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fidobacterium longum BO-11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Preparation of Kimchi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BO-11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2 = no.186, 2006년, pp.232 - 236  

채명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태광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유전체 연구실) ,  전덕영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한 성인의 분변에서 분리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B. longum BO-11을 김치 제조용 스타터로 이용하여 그 생존 능력과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발효과정 중 bifidobacteria의 계수는 BS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20일의 저장 기간 동안 균수가 약간 증가하였다. 일반 미생물은 bifidobacteria 비첨가군과 비슷하였으며 bifidobacteria 첨가군의 경우 산의 생산이 더 많았다. 김치 맛은 일반 김치보다 bifidobacteria 첨가 김치가 더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ifidobacteria를 이용한 기능성 김치의 상업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Bifidobacterium longum BO-11 isolated from healthy adult feces on Baechu-kimchi made of chinese cabbage was evaluated. Upon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using BS medium, microorganisms grew slowly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4^{\circ}C$. Taste preference of bifidobact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 longum BO-11이 probiotics로서 김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김 치 g당 B.
  • 2×106 cfu/g)하였다. Bifido- bacteria는 편성 혐기성균으로 식품 제조적성이 우수하지 않다고 보고되었으나(17), 본 연구에서는 bifidobacteria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추 절임시 젖산 소금을 사용하여 최적의 pH를 제공하므로써 bifidobacteria가 성장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배추김치에 B.
  • longum BO-ll(lO)을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 숙성 과정 중 bifidobactera 및 여러 미생물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김치 발효과정동안 화학적 특성을 대조군과 비교하므로써 bifidobacteria를 함유한 기능성 김치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김치에 사용되기 위하여는 내산소성, 내산성, 내염성의 bifidobacteria가 요구된다. 본연구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bifidobactera를 이용하여 기능성 있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B. longum BO-ll(lO)을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 숙성 과정 중 bifidobactera 및 여러 미생물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김치 발효과정동안 화학적 특성을 대조군과 비교하므로써 bifidobacteria를 함유한 기능성 김치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llongue J. Bifidobacteria and probiotic action. pp. 357-428. In: Lactic acid bacteria. Salminen S, von Wright A (eds). Marcel Dekkers, Inc., New York, NY, USA (1993) 

  2. Gomes AMP, Malcata FX. Bifidobacterium spp.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Biological, biochemical, technological and therapeutical properties relevant for use as probiotics. Trends in Food Sci. Technol. 10: 139-157 (1999) 

  3. Kim HY, Yang JO, Ji GE. Effect of bifidobacteria on production of allergy-related cytokines from mouse spleen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5: 265-268 (2005) 

  4. Om AS, Park SY, Hwang IK, Ji GE. Comparison of nitric oxide, hydrogen peroxide, and cytokin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by bifidobacterium and other intestinal bacteria. J. Microbiol. Biotechnol. 9: 98-105 (1999) 

  5. O'Sullivan D, Kullen MJ. Tracking of probiotic bifidobacteria in the intestine. Int. Dairy J. 8: 513-525 (1998) 

  6. Cho JS.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5-30 (1988) 

  7. Lee KE, Choi UH, Ji GE. Effects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81-986 (1996) 

  8. Kim TW, Park AK, Kim GR, Lee JM, Chung DK, Kim HY. Characterization of functional Kimchi using bifidobacterium lact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24-927 (2003) 

  9. Lee SK, Ji GE, Park YH. The viability of bifidobacteria introduced into kimchi. Lett. Appl. Microbiol. 28: 153-156 (1999) 

  10. Oh TG, Choi KS, Kim HK, Kim DH, Jhon DY. Acid-tolerant and bile acid-tolerant Bifidobacterium longum BO-11 and its use. Korean Patent 10-0398063 (2003) 

  11. Choi KS, Sung CK, Kim MH, Oh TK. Fermentation methods of kimchi using halophilic Lactohacillus sp. HL-48 and lactic acid.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246-251 (1999) 

  12. Jones D, Collins MD. Irregular non-sporing Gram-positive rods. Vol. 2, pp. 1261-1434.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neath PHA, Mair NS, Sharpe ME, Holt JG (eds). The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USA (1986) 

  13.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4.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90) 

  15. Wang YC, Yu RC, Chou CC. Growth and survival of bifid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fermentation and storage of cultured soymilk drinks. Food Microbiol. 19: 501-508 (2002) 

  16. Murti TW, Bouillanne C, Landon M, Desmazeaud MJ. Bacterial growth and volatile compounds in yogurt-type products from soymilk containing Bifidobacterium spp. J. Food Sci. 58: 153-156 (1993) 

  17. Full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1989) 

  18.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k WS.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1996) 

  19. Mheen TI, Kwon TW, Lee CH.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oducts in Korea.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9: 253-261 (1981) 

  20. Modler HW, McKellar RC, Goff HD, Mackie DA. Using icecream as a mechanism to incorporated bifidobacteria and fructooligosaccharides into the human diet. Cult. Dairy Prod. J. 25: 4-6 (1990) 

  21. Steinkraus KH, Cullen RE, Peterson CS, Neils LF, Gavitt BK. Handbook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pp. 99-131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