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미생물 실험실의 생물안전현황
Biosafety of Microbiological Laboratorie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8 no.4, 2005년, pp.449 - 456  

은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박기동 (질병관리본부 방역과) ,  김종균 (가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임정수 (가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황유성 (네오딘 의학연구소) ,  김용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이진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biosafety level (BSL) practiced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laboratory biosafety manual pu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as evaluated using the data obtained by a survey. Methods : Under the advise of Clinical Laboratory Physicians, 144 ty...

주제어

참고문헌 (29)

  1. Wehrle PF. Smallpox eradication. A global appraisal.JAMA 1978; 240(18): 1977-1979 

  2. Minor PD. Biosafety consequences of eradication of wild-type polioviruses. Lancet 2001; 358(9277): 166-168 

  3. 김용익, 박기동, 임정수, 황유성, 생물테러 가능 병원체와 실험실에 대한 안전등급제 도입 및 운영방안 개발. 국립보권원. 생물 테러대비 두창백신 희석 활용 및 집단예방 접종 방안 개발. 2003 

  4. 남명진. 안전관련 법령 제정 방안. 이의경. 생명과학관련 국민보건안전윤리 확보방안. 2000년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 정책연구개발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 2001 

  5. Orellana C. Laboratory-acquired SARS raises worries on biosafety. Lancet Infect Dis 2004; 4(2): 64 

  6. Kissalt A. Laboratoriums infektionen mit typhusbazillen. Zeit Hyg Infectionkrank 1915; 80: 145-162 

  7. Meyer KF, Eddie B. Laboratory infections due to brucella. J Infect Dis 1941; 68: 24-32 

  8. Reid DD. Incidence of tuberculosis among workers in medical laboratories. Br Med J 1957; 2: 10-14 

  9. Grist NR. Hepatitis in clinical laboratories a three year survey. J Clin Pathol 1975; 28: 255-259 

  10. Grist NR. Hepatitis in clinical laboratories 1973-1974. J Clin Pathol 1976; 29: 480-483 

  11. Grist NR. Hepatitis in clinical laboratories 1975-1976. J Clin Pathol 1978; 31: 415-417 

  12. Richrdson JH. Provisional summary of 109 laboratory-associated infections at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1947-1973. Presented at the 16th Annual Biosafety Conference, Ames, Iowa. 1973 

  13. Martini GA, Schmidt HA. Spermatogenic transmission of Marburg viruus. Klin Wschr 1968; 46: 398-400 

  14. Oliphant JW, Parker RR. Q fever: Three cases of laboratory infection. Public Health Rep 1948; 63(42): 1364-1370 

  15. Beeman EA. Q fever-An epidemiological note. Public Health Rep 1950; 65(2): 88-92 

  16. Holmes GP, Hilliard JK, KLontz KC, Rupert AH, Schindler CM, Parrish E, Griffin DG, Ward GS, Bernstein ND, Bean TW, Ball MR, Bready JA, Wilder MH, Kaplan JE. B virus(Herpesvirus simiae) infection in humans: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a cluster. Ann Int Med 1990; 112: 833-839 

  17.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Report of the committee of inquiry into smallpox outbreakin London in march and April 1973. London. 1974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Smallpox surveillance. Weekly Epidemiol Record 1978; 53(35): 265-266 

  19. WHO. Laboratory biosafety mannual. 2nd edition(revised). Geneva. 2003 

  20. CDC and NIH. Biosafety in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4th edition.Washington. 1999 

  21. Advisory Committee on Dangerous Pathogens. Categorization of biological agents accordingto hazard and categories of containment. 4th edition. London. 1995 

  22. Office of Laboratory Security. The laboratory biosafety guidelines. 3th edition(draft).Ottawa. 2001 

  23. Lee HW, Johnson KM. Laboratory-acquired infections with hantaan virus, the etiologicagent of Korean hemmorrhagic fever. J Infec Dis 1982; 146; 645-651 

  24. Kim JS, Lee HW. Studies on microbiololgical laboratory biosafety (1) a survey on biosafety status in laboratory department of training. Report NIH Korea 1986; 23: 139-160 (Korean) 

  25. Cho SH, Ju YS, Kang D, Kim S, Kim IS, Hong ST. Laboratory-acquired infection with hantavirus at a research unit of medical school in Seoul, 1996. Korean J Prev Med 1999; 32(3): 269-275 (Korean) 

  26. 보건복지부.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 보건복지부고시 제1997-22호. 보건복지부; 1996 

  27. Sulkin SE, Pike RM. Survey of laboratoryacquired infections. Am J Public Health 1951; 41(7): 769-781 

  28. Sung WK. Development of the system ensuring biosafety in genetic modification experimen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1; 4: 45-58 (Korean) 

  29. 보건복지부. 전염병병원체 검사. 보존 및 관리 지침, 보건복지부 고시 2001-25호. 보건복지부;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