을 적용한 집단분류의 임계수준을 제안하여 중독군을 K LM 270점, 중독위험군을 >50 점에서 <70점,그리고 평균사용군을<50 점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에 대한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가설 설정

  • 15, 1기에서 제시하는지 표들의 문제점은 각 연구마다 제시한 요인수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과 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수가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음에도 붙구하고 단순 합산을 이용하여 중독지표 산춭함으로써 요인 가중현상이 연구에 따라상이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독지표 산춭에 있어 구성요인의 동일한 기여릍 가정하고 요인의 기여도릍 균일하게 보정하였다. 제안된 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oldberg I.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1996 [cited 2004 Aug 8]; Available from: URL:http://www.rider.edu/users/suler/psycyber/supportgp.html 

  2. Brenner V.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the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 Rep 1997; 80: 879-882 

  3. OReilly M. Internet addiction: A new disorder enters the medical lexicon. Can Med Asso J 1996; 154(12): 1882-1883 

  4. Shaffer HJ, Hall MN, Bilt JV. Computer addiction: A critical consideration. Am J Orthopsychiatric 2000; 90(2): 162-168 

  5. Young K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 Behav 1996; 1(3): 237-244 

  6. YoungKS.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 Rep 1996; 79: 899-902 

  7. Davis RA. A cognitive behavior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t in Human Behav 2001; 17(2): 187-195 

  8. Pratarell ME, Browne BL, and Johnson K. The bits and bytes of computer/internet addiction: a factor analytic approach.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 Comput 1999; 31(2): 305-314 

  9. Griffiths M. Psychology of computer use: some comments on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by young. Psychol Rep 1997; 80: 81-82 

  10. Griffiths M. Dose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evidence. Proceed ings of the 10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Aug 15, Chicago, IL 

  11. Griffiths M. Internet addiction: Does it exist? In J.E. Gackenbach(Ed.), Psychology and the Ineternet: Interpersonal, interpersonal and transpersonal implications. New York: American Press; 1998 p. 61-75 

  12. Pratarell ME, Browne B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internet use and addiction. Cyberpsychol Behav 2002; 5(1): 53-64 

  13. Charlton JP. A factor analytic investigation of computer addiction and engagement. Br J Psychol 2002; 93(3): 329-344 

  14. Kim EJ, Lee SY, Oh SG. The validation of korea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scales. Korean J Clinical Psychol 2003; 22(1): 125- 139 (Korean) 

  15. Kang MC, Oh IS. Development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scales. Korea J Youth Counseling 2001; 9: 114-135 (Korean) 

  16. Young KS.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ng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98 

  17. Kim CT, Kim DI, Park JK, Lee SJ. A study on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s.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02 (Korean) 

  18. Song SM, Lee HK. The effect of dependency and acculturation on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02; 13(1): 107-131 (Korean) 

  19. Kim JB, Han JC.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s sub-groups. Korean J Counseling & Psychotherapy 2001; 13(2): 207-219 (Korean) 

  20. Lee SB, Lee KK, Paik KC, Kim HW, Shin SK.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 Neuropsychiatr Assoc 2001; 40(6): 1174-1184 (Korean) 

  21. Kim HJ, Lee SJ, Woo JI, Jo HS, Kweon HJ. The Internet using pattern and addiction relating factor analysis of adolesencents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2002; 23(3): 334-343 (Korean) 

  22. Lee MS, Oh EY, Cho SM, Hong MJ, Moon JS. An assessment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problems related to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J Korea Neuropsychiatr Assoc 2001; 40(4): 616-626 (Korean) 

  23. Shaffer HJ, Hall MN, Vander Bilt J. Computer addiction: A critical consideration. Am J Orthopsychiatry 2000; 70(2): 162-168 

  24. DuPont RL. Addiction: a new paradigm. Bull Menninger Clin 1998; 62(2): 231-242 

  25. Epprigth T, Allowed M, Stern B, Theiss T. Internet addiction: a new type of addiction? Mo Med 1999; 96(4): 133-137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ition). Washington DC, 1994 

  27. Brown RIF. Gaming , gambling and other addictive play. In J. H. Kerr & M. J. Apter(Eds.), adult play: A reversal theory approach, Amsterdam:Swets & Zeitlinger; 1991. p. 101-118 

  28. Brown RIF. Some contributions of the study of gambling to the student of other addictions. In W.R. Eadington & J. A. Cornelius(Eds.), Gambling behavior and problem gambing. Reno, NV: University of Nevada; 1993. p. 241-272 

  29. Bohrnstedt GW,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in attitude measurement in attitude measurement, G.F. Summers (ed), Rand McNally, Chicago, IL; 1970. p. 80-99 

  30. Hatcher L. A Step by step approach to using SAS system for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S Institutes Inc; 1996. p. 254 

  31. Agarwal R. Prasad J,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 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system. ISR 1998; 9(2): 204-215 

  32. Arbuke JL, Wothke W. AMOS 4.0 User's guide. SmallWaters Corporation; 1999. p. 173 

  33. Koh SB, Jang SJ, Kang MK, Cha BS, Park J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7; 30(2): 251-266 (Korean) 

  34. Yoo WS, Shin YJ, Nam J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relability and validity of the VSSS-82 korean version for measuring satisfaction with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in psychiatric patients. Korean J Prev Med 2001; 34(3): 211-218 (Korean) 

  35. Yaung JS, Jun JH. A trial for development of health profile(KHP 1.0) to measure. Korean J Prev Med 2003; 36(1): 11-23 (Korean) 

  36. Campbell DT, Fiske DW.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 Bull 1959; 56(9): 81-105 

  37.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 25(3): 487-50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