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 경 : 폐기종에서 발생하는 폐포 파괴의 원인으로서 전통적으로 protease/anti-protease 불균형과 산화성 스트레스가 주요 가설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 폐포세포의 아포프토시스가 폐포파괴 및 폐기종의 원인이 된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어서 A549 폐상피세포에서 흡연추출물에 의한 세포사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A549 폐상피세포주에서 여러 농도의 흡연추출물 및 억제제를 첨가한 후 MTT assay를 잉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사 분석은 FACScan을 이용한 DNA 분절확인, 전자현미경 검사, Hoecst/PI 이중염색을 이용한 현광현미경 검사를 이용하였고 cyt-ochrome c 유리는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였다. Bcl-2 과발현세포주를 이용하여 bcl-2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p53 Western blot 및 HPV-E6 과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p53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결 과 : A549 세포주에서 흡연추출물에 의한 세포사는 FACScan에서 DNA 분절에 의한 subG1 분획의 확인 및 Hoecst/PI 이중염색 및 현광현미경 소견 상 아포프토시스임이 확인되었고 전자현미경 소견상 저농도에서는 아포프토시스가 발생하지만 고농도에서는 괴사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Cytochrome c가 세포질로 유리됨을 확인하였으나 caspase 억제제에 의해서 세포사가 차단되지 않았다. 흡연추출물에 의한 세포사는 Bcl-2과발현에 의해 억제되었고 p53활성화를 유도하고 p53이 기능적으로 knock-out 된 세포주에서 억제되었다. 결 론 : 흡연추출물에 의한 폐상피세포의 세포사는 저농도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고농도에서는 괴사를 유도하고 bcl-2 및 p53 경로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폐기종 발생기전에 있어서 폐세포 세포사 이론을 뒷바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physema is characterized by air space enlargement and alveolar destruction.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emphysema was thought to be protease/antiprotease imbalance and oxidative stress. A very recent study shows that alveolar cell apoptosis causes lung destruction and emphys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 very recent study shows that alveolar cell apoptosis causes lung destruction and emphysematous changes.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pport the evidence for the role of apoptosis in the development of emphysema by characterizing cigarette smoke extract (CSE)-induced apoptosis in A549 (type II pneumocyte) lung epithelial cells. CSE induced apoptosis at low concentration (10% or less) and both apoptosis and necrosis at high concentration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olbrrok JH, Groundy SM, Hennekens CH, Kannel WB, Strong JP. Cigarette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 state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by a task force appointed by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984;70:1114A-7A 

  2. Altshuler B. Quantitative models for lung cancer induced by cigarette smoke. Environ Health Perspect 1989;81:107 

  3. Higgins M Epidemiology of COPD: state of art. Chest 1984;85:3S-8S 

  4. Sethi JM, Rochester CL. Smoking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lin Chest Med 2000;21:67-86 

  5. Rahman I, MacNee W. Role of oxidants/antioxidants in smoking-induced lung disease. Free Radic Biol Med 1996;21:669-81 

  6. Stockely RA. Proteases/antiproteases: pathogenesis and role in therapy. Clin Pulm Med 1998;5:203-10 

  7. Church T, Pryor WA. Free-radical chemistry of cigarette smoke and its toxicological implications. Environ Health Perspect 1985;64:111-26 

  8. Jones JG, Lawler P, Crawley CW, Minty BD, Hulands G, Vesll N. Increased alveolar epithelial permeability in cigarette smokers. Lancet 1980;1:66-8 

  9. Burns AR, Hosford SP, Dunn LA, Walker DC, Hogg JC. Respiratory epithelial permeability after cigarette exposure in guinea pigs. J Appl Physiol 1989;66:2109-16 

  10. Lannan S, Donaldson K, Brown D, MacNee W. Effect of cigarette smoke and its condensates on alveolar epithelial cell injury in vitro. Am J Physiol 1994;266:L92-L100 

  11. Nakano M. Free radicals and their biological significance: present and future. Hum Cell 1992;5:334-40 

  12. Adams JD, Mukherjee SK, Klaidman LK, Chang ML, Yasharel R.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aging brain. Ann N Y Acad Sci 1996;786:135-51 

  13. Green DR, Reed JC. Mitochondria and apoptosis. Science 1998;281:1309-12 

  14. Adams JM, Cory S. The Bcl-2 protein family: arbiters of cell survival. Science 1998;281:1322-6 

  15. Leanderson P, Tagesson C. Cigarette amoke-induced DNA damage in cultured human lung cells: role of hydroxyl radicals and endonuclease activation. Chem Biol Interact 1992;81:197-208 

  16. Repine JE, Bast A, Lankhorst I. Oxidative stres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 Crit Care Med 1997;156:341-57 

  17. Hall PA, Lane DP. Tumor suppressors: a developing role for p53? Curr Biol 1997;7:R144-7 

  18. Ko LJ, Prives C. p53: puzzle and paradigm. Genes Dev 1996;10:1054-72 

  19. MuroharaT, Kugiyama K, Ohgushi M, Sugiyama S, Yasue H. Cigarette smoke extracts contracts isolated porcine coronary arteries by superoxide anionmediated degradation of EDRF. Am J Phyiol 1994;266:H874-80 

  20. Wang H, Liu X, Umino T, Skild CM, Zhu Y, Kohyama T, et al. Cigarette smoke inhibits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repair process.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1;25:772-9 

  21. Xiang J, Chao DT, Korsmeyer SJ. Bax-induced cell death may not require interleukin 1 beta-converting enzyme-like proteases. Proc Natl Acad Sci U S A 1996;93:14559-63 

  22. Susin SA, Lorenzo HK, Zamzami N, Marzo I, Snow BE, Brothers GM,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apoptosis inducing factor. Nature 1999;397:441-6 

  23. Zang LY, Stone K, Pryot WA. Detection of free radicals in aqueous extracts of cigarette tar by electron spin resonance. Free Radic Biol Med 1995;19:1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