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골퍼들의 햇빛차단 행동 및 자외선차단 의복에 대한 태도 조사
A Study on Korean Golfers' Sun Protective Behavior and Their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1 = no.139, 2005년, pp.189 - 197  

성희원 (명지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전양진 (명지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affecting sun protective behavior and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among Korean golfers. Health belief (HB) model and diffusion theory(DT) were used for the study. Dependent variable of HB model was sun protective behaviors (SPBs) and depen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햇빛과 관련된 건강인식 상태를 알아보고 이것이 햇빛차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햇빛과 관련된 골퍼들의 건강인식도와 신제품채택 태도들이 자외선차단 셔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인 골퍼를 대상으로 한 Sung(2003)의 연구의 후속연구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과 혁신제품 확산이론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골퍼들의 햇빛차단 행동과 자외선차단 의복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두 모델 모두 국내 골퍼들의 햇빛관련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Rogers(1995)의 확산이론(diffusion theory)에 의하면 신제품의 수용 정도는 소비자가 인지하는 다섯 가지 신제품 속성들 즉, 상대적 우월성, 적합성, 복잡성, 용이성, 및 가시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차단 셔츠를 신제품으로 간주하고 자외선차단 셔츠에 대한 구매의도를 신제품에 대한 수용 정도로 나타내었다. 종속변인이 되는 자외선차단 셔츠에 대한 구매의도는 먼저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상대적 우월성(relative advantage), 즉 이미지나 기능적 측면에서 기존의 골프셔츠보다 자외선차단 셔츠가 우월하게 인식되는 정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즉 구매자가 자외선 자극에 대해 민감하거나 햇빛차단 혜택을 크게 인지한다면, 햇빛차단행동에 대해 더 적극적일 것이며 자외선차단의복에 대한 관심도 및 필요성을 더 많이 느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차단셔츠의 구매의도를 혁신제품 속성들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로 확인하여 혁신이론 모델을 검증하는 한편, 혁신이론 모델에 햇빛차단 태도와 행동 변인들,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추가하여 모델을 확장시켰을 때 설명력이 더 높아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골퍼들의 햇빛차단행동과 자외선차단 셔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데 있다. 먼저 햇빛과 관련된 건강인식 상태를 알아보고 이것이 햇빛차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자외선 차단셔츠는 개인의 요구나 사회 모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차단기능을 이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이성 항목에서 자외선차단셔츠를 쉽게 구할 수는 없지만, 만약 가능하다면 구입 전에 착용해 보고자 한다고 응답했다. 가시성 경우 실제 다른 사람들이 자외선차단 셔츠를 착용한 것을 본적은 적으며, 차단셔츠의 장점에 대한 가시성은 중간으로 나타났다.
  • 연구문제 2. 자외선차단 의복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권영아, 강미정. (2001). 햇빛차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39(8), 81-92 

  2.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본부. (2003) 한국 중앙 암등록 사업 연례보고서 (2002. 1-2002. 12) 

  3.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2001). 소비자 행동론. 서울: 경문사, 95-96 

  4. 최인려. (2003). 자외선차단 직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11(6), 967-971 

  5. 최정화, 백윤정. (1996). 옥외 작업시 의복의 자외선 차단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3(4), 63-71 

  6. Arthey, S. & Clarke, V. A. (1995). Sun tanning and sun prote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0(2), 265-274 

  7. Beckers, M. H., Mairnan, L. A., Kirscht, P., Haefner, D. P. & Drachman, R. H. (1977).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diction of dietary compliance: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8(4), 348-366 

  8. Capjack, L., Kerr, N., Davis, D., Fedosejevs, R., Hatch, K. L. & Markee, N. L. (1994). Protection of humans from ultraviolet radiation through the use of textiles: A review.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3(2), 198-218 

  9. Davis, S., Capjack, L., Kerr, N. & Fedosejevs, R. (1997). Clothing as protection from ultraviolet radiation: Which fabric is most eff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36, 374-379 

  10. Glanz, K., Lew, R. A., Song, V. & Cook, V. A. (1999). Factors associated with skin cancer prevention practices in a multiethnic population. Health Education & Behavior, 26(3), 344-359 

  11. Gravel, T. (1997). Skin cancer.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2(3), 116-117, & 301 

  12. Jackson, K. M. & Aiken, L. S. (2000). A psychological model of sun protection and sunbathing in young women. Health Psychology, 19(5), 469-478 

  13. Littrell, M. A. & Miller, N. J. (2001). Marketing across cultures. Journal of Global Marketing, 15(1), 67-86 

  14. Newman, W. G., Woodruff, S. I., Agro, A. D. & Mayer, J. A. (1996). A survey of recreational sun exposure of residents of San Diego, Californi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2(3), 186-194 

  15.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16. Stepanski, B. M. & Mayer, J. A. (1998). Solar protection behaviors among outdoor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0(1), 43-48 

  17. Sung, H. (2003). Gollfers' UV Exposure, health beliefs and practices, and intention to adopt UV protective clot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