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
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ana Family Strengths in Commuting Couples - Comparison of Husband and Wife in Commuting Couples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3 no.3 = no.205, 2005년, pp.11 - 26  

최정혜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among 134 commuting couples (268 individuals) living in Korea, who have been commuting for at least six months.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marit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영주, 2001) 주말부부의 가족 건강성에도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대처전략 역시 선행연구에서 가족 건강성이 대처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므로(최정혜, 2004) 대처 전략을 관련 변인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가족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주말부부를 대상으로 남편과 아내의 결 혼 만족도와 가족 건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주말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가족 건강성의 관련 변인으로 주말부부의 연령, 교육 수준, 종교, 자녀 수, 직업, 가정의 월수입 정도, 주중 가족 형태, 가사 보조 유무, 주말부부로 지낸 기간, 주말에 이동하는 사람, 부부가 만나는 주기, 결혼지속년수, 자아존중감, 대처전략 사용 정도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현재 주말부부를 대상으로 한 가족 건강성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가족건강 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 경향 및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건강한 가족은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잘 견뎌내며(유영주, 2001: Brigman at al, 1986), 종교가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된 바 있다(Stinnet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경은, 정옥분(1998). 주말부부 어머니의 결혼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1), 35-49 

  2. 김은경(1999). 맞벌이 주말부부의 역할갈등과 결혼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25-43 

  3. 김태현, 박숙자(1992). 한국의 비동거 가족연구. 가족학논집, 4, 45-74 

  4. 문숙재, 윤소영(2003).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13-220 

  5.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6. 어은주, 유영주(1997).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7. 유계숙(2004). 건강가족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8.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9. 유영주(2004a). 건강가족 확산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3-11 

  10. 유영주(2004b).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1. 옥경희(1999). 맞벌이 주말부부의 부모역할 갈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45-66 

  12. 윤세은(2001).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기숙(1999). 맞벌이 주말가족의 성격분석을 위한 시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1-23 

  14. 이기숙, 손태홍(2004). 맞벌이 주말가족 연구. 서울: 신정출판사 

  15.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 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16. 조유리, 김경신(2000).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 만족도 -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21 

  17. 지영숙, 이영호(1998). 한국가정의 건전도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33-250 

  18. 채옥희(1998). Commuter Marriage 가정경영 실태와 문제. 대한가정학회지, 20(9), 153-166 

  19. 최규련(1988). 한국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최규련(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6), 99-113 

  21. 최정혜(2002).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및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49-60 

  22.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23. 최희진, 유영주(2003).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5-28 

  24. 한유미(2003). 주말부부와 일반부부의 자녀 양육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75-185 

  25. 허경옥(2003). 주말부부가계와 비주말부부 가계의 객관적, 주관적 경제구조분석 및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01-212 

  26. 허영숙(1993). 주말에 남편을 만나는 맞벌이 여교사의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홍성례, 유영주(2001). 남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423-461 

  28. Bowman, Marilyn. L. (1990). Coping efforts and marital satisfaction, measuring marital coping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2), 463-474 

  29. Brigman, K. M. L., Schons, J., & Stinnett, N. (1986). Strengthens of families in a society under stress: A study of strong families in Iraq. Family Perspective, 20, 61-73 

  30. Bunker, B. B., Zubek, J. M., Vanderslice, V. J., & Rice, R. W. (1992). Quality of life in dual-career families: Commuting versus single-residence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 399-407 

  31. Christensen, A. & Heavy, C. L., Layne, C. (1993). Gender and conflict structure in marital interaction;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 16-27 

  32. Kim song-Chul (2001). Weekend couples among Korean professionals: An Ethnograhpy of living apart on weekdays. Korea Journal, 41(4), winter, 28-47 

  33. Olson D. H. & DeFrian J. (2003). Marraige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McGraw Hill Co 

  34. Stinnet, N., & Sauer, K. H. (1979).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11, 3-11 

  35. Voydanoff, P. (1991). Economic distress and family relations 재인용,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180 

  36. Winfield, F. E. (1985). Commuter marriage: Living together, apar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